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에 주렁주렁 매달린 신기한 새집
입력 2019.05.13 (09:49)
수정 2019.05.13 (09: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다란 나무에 열매 같기도 하고 조롱박 같기도 한 것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습니다.
가까이서 보니 지푸라기로 된 주머니 안에 새가 앉아 있습니다.
어떤 것은 아직 만드는 중인지 완전한 모양이 아닙니다.
노란색 머리에 몸통엔 갈색 털이 난 이 작은 새는 일명 '베 짜기 새'로 불리는 바야위버(학명:Ploceus Philippines)입니다.
동남아시아와 인도 등에 서식하는데 조롱박 모양의 신기한 새집을 짓기로 유명합니다.
중국에는 윈난 성 남부 일부 지역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수컷은 짝짓기 철이 되면 지푸라기를 한데 뭉쳐 새집을 짓고 암컷을 유혹합니다.
[리원홍/자연자원 공안국장 : "암컷은 지어진 새집을 보고 마음에 들면 수컷과 짝짓기를 합니다."]
바야위버의 집은 강한 바람이 불면 쉽게 떨어지는데다 새집을 신기하게 여긴 주민들이 훼손하는 경우도 많아 보호기관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가까이서 보니 지푸라기로 된 주머니 안에 새가 앉아 있습니다.
어떤 것은 아직 만드는 중인지 완전한 모양이 아닙니다.
노란색 머리에 몸통엔 갈색 털이 난 이 작은 새는 일명 '베 짜기 새'로 불리는 바야위버(학명:Ploceus Philippines)입니다.
동남아시아와 인도 등에 서식하는데 조롱박 모양의 신기한 새집을 짓기로 유명합니다.
중국에는 윈난 성 남부 일부 지역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수컷은 짝짓기 철이 되면 지푸라기를 한데 뭉쳐 새집을 짓고 암컷을 유혹합니다.
[리원홍/자연자원 공안국장 : "암컷은 지어진 새집을 보고 마음에 들면 수컷과 짝짓기를 합니다."]
바야위버의 집은 강한 바람이 불면 쉽게 떨어지는데다 새집을 신기하게 여긴 주민들이 훼손하는 경우도 많아 보호기관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나무에 주렁주렁 매달린 신기한 새집
-
- 입력 2019-05-13 09:50:54
- 수정2019-05-13 09:54:56
![](/data/news/2019/05/13/4199324_130.jpg)
커다란 나무에 열매 같기도 하고 조롱박 같기도 한 것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습니다.
가까이서 보니 지푸라기로 된 주머니 안에 새가 앉아 있습니다.
어떤 것은 아직 만드는 중인지 완전한 모양이 아닙니다.
노란색 머리에 몸통엔 갈색 털이 난 이 작은 새는 일명 '베 짜기 새'로 불리는 바야위버(학명:Ploceus Philippines)입니다.
동남아시아와 인도 등에 서식하는데 조롱박 모양의 신기한 새집을 짓기로 유명합니다.
중국에는 윈난 성 남부 일부 지역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수컷은 짝짓기 철이 되면 지푸라기를 한데 뭉쳐 새집을 짓고 암컷을 유혹합니다.
[리원홍/자연자원 공안국장 : "암컷은 지어진 새집을 보고 마음에 들면 수컷과 짝짓기를 합니다."]
바야위버의 집은 강한 바람이 불면 쉽게 떨어지는데다 새집을 신기하게 여긴 주민들이 훼손하는 경우도 많아 보호기관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가까이서 보니 지푸라기로 된 주머니 안에 새가 앉아 있습니다.
어떤 것은 아직 만드는 중인지 완전한 모양이 아닙니다.
노란색 머리에 몸통엔 갈색 털이 난 이 작은 새는 일명 '베 짜기 새'로 불리는 바야위버(학명:Ploceus Philippines)입니다.
동남아시아와 인도 등에 서식하는데 조롱박 모양의 신기한 새집을 짓기로 유명합니다.
중국에는 윈난 성 남부 일부 지역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수컷은 짝짓기 철이 되면 지푸라기를 한데 뭉쳐 새집을 짓고 암컷을 유혹합니다.
[리원홍/자연자원 공안국장 : "암컷은 지어진 새집을 보고 마음에 들면 수컷과 짝짓기를 합니다."]
바야위버의 집은 강한 바람이 불면 쉽게 떨어지는데다 새집을 신기하게 여긴 주민들이 훼손하는 경우도 많아 보호기관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