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화웨이 견제 독(毒)일까? “화웨이, 핵심 부품 1년치 이미 비축”

입력 2019.05.17 (16:20) 수정 2019.05.17 (18: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미중 무역전쟁 속에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수개월에서 1년치의 부품을 쌓아뒀다고 닛케이아시안리뷰가 소식통을 인용해 17일 보도했습니다.

화웨이는 6개월 전에 글로벌 부품업체들에 1년치의 핵심 부품을 비축하려 한다고 말했다고 복수의 소식통이 말했습니다.

화웨이와 계열사들은 미국 상무부의 수출 통제 리스트에 올랐으며, 이는 미국에서 기업들이 화웨이에 부품을 팔려면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화웨이는 통제 대상이 될 위험이 높은 일부 부품은 6개월에서 1년 이상 사용할 부품을 쌓아뒀으며, 비핵심 부품은 적어도 3개월치를 비축했습니다.

한 소식통은 "화웨이는 전에는 세계 최고나 2위 업체들의 부품만 사용했는데 올해는 각 부품당 공급업체를 3∼4개로 늘렸다"면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미국의 금지나 다른 무역 불확실성 때문에 화웨이의 스마트폰과 서버, 통신장비 제품 생산에 문제가 생기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는 것이었다"고 말했습니다.

화웨이는 미국 업체들에 많이 의존하는 반도체 장치도 2년 반 안에 자체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습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도 이날 사평에서 화웨이가 미국의 위협 속에 위기감을 갖고 핵심 기술을 독자 연구·개발하고 부품 공급망을 백업으로 구축했다면서 미국이 화웨이에 충격을 줄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미국 내에 화웨이의 부품업체는 모바일 칩의 중요 공급원이자 핵심적인 특허를 많이 보유한 퀄컴을 비롯해 메모리 업체 마이크론과 프로세서 메이커 인텔, 무선주파수 칩 업체 스카이워크스와 코보, 광학부품업체 피니사 등이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화웨이 견제 독(毒)일까? “화웨이, 핵심 부품 1년치 이미 비축”
    • 입력 2019-05-17 16:20:16
    • 수정2019-05-17 18:36:38
    국제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미중 무역전쟁 속에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수개월에서 1년치의 부품을 쌓아뒀다고 닛케이아시안리뷰가 소식통을 인용해 17일 보도했습니다.

화웨이는 6개월 전에 글로벌 부품업체들에 1년치의 핵심 부품을 비축하려 한다고 말했다고 복수의 소식통이 말했습니다.

화웨이와 계열사들은 미국 상무부의 수출 통제 리스트에 올랐으며, 이는 미국에서 기업들이 화웨이에 부품을 팔려면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화웨이는 통제 대상이 될 위험이 높은 일부 부품은 6개월에서 1년 이상 사용할 부품을 쌓아뒀으며, 비핵심 부품은 적어도 3개월치를 비축했습니다.

한 소식통은 "화웨이는 전에는 세계 최고나 2위 업체들의 부품만 사용했는데 올해는 각 부품당 공급업체를 3∼4개로 늘렸다"면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미국의 금지나 다른 무역 불확실성 때문에 화웨이의 스마트폰과 서버, 통신장비 제품 생산에 문제가 생기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는 것이었다"고 말했습니다.

화웨이는 미국 업체들에 많이 의존하는 반도체 장치도 2년 반 안에 자체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습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도 이날 사평에서 화웨이가 미국의 위협 속에 위기감을 갖고 핵심 기술을 독자 연구·개발하고 부품 공급망을 백업으로 구축했다면서 미국이 화웨이에 충격을 줄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미국 내에 화웨이의 부품업체는 모바일 칩의 중요 공급원이자 핵심적인 특허를 많이 보유한 퀄컴을 비롯해 메모리 업체 마이크론과 프로세서 메이커 인텔, 무선주파수 칩 업체 스카이워크스와 코보, 광학부품업체 피니사 등이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