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만 새조개 어획량 ↓…남당항축제 타격

입력 2019.03.25 (21:45) 수정 2019.03.25 (23: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새봄을 맞아 지역 곳곳에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축제가 시작됐죠.

서해안의 대표적 별미인 새조개도
그중에 하나인데요.

하지만 가격이 금값이 될 정도로
어획량이 급감하면서 축제 자체가
존폐위기에 몰렸습니다.

송민석 기잡니다.


[리포트]
새조개로 유명한
홍성 남당항입니다.

점심시간인데도
손님이 있는 식당을 찾기 힘듭니다.

새조개가 제철을 맞았지만
값이 폭등해 손님들 발길이
뚝 끊겼습니다.

이부순/상인 [인터뷰]
"새조개 양이 없어요, 올해요. 손님이 작년에 두세 번
오시다가 한 번도 안 오세요. 그 정도로 어려워요."

올해 새조개 가격은
1 킬로에 10만 원 선으로
지난해보다 두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새조개 작황이 갈수록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실제
충남 천수만의 새조개 어획량은
2003년 정점을 찍은 뒤
해마다 줄어 3백 톤대 초반까지
떨어졌는데,
올해는 작황이 더 안 좋아
축제까지 미뤘을 정돕니다.

하지만 감소 원인은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남기웅/수산자원연구소 연구사[녹취]
"수온이 올라가면서 새조개가 살기 어려운 것 같다 이런 얘기도 하시고요.
워낙에 자원이 많이 줄어 있는 상황에서 많이 잡으니까 악순환이 반복되는 거라고 보고 있는 거예요."


조승만/충남도의원[인터뷰]
"원인을 전문기관으로 하여금 과학적, 체계적으로 정확히 분석하고
새조개 명성을 이어갈 수 있는 대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새조개 어획량 감소로
축제까지 존폐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종패사업 확대 등 자원 고갈을 막을
대책 마련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송민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천수만 새조개 어획량 ↓…남당항축제 타격
    • 입력 2019-03-25 21:45:42
    • 수정2019-03-25 23:41:21
    뉴스9(대전)
[앵커멘트] 새봄을 맞아 지역 곳곳에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축제가 시작됐죠. 서해안의 대표적 별미인 새조개도 그중에 하나인데요. 하지만 가격이 금값이 될 정도로 어획량이 급감하면서 축제 자체가 존폐위기에 몰렸습니다. 송민석 기잡니다. [리포트] 새조개로 유명한 홍성 남당항입니다. 점심시간인데도 손님이 있는 식당을 찾기 힘듭니다. 새조개가 제철을 맞았지만 값이 폭등해 손님들 발길이 뚝 끊겼습니다. 이부순/상인 [인터뷰] "새조개 양이 없어요, 올해요. 손님이 작년에 두세 번 오시다가 한 번도 안 오세요. 그 정도로 어려워요." 올해 새조개 가격은 1 킬로에 10만 원 선으로 지난해보다 두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새조개 작황이 갈수록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실제 충남 천수만의 새조개 어획량은 2003년 정점을 찍은 뒤 해마다 줄어 3백 톤대 초반까지 떨어졌는데, 올해는 작황이 더 안 좋아 축제까지 미뤘을 정돕니다. 하지만 감소 원인은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남기웅/수산자원연구소 연구사[녹취] "수온이 올라가면서 새조개가 살기 어려운 것 같다 이런 얘기도 하시고요. 워낙에 자원이 많이 줄어 있는 상황에서 많이 잡으니까 악순환이 반복되는 거라고 보고 있는 거예요." 조승만/충남도의원[인터뷰] "원인을 전문기관으로 하여금 과학적, 체계적으로 정확히 분석하고 새조개 명성을 이어갈 수 있는 대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새조개 어획량 감소로 축제까지 존폐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종패사업 확대 등 자원 고갈을 막을 대책 마련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송민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