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빈집 증가...활용 대책 세워야

입력 2019.04.01 (23: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1년 이상
사람이 살지 않는 빈 집이
지방과 농촌으로 갈수록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도시 미관을 해치고
안전사고 위험도 높지만,
제대로 정비할 제도적 장치는
미미한 실정입니다.
이하늬 기잡니다.






[리포트]
도심 주택가 사이,
사람이 안 산 지
10년 가까이 된 빈집입니다.

버려진 종이와 비닐 등
불붙기 쉬운 쓰레기들이
널브러져 있고,

담벼락은 금이 간 채
금방이라도 무너질 듯합니다.

썩은 서까래는
[이펙트1]조금만 건드려도 (와르르...)
흙더미가 쏟아져 내립니다.

장기간 집이 비자,
누군가 불법으로
닭은 키운 흔적까지 발견됩니다.

김광현/ 안동시 옥정동[인터뷰]
"안 좋지, 여기도 빈집이고 저기는 들고양이들 서식지에요. 보기에도 안 좋고..."

농촌 지역은
상황이 더 심각합니다.

이 같은 빈집은
안동에만 천 백여 동이 넘고,
해마다 그 수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지난해부터
안전사고나 범죄 발생 우려가
높은 빈집을 지자체가
강제철거할 수 있는 법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안동시 예산으론
한 해 다섯 채 정도를
철거할 수 있을 뿐, 나머지는
흉물로 방치되고 있습니다.

정교순/ 안동시 건축사업팀장[인터뷰]
"단기적으로는 미관이나 안전을 해치는 것부터 철거하고, 장기적으론 활용도를 찾아"

전국의 1년 이상된 빈집은
126만 채, 백 채 중 일곱 채 꼴로,
지난 20년간 3배 이상 늘었습니다.

지방 소멸과 인구 감소로
빈집 문제가 심각해지는 만큼,
정비.활용 방안이 보다
다각적으로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하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심 빈집 증가...활용 대책 세워야
    • 입력 2019-04-01 23:40:15
    뉴스9(안동)
[앵커멘트] 1년 이상 사람이 살지 않는 빈 집이 지방과 농촌으로 갈수록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도시 미관을 해치고 안전사고 위험도 높지만, 제대로 정비할 제도적 장치는 미미한 실정입니다. 이하늬 기잡니다. [리포트] 도심 주택가 사이, 사람이 안 산 지 10년 가까이 된 빈집입니다. 버려진 종이와 비닐 등 불붙기 쉬운 쓰레기들이 널브러져 있고, 담벼락은 금이 간 채 금방이라도 무너질 듯합니다. 썩은 서까래는 [이펙트1]조금만 건드려도 (와르르...) 흙더미가 쏟아져 내립니다. 장기간 집이 비자, 누군가 불법으로 닭은 키운 흔적까지 발견됩니다. 김광현/ 안동시 옥정동[인터뷰] "안 좋지, 여기도 빈집이고 저기는 들고양이들 서식지에요. 보기에도 안 좋고..." 농촌 지역은 상황이 더 심각합니다. 이 같은 빈집은 안동에만 천 백여 동이 넘고, 해마다 그 수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지난해부터 안전사고나 범죄 발생 우려가 높은 빈집을 지자체가 강제철거할 수 있는 법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안동시 예산으론 한 해 다섯 채 정도를 철거할 수 있을 뿐, 나머지는 흉물로 방치되고 있습니다. 정교순/ 안동시 건축사업팀장[인터뷰] "단기적으로는 미관이나 안전을 해치는 것부터 철거하고, 장기적으론 활용도를 찾아" 전국의 1년 이상된 빈집은 126만 채, 백 채 중 일곱 채 꼴로, 지난 20년간 3배 이상 늘었습니다. 지방 소멸과 인구 감소로 빈집 문제가 심각해지는 만큼, 정비.활용 방안이 보다 다각적으로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하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안동-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