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영유아 카시트 의무착용? 현장학습 줄줄이 취소

입력 2019.03.31 (21:41) 수정 2019.03.31 (21: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달 현장 학습을 나가려던 이 유치원의 원장은 요즘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 중입니다.

지난해 법이 바뀌어서 6살이 안 된 아이들이 전세 버스에 타려면 영유아 카시트가 다 있어야 하는데, 이게 문제입니다.

현재 승용차용 카시트를 달 수 있는 좌석을 갖춘 고속버스는 전체 2천여 대 중 69대 밖에 없습니다.

현재 어린이 통학버스는 안전벨트만 매면 되도록 돼 있습니다.

그래서 전세버스도 안전벨트만 매면 괜찮을지, 관계 부처에 문의하고 있는데, 답변도 제각각입니다.

[서울교육청 관계자/음성변조 : "교육부하고 경찰청하고 양쪽 다 질의를 해놓은 상황이에요. 명확하게 어쨌든 답변을 안 주셔서 저희가 또 잘못된 안내를 유치원에 드리면 안 되는 상황이어서…"]

이렇다 보니 학부모에게 의견을 묻거나 아예 현장학습을 취소하는 경우도 줄줄이 생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운수업자에게 지원을 해줘, 영유아용 카시트를 의무적으로 준비시키자는 내용의 법안이 준비되고 있습니다.

어린이 안전을 위한다며 법이 현실을 앞지른 상황, 정부 지원이나 법적 정비가 안 되면 현장의 혼란은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박혜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막뉴스] 영유아 카시트 의무착용? 현장학습 줄줄이 취소
    • 입력 2019-03-31 21:41:38
    • 수정2019-03-31 21:42:34
    자막뉴스
다음 달 현장 학습을 나가려던 이 유치원의 원장은 요즘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 중입니다.

지난해 법이 바뀌어서 6살이 안 된 아이들이 전세 버스에 타려면 영유아 카시트가 다 있어야 하는데, 이게 문제입니다.

현재 승용차용 카시트를 달 수 있는 좌석을 갖춘 고속버스는 전체 2천여 대 중 69대 밖에 없습니다.

현재 어린이 통학버스는 안전벨트만 매면 되도록 돼 있습니다.

그래서 전세버스도 안전벨트만 매면 괜찮을지, 관계 부처에 문의하고 있는데, 답변도 제각각입니다.

[서울교육청 관계자/음성변조 : "교육부하고 경찰청하고 양쪽 다 질의를 해놓은 상황이에요. 명확하게 어쨌든 답변을 안 주셔서 저희가 또 잘못된 안내를 유치원에 드리면 안 되는 상황이어서…"]

이렇다 보니 학부모에게 의견을 묻거나 아예 현장학습을 취소하는 경우도 줄줄이 생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운수업자에게 지원을 해줘, 영유아용 카시트를 의무적으로 준비시키자는 내용의 법안이 준비되고 있습니다.

어린이 안전을 위한다며 법이 현실을 앞지른 상황, 정부 지원이나 법적 정비가 안 되면 현장의 혼란은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박혜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