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최근 광양제철소의 대기오염 물질 배출에 이어 여수산단 업체들의 측정치 조작으로 대기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시민단체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대기오염에 대한 연구와 인체 영향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윤형혁 기잡니다.
[리포트]
여수와 순천, 광양 지역 시민단체들이 광양만권 대기오염과 관련한 환경포럼을 열었습니다.
무엇보다 관심은 수십 년 동안 운영해 온 석유화학 공장과 제철소로 인한 산단 주변 주민들의 건강 문제입니다.
<김정수/환경안전문제연구소 소장>
"앞으로 추가적인 (건강역학)조사가 많이 필요하다, 특히 관련해서 순천시가 주도적인 역할을 좀 해서 광양만권에 대한 건강 영향 이러한 부분들을 조사해서..."
수치 조작파문까지 더해져 심각성이 드러났지만 그동안 대기오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자료축적은 사실상 거의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박성훈/순천대 환경공학과 교수>
"장래 10년, 20년 후에라도 우리가 어떤 결론을 가지려면 어떤 연구들이 필요하겠는가 생각해 봤더니
기초연구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공식적인 데이터들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것들은 규제오염물질에 한해서입니다."
토론자들도 이같은 지적에 공감하고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김일주/여수YMCA 시민사업부장>
"미세먼지 원인물질 주요 오염물질 배출농도 측정업체를 어쩌면 공공적 성격을 가진 민간업자가 아닌
공공적 성격을 가진 배출농도 조사기관을 설립 운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산업단지에 근무하는 노동자들이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대기오염 물질 감시 체계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문길주/광주근로자센터 사무국장>
"노동자들이 사업주 눈치를 안 보고 오히려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오히려 내놓고 그래서 그 돈(비용)을 사업주로부터 받는 게 아니라
제3자나 국가로부터 받던가 기관을 만들던가 이 방식으로 가야 될 것 같습니다."
환경포럼을 주최한 지역 시민단체들은 앞으로 광양만권의 대기오염과 관련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촉구하고 대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묻는 시민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윤형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양만권 대기오염, 연구·역학조사 시급"
-
- 입력 2019-04-26 10:06:49
[앵커멘트]
최근 광양제철소의 대기오염 물질 배출에 이어 여수산단 업체들의 측정치 조작으로 대기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시민단체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대기오염에 대한 연구와 인체 영향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윤형혁 기잡니다.
[리포트]
여수와 순천, 광양 지역 시민단체들이 광양만권 대기오염과 관련한 환경포럼을 열었습니다.
무엇보다 관심은 수십 년 동안 운영해 온 석유화학 공장과 제철소로 인한 산단 주변 주민들의 건강 문제입니다.
<김정수/환경안전문제연구소 소장>
"앞으로 추가적인 (건강역학)조사가 많이 필요하다, 특히 관련해서 순천시가 주도적인 역할을 좀 해서 광양만권에 대한 건강 영향 이러한 부분들을 조사해서..."
수치 조작파문까지 더해져 심각성이 드러났지만 그동안 대기오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자료축적은 사실상 거의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박성훈/순천대 환경공학과 교수>
"장래 10년, 20년 후에라도 우리가 어떤 결론을 가지려면 어떤 연구들이 필요하겠는가 생각해 봤더니
기초연구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공식적인 데이터들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것들은 규제오염물질에 한해서입니다."
토론자들도 이같은 지적에 공감하고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김일주/여수YMCA 시민사업부장>
"미세먼지 원인물질 주요 오염물질 배출농도 측정업체를 어쩌면 공공적 성격을 가진 민간업자가 아닌
공공적 성격을 가진 배출농도 조사기관을 설립 운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산업단지에 근무하는 노동자들이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대기오염 물질 감시 체계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문길주/광주근로자센터 사무국장>
"노동자들이 사업주 눈치를 안 보고 오히려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오히려 내놓고 그래서 그 돈(비용)을 사업주로부터 받는 게 아니라
제3자나 국가로부터 받던가 기관을 만들던가 이 방식으로 가야 될 것 같습니다."
환경포럼을 주최한 지역 시민단체들은 앞으로 광양만권의 대기오염과 관련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촉구하고 대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묻는 시민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윤형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