명문대 입학 '하위권'
입력 2019.03.25 (20:46)
수정 2019.03.26 (00: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지역별 고교의 주요 명문대,
이른바 sky 대학
입학 현황을 살펴봤더니
광주.전남은 하위권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수도권 편중 현상이 심각해
지역과 서울의 차이가 컸습니다.
지종익 기잡니다.
광주의 한 고등학교.
고3 교실에서 수능에 대비해
영어 문제풀이가 한창입니다.
지역에서 비교적 많은
명문대 합격자를 배출하는 만큼,
학생들의 자부심도 큽니다.
[슈퍼1]
다른 학교보다 분위기도 잘 잡혀있는 것 같아서 더 열심히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실력 광주'는
옛말이 된지 오래인데다,
바뀐 대입정책에 맞춰
지역에서 발빠르게 대응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슈퍼2]
정시 부분이 부각이 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시에 대한 비율이 상당히 커지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학교나 교육청도 변화를 좀 해야될 것 같고...
2019학년도 고교소재지별
주요 명문대,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의
입학 현황을 살펴봤더니
광주 출신 수험생의 입학비율은
2.6%로 나타났습니다.
서울 출신 학생은 36%로
세 명 중 한 명꼴이었고,
대도시 중 울산을 제외하고는
광주가 가장 적었습니다.
전남 출신 입학생의 비율도 1.7%로
제주와 충북 다음으로 낮았습니다.
시도교육청은
진학 지도나 현장 컨설팅을 강화하는 등
명문대 진학률을 높이기 위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슈퍼3]
컨설팅, 다양한 입시정보를 제공해준다는 것. 특히 올해같은 경우는 수업과 평가를 통해서
학교생활기록부에 정확하게 잘 기재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내에서의 역할을..
[슈퍼4]
명문대 입학생 수가
지역별 실력을 평가하는 잣대가 돼서는
안된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광주와 전남의 전반적인
학력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지종익입니다.
지역별 고교의 주요 명문대,
이른바 sky 대학
입학 현황을 살펴봤더니
광주.전남은 하위권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수도권 편중 현상이 심각해
지역과 서울의 차이가 컸습니다.
지종익 기잡니다.
광주의 한 고등학교.
고3 교실에서 수능에 대비해
영어 문제풀이가 한창입니다.
지역에서 비교적 많은
명문대 합격자를 배출하는 만큼,
학생들의 자부심도 큽니다.
[슈퍼1]
다른 학교보다 분위기도 잘 잡혀있는 것 같아서 더 열심히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실력 광주'는
옛말이 된지 오래인데다,
바뀐 대입정책에 맞춰
지역에서 발빠르게 대응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슈퍼2]
정시 부분이 부각이 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시에 대한 비율이 상당히 커지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학교나 교육청도 변화를 좀 해야될 것 같고...
2019학년도 고교소재지별
주요 명문대,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의
입학 현황을 살펴봤더니
광주 출신 수험생의 입학비율은
2.6%로 나타났습니다.
서울 출신 학생은 36%로
세 명 중 한 명꼴이었고,
대도시 중 울산을 제외하고는
광주가 가장 적었습니다.
전남 출신 입학생의 비율도 1.7%로
제주와 충북 다음으로 낮았습니다.
시도교육청은
진학 지도나 현장 컨설팅을 강화하는 등
명문대 진학률을 높이기 위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슈퍼3]
컨설팅, 다양한 입시정보를 제공해준다는 것. 특히 올해같은 경우는 수업과 평가를 통해서
학교생활기록부에 정확하게 잘 기재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내에서의 역할을..
[슈퍼4]
명문대 입학생 수가
지역별 실력을 평가하는 잣대가 돼서는
안된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광주와 전남의 전반적인
학력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지종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명문대 입학 '하위권'
-
- 입력 2019-03-25 20:46:58
- 수정2019-03-26 00:21:00

올해
지역별 고교의 주요 명문대,
이른바 sky 대학
입학 현황을 살펴봤더니
광주.전남은 하위권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수도권 편중 현상이 심각해
지역과 서울의 차이가 컸습니다.
지종익 기잡니다.
광주의 한 고등학교.
고3 교실에서 수능에 대비해
영어 문제풀이가 한창입니다.
지역에서 비교적 많은
명문대 합격자를 배출하는 만큼,
학생들의 자부심도 큽니다.
[슈퍼1]
다른 학교보다 분위기도 잘 잡혀있는 것 같아서 더 열심히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실력 광주'는
옛말이 된지 오래인데다,
바뀐 대입정책에 맞춰
지역에서 발빠르게 대응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슈퍼2]
정시 부분이 부각이 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시에 대한 비율이 상당히 커지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학교나 교육청도 변화를 좀 해야될 것 같고...
2019학년도 고교소재지별
주요 명문대,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의
입학 현황을 살펴봤더니
광주 출신 수험생의 입학비율은
2.6%로 나타났습니다.
서울 출신 학생은 36%로
세 명 중 한 명꼴이었고,
대도시 중 울산을 제외하고는
광주가 가장 적었습니다.
전남 출신 입학생의 비율도 1.7%로
제주와 충북 다음으로 낮았습니다.
시도교육청은
진학 지도나 현장 컨설팅을 강화하는 등
명문대 진학률을 높이기 위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슈퍼3]
컨설팅, 다양한 입시정보를 제공해준다는 것. 특히 올해같은 경우는 수업과 평가를 통해서
학교생활기록부에 정확하게 잘 기재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내에서의 역할을..
[슈퍼4]
명문대 입학생 수가
지역별 실력을 평가하는 잣대가 돼서는
안된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광주와 전남의 전반적인
학력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지종익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