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체감경기 두달째 오름세…“계절적 요인 작용”

입력 2019.04.30 (06: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 체감경기가 두 달 연속 개선됐지만 계절적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30일) 발표한 '2019년 4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이번달 전체 산업의 업황 BSI는 74로 한 달 전보다 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업황 BSI는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치인 100보다 낮으면 경기를 비관하는 기업이 낙관하는 기업보다 많다는 뜻입니다.

전체 산업 업황 BSI는 지난 달에 이어 두 달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제조업 업황 BSI도 75로 한 달 전보다 2포인트 올랐습니다. 다만, 계절성을 제외한 계절조정지수 기준으로는 전달과 동일한 72로 나타났습니다.

국제유가 상승과 계절적 요인으로 석유정제·코크스가 24포인트 올랐습니다.

일부 화학제품의 스프레드(원재료와 제품 판매 가격 차이) 확대로 화학물질·제품도 10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반도체 가격 하락과 재고 증가로 전자·영상·통신장비는 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제조업체 규모별로도 대기업(81)에서 4포인트, 중소기업(69)은 1포인트 각각 올랐습니다.

수출 제조기업(81), 내수 제조기업(72)은 각각 1포인트, 3포인트 업황 BSI가 상승했습니다.

비제조업 업황 BSI는 1포인트 오른 74를 기록해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계절조정지수 기준으로는 전달보다 1포인트 하락한 72로 나타났습니다.

건설업과 사업시설·사업지원·임대업이 계절적인 성수기에 진입하면서 각각 4포인트와 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반면 매출이 보통 수준으로 회귀하면서 도매·소매가 3포인트 하락했고, 물동량 회복 지연으로 운수·창고업도 7포인트 떨어졌습니다.

다음 달 전체 산업의 업황 BSI는 77로 전달보다 1포인트 올랐습니다. 제조업 업황 전망 BSI(77)도 1포인트 올랐습니다.

중국 경기부양책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감에 화학물질·제품이 6포인트 올랐고, 기타기계·장비도 6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반면 원자재가격 상승 우려로 조선·기타운수가 1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비제조업 업황 전망 BSI(77)도 1포인트 올랐습니다. 정부의 예타 제도 개편과 추경 기대감에 건설업이 3포인트 올랐고, 계절적 요인으로 예술·스포츠·여가가 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업황 전망이 두 달째 상승한 것에 대해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건설업 착공과 농기계 수요가 증가하는 등 계절적 요인이 많이 작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BSI에 소비자 동향지수(CSI)를 합쳐 산출한 경제 심리지수(ESI)는 1.1포인트 상승한 95.3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계절적 요인, 불규칙 변동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0.1포인트 하락해 92.7를 나타냈습니다.

한편 경영 애로 사항으로 제조업체(23.5%)와 비제조업체(20.1%) 모두 '내수 부진'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업 체감경기 두달째 오름세…“계절적 요인 작용”
    • 입력 2019-04-30 06:03:17
    경제
기업 체감경기가 두 달 연속 개선됐지만 계절적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30일) 발표한 '2019년 4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이번달 전체 산업의 업황 BSI는 74로 한 달 전보다 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업황 BSI는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치인 100보다 낮으면 경기를 비관하는 기업이 낙관하는 기업보다 많다는 뜻입니다.

전체 산업 업황 BSI는 지난 달에 이어 두 달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제조업 업황 BSI도 75로 한 달 전보다 2포인트 올랐습니다. 다만, 계절성을 제외한 계절조정지수 기준으로는 전달과 동일한 72로 나타났습니다.

국제유가 상승과 계절적 요인으로 석유정제·코크스가 24포인트 올랐습니다.

일부 화학제품의 스프레드(원재료와 제품 판매 가격 차이) 확대로 화학물질·제품도 10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반도체 가격 하락과 재고 증가로 전자·영상·통신장비는 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제조업체 규모별로도 대기업(81)에서 4포인트, 중소기업(69)은 1포인트 각각 올랐습니다.

수출 제조기업(81), 내수 제조기업(72)은 각각 1포인트, 3포인트 업황 BSI가 상승했습니다.

비제조업 업황 BSI는 1포인트 오른 74를 기록해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계절조정지수 기준으로는 전달보다 1포인트 하락한 72로 나타났습니다.

건설업과 사업시설·사업지원·임대업이 계절적인 성수기에 진입하면서 각각 4포인트와 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반면 매출이 보통 수준으로 회귀하면서 도매·소매가 3포인트 하락했고, 물동량 회복 지연으로 운수·창고업도 7포인트 떨어졌습니다.

다음 달 전체 산업의 업황 BSI는 77로 전달보다 1포인트 올랐습니다. 제조업 업황 전망 BSI(77)도 1포인트 올랐습니다.

중국 경기부양책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감에 화학물질·제품이 6포인트 올랐고, 기타기계·장비도 6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반면 원자재가격 상승 우려로 조선·기타운수가 1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비제조업 업황 전망 BSI(77)도 1포인트 올랐습니다. 정부의 예타 제도 개편과 추경 기대감에 건설업이 3포인트 올랐고, 계절적 요인으로 예술·스포츠·여가가 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업황 전망이 두 달째 상승한 것에 대해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건설업 착공과 농기계 수요가 증가하는 등 계절적 요인이 많이 작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BSI에 소비자 동향지수(CSI)를 합쳐 산출한 경제 심리지수(ESI)는 1.1포인트 상승한 95.3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계절적 요인, 불규칙 변동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0.1포인트 하락해 92.7를 나타냈습니다.

한편 경영 애로 사항으로 제조업체(23.5%)와 비제조업체(20.1%) 모두 '내수 부진'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