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세계불꽃대회 예산 시의회 통과…공은 다시 강원도로

입력 2019.04.30 (22:14) 수정 2019.05.01 (00: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강원도의회에서
제동이 걸렸던
춘천세계불꽃대회가
다시 추진됩니다.
춘천시의회는 오늘(29일)
대회 개최 예산 가운데
시비 부담분 4억 원을
최종 통과시켰습니다.
김영준 기잡니다.


[리포트]
춘천세계불꽃대회 개최 예산 가운데
춘천시비 부담분 4억 원이 확보됐습니다.

춘천시의회가
시민단체들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 집행부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춘천시는 불꽃대회를
지역의 핵심 관광 자원으로 육성하겠다고
화답했습니다.

심의현/춘천시 관광과장[인터뷰]
"(다른) 자치단체에서 갖췄던 장점적인 부분은 따르고, 단점은 보완해서 그렇게 계획해서 불꽃 대회를 성실히 해 보겠습니다."

남은 과제는
부족한 예산을 어떻게 확보하느냡니다.

김영준 기자/
춘천시는 강원도에 대회 개최
필요 예산 10억 원을
최대한 신속히 요청할 계획입니다.

강원도는
시의 지원 요청이 들어오면,
도의회 심의가 필요없는
특별 조정 교부금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전체 예산 18억 원 가운데
14억 원은 이렇게 확보하고,
나머지 4억 원은
입장료 수입 등으로 충당한다는 게
춘천시의 계획입니다.

하지만,
시민단체들의 반대는 여전합니다.

도의회가 반대하는 사업을
시의회가 허락했다는 점,
경제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행사에
20억 원 가까운 예산을 투자하는 것과
춘천시의 미세먼지 저감 정책에
역행하는 사업이란 점을 지적합니다.

유소영/미세먼지대책위원회[인터뷰]
"미세먼지는 생활 속에서 공포로 다가오는 위험한 물질이에요. 그 외 실효성 없는 경제성 이런 것들이 시민들에 와 닿지 않기 때문에.."

이제 공은 강원도로 넘어갔습니다.

도의회와 시민단체의 반대를
돌파하는 과정에서
다시 한번 논란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KBS뉴스 김영준입니다.(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춘천세계불꽃대회 예산 시의회 통과…공은 다시 강원도로
    • 입력 2019-04-30 22:14:25
    • 수정2019-05-01 00:30:14
    뉴스9(춘천)
[앵커멘트] 강원도의회에서 제동이 걸렸던 춘천세계불꽃대회가 다시 추진됩니다. 춘천시의회는 오늘(29일) 대회 개최 예산 가운데 시비 부담분 4억 원을 최종 통과시켰습니다. 김영준 기잡니다. [리포트] 춘천세계불꽃대회 개최 예산 가운데 춘천시비 부담분 4억 원이 확보됐습니다. 춘천시의회가 시민단체들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 집행부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춘천시는 불꽃대회를 지역의 핵심 관광 자원으로 육성하겠다고 화답했습니다. 심의현/춘천시 관광과장[인터뷰] "(다른) 자치단체에서 갖췄던 장점적인 부분은 따르고, 단점은 보완해서 그렇게 계획해서 불꽃 대회를 성실히 해 보겠습니다." 남은 과제는 부족한 예산을 어떻게 확보하느냡니다. 김영준 기자/ 춘천시는 강원도에 대회 개최 필요 예산 10억 원을 최대한 신속히 요청할 계획입니다. 강원도는 시의 지원 요청이 들어오면, 도의회 심의가 필요없는 특별 조정 교부금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전체 예산 18억 원 가운데 14억 원은 이렇게 확보하고, 나머지 4억 원은 입장료 수입 등으로 충당한다는 게 춘천시의 계획입니다. 하지만, 시민단체들의 반대는 여전합니다. 도의회가 반대하는 사업을 시의회가 허락했다는 점, 경제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행사에 20억 원 가까운 예산을 투자하는 것과 춘천시의 미세먼지 저감 정책에 역행하는 사업이란 점을 지적합니다. 유소영/미세먼지대책위원회[인터뷰] "미세먼지는 생활 속에서 공포로 다가오는 위험한 물질이에요. 그 외 실효성 없는 경제성 이런 것들이 시민들에 와 닿지 않기 때문에.." 이제 공은 강원도로 넘어갔습니다. 도의회와 시민단체의 반대를 돌파하는 과정에서 다시 한번 논란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KBS뉴스 김영준입니다.(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