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버스 운행 중단 안돼…지자체·노사 모두 노력해야”
입력 2019.05.12 (17:00)
수정 2019.05.12 (19: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다음 주 예고된 전국 버스 노조 파업에 대해 정부는 어떤 경우도 버스 운행이 중단되서는 안된다며 지자체와 노사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당부했습니다.
또, 이번 파업은 주 52시간제와는 직접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구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 버스 노조의 파업이 사흘 앞으로 예고된 상황.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 장관이 대책 논의를 위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정부는 먼저,이번 파업이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줄어드는 임금을 보전해달라는 노조측 주장과는 달리 대부분 업체는 주 52시간제와 직접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번에 쟁의 조정을 신청한 업체는 대부분 준공영제나 1일 2교대를 통해 이미 주 52시간제를 적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그러나, 추가 고용 대책등이 필요한 업체도 있다며 이에 대해선 정부와 지자체,노사가 함께 노력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현실적으로 시내버스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며 각 지자체가 시내버스의 안정적 운행을 위해 요금인상을 포함한 다양한 재원 마련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어떤 경우에도 버스 운행이 중단돼서는 안된다며 지자체와 노사가 조속히 합의를 만들어낼 것을 촉구했습니다.
또,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지자체와 협력해 비상수송대책을 철저히 준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고용노동부는 노선버스의 경우 지역별로 재정 여건이나 교섭상황에 차이가 있는만큼 자치단체와 노동위원회,노동청이 참여하는 지역내 협의체를 통해 노사간 교섭을 적극 지원할 방침입니다.
또, 필요한 지역에서는 기간연장을 해서라도 시민들의 불편 없이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다음 주 예고된 전국 버스 노조 파업에 대해 정부는 어떤 경우도 버스 운행이 중단되서는 안된다며 지자체와 노사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당부했습니다.
또, 이번 파업은 주 52시간제와는 직접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구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 버스 노조의 파업이 사흘 앞으로 예고된 상황.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 장관이 대책 논의를 위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정부는 먼저,이번 파업이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줄어드는 임금을 보전해달라는 노조측 주장과는 달리 대부분 업체는 주 52시간제와 직접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번에 쟁의 조정을 신청한 업체는 대부분 준공영제나 1일 2교대를 통해 이미 주 52시간제를 적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그러나, 추가 고용 대책등이 필요한 업체도 있다며 이에 대해선 정부와 지자체,노사가 함께 노력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현실적으로 시내버스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며 각 지자체가 시내버스의 안정적 운행을 위해 요금인상을 포함한 다양한 재원 마련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어떤 경우에도 버스 운행이 중단돼서는 안된다며 지자체와 노사가 조속히 합의를 만들어낼 것을 촉구했습니다.
또,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지자체와 협력해 비상수송대책을 철저히 준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고용노동부는 노선버스의 경우 지역별로 재정 여건이나 교섭상황에 차이가 있는만큼 자치단체와 노동위원회,노동청이 참여하는 지역내 협의체를 통해 노사간 교섭을 적극 지원할 방침입니다.
또, 필요한 지역에서는 기간연장을 해서라도 시민들의 불편 없이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버스 운행 중단 안돼…지자체·노사 모두 노력해야”
-
- 입력 2019-05-12 17:02:18
- 수정2019-05-12 19:48:34

[앵커]
다음 주 예고된 전국 버스 노조 파업에 대해 정부는 어떤 경우도 버스 운행이 중단되서는 안된다며 지자체와 노사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당부했습니다.
또, 이번 파업은 주 52시간제와는 직접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구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 버스 노조의 파업이 사흘 앞으로 예고된 상황.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 장관이 대책 논의를 위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정부는 먼저,이번 파업이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줄어드는 임금을 보전해달라는 노조측 주장과는 달리 대부분 업체는 주 52시간제와 직접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번에 쟁의 조정을 신청한 업체는 대부분 준공영제나 1일 2교대를 통해 이미 주 52시간제를 적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그러나, 추가 고용 대책등이 필요한 업체도 있다며 이에 대해선 정부와 지자체,노사가 함께 노력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현실적으로 시내버스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며 각 지자체가 시내버스의 안정적 운행을 위해 요금인상을 포함한 다양한 재원 마련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어떤 경우에도 버스 운행이 중단돼서는 안된다며 지자체와 노사가 조속히 합의를 만들어낼 것을 촉구했습니다.
또,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지자체와 협력해 비상수송대책을 철저히 준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고용노동부는 노선버스의 경우 지역별로 재정 여건이나 교섭상황에 차이가 있는만큼 자치단체와 노동위원회,노동청이 참여하는 지역내 협의체를 통해 노사간 교섭을 적극 지원할 방침입니다.
또, 필요한 지역에서는 기간연장을 해서라도 시민들의 불편 없이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다음 주 예고된 전국 버스 노조 파업에 대해 정부는 어떤 경우도 버스 운행이 중단되서는 안된다며 지자체와 노사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당부했습니다.
또, 이번 파업은 주 52시간제와는 직접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구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 버스 노조의 파업이 사흘 앞으로 예고된 상황.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 장관이 대책 논의를 위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정부는 먼저,이번 파업이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줄어드는 임금을 보전해달라는 노조측 주장과는 달리 대부분 업체는 주 52시간제와 직접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번에 쟁의 조정을 신청한 업체는 대부분 준공영제나 1일 2교대를 통해 이미 주 52시간제를 적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그러나, 추가 고용 대책등이 필요한 업체도 있다며 이에 대해선 정부와 지자체,노사가 함께 노력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현실적으로 시내버스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며 각 지자체가 시내버스의 안정적 운행을 위해 요금인상을 포함한 다양한 재원 마련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어떤 경우에도 버스 운행이 중단돼서는 안된다며 지자체와 노사가 조속히 합의를 만들어낼 것을 촉구했습니다.
또,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지자체와 협력해 비상수송대책을 철저히 준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고용노동부는 노선버스의 경우 지역별로 재정 여건이나 교섭상황에 차이가 있는만큼 자치단체와 노동위원회,노동청이 참여하는 지역내 협의체를 통해 노사간 교섭을 적극 지원할 방침입니다.
또, 필요한 지역에서는 기간연장을 해서라도 시민들의 불편 없이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
-
구영희 기자 younghee@kbs.co.kr
구영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