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관표 주일대사 “한일 관계 새 모멘텀 마련…G20 등이 계기될 것”

입력 2019.05.07 (16:26) 수정 2019.05.07 (18: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관표 신임 주일 대사는 "자신의 부임을 계기로 한일 관계에 서로 상황이 변화할 수 있는 동력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남관표 신임 대사는 오늘 외교부에서 출입기자들과 만나 "한일 간의 과거사 문제는 양국 간에 없어질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과거사 문제가 양국 간에 실질적 협력을 하는데 영향을 미치거나 흔들지 않는 기조로 나가고자 하지만 그럴 수 없어서 안타깝다"고 말했습니다.

남 신임 대사는 그러면서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은 건 우리 정부가 한일 관계를 굉장히 중요시하고 있는 것"이라며, "한일이 상호 존중과 이해를 통해서 기존의 신뢰를 기반으로 어려운 상황을 잘 풀어내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음 달에 있을 오사카 G20 정상회담과 도쿄 올림픽 등 양국관계를 새롭게 만드는데 여건들이 조성되고 있다"며 "현지에서 내용을 잘 전달하고 소통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일 관계에 정통한 외교부 당국자는 "G20 정상회담 때 한일 정상이 회담을 한다면, 분명히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양국 간에 협의 중이고 검토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일본의 경제 보복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그런 상황은 양국 정부, 양국 국민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 될 것"이라며 "그런 일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우리 정부는 현재 단계에서는 개인 간의 법적 소송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현 단계에서 개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2015년 12월 한일 위안부 합의가 피해자들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채 정부 주도로 이뤄졌다가 부작용이 불거졌던 점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정부는 일본의 보복 가능성 등 강제징용 판결의 여파와 그에 대한 대응책에 대해서는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관표 주일대사 “한일 관계 새 모멘텀 마련…G20 등이 계기될 것”
    • 입력 2019-05-07 16:26:16
    • 수정2019-05-07 18:55:11
    정치
남관표 신임 주일 대사는 "자신의 부임을 계기로 한일 관계에 서로 상황이 변화할 수 있는 동력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남관표 신임 대사는 오늘 외교부에서 출입기자들과 만나 "한일 간의 과거사 문제는 양국 간에 없어질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과거사 문제가 양국 간에 실질적 협력을 하는데 영향을 미치거나 흔들지 않는 기조로 나가고자 하지만 그럴 수 없어서 안타깝다"고 말했습니다.

남 신임 대사는 그러면서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은 건 우리 정부가 한일 관계를 굉장히 중요시하고 있는 것"이라며, "한일이 상호 존중과 이해를 통해서 기존의 신뢰를 기반으로 어려운 상황을 잘 풀어내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음 달에 있을 오사카 G20 정상회담과 도쿄 올림픽 등 양국관계를 새롭게 만드는데 여건들이 조성되고 있다"며 "현지에서 내용을 잘 전달하고 소통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일 관계에 정통한 외교부 당국자는 "G20 정상회담 때 한일 정상이 회담을 한다면, 분명히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양국 간에 협의 중이고 검토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일본의 경제 보복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그런 상황은 양국 정부, 양국 국민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 될 것"이라며 "그런 일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우리 정부는 현재 단계에서는 개인 간의 법적 소송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현 단계에서 개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2015년 12월 한일 위안부 합의가 피해자들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채 정부 주도로 이뤄졌다가 부작용이 불거졌던 점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정부는 일본의 보복 가능성 등 강제징용 판결의 여파와 그에 대한 대응책에 대해서는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