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시범 개방 농민 반발로 무산
입력 2019.05.21 (18:40)
수정 2019.05.22 (09: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32년 만에 열리나 했던 낙동강 하굿둑이 역시 열리지 않았습니다.
한 시간가량의 시범 개방이지만 농민들의 반발로 연기됐습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농민이 모내기를 위해 논에 물을 대고 있습니다. 강서구 농민들은 짭짤이 토마토 농사가 끝난 다음 이렇게 벼농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농업용수는 대부분 낙동강 물을 끌어온 겁니다.
그런 만큼 한두 시간 시범 개방일지라도 낙동강 하굿둑을 개방해 바닷물이 올라오는 것에 대해 걱정이 많습니다.
강화식/[인터뷰]농업경영인연합 강서지부 회장
"한 시간 열든 두 시간을 열든 바닷물이 들어오는 건 사실이잖아요 바닷물에 사는 농작물이 있습니까? 우리가 생각하는 상상 이상으로 스며든다고"
이런 농민들의 반대 때문에 어젯밤 9시 반으로 예정됐던 낙동강 하굿둑 수문 시범개방이 무산됐습니다.
이번 시범 개방은 바닷물을 낙동강 쪽으로 3~5km가량 유입시켜 낙동강은 물론 지하수에 대한 염분 침투를 모터링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부산시는 시범 개방을 해본 뒤에야 농업 피해의 가능성과 범위가 예측되고 대책도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송양호/부산시 물정책국장 [인터뷰]
"염분도가 지하수에 영향을‥ 맥도 정도에 미치는 지, 안 미치는지 전문가들의 충분한 검토를, 기술적 검토를 거쳐 추진하도록 하고"
부산시와 환경부 등 5개 관계기관은 6월 초 다시 낙동강 하굿둑 시범개방을 시도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농민들은 염분 피해에 대한 대책 없이는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서 실제 시행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32년 만에 열리나 했던 낙동강 하굿둑이 역시 열리지 않았습니다.
한 시간가량의 시범 개방이지만 농민들의 반발로 연기됐습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농민이 모내기를 위해 논에 물을 대고 있습니다. 강서구 농민들은 짭짤이 토마토 농사가 끝난 다음 이렇게 벼농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농업용수는 대부분 낙동강 물을 끌어온 겁니다.
그런 만큼 한두 시간 시범 개방일지라도 낙동강 하굿둑을 개방해 바닷물이 올라오는 것에 대해 걱정이 많습니다.
강화식/[인터뷰]농업경영인연합 강서지부 회장
"한 시간 열든 두 시간을 열든 바닷물이 들어오는 건 사실이잖아요 바닷물에 사는 농작물이 있습니까? 우리가 생각하는 상상 이상으로 스며든다고"
이런 농민들의 반대 때문에 어젯밤 9시 반으로 예정됐던 낙동강 하굿둑 수문 시범개방이 무산됐습니다.
이번 시범 개방은 바닷물을 낙동강 쪽으로 3~5km가량 유입시켜 낙동강은 물론 지하수에 대한 염분 침투를 모터링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부산시는 시범 개방을 해본 뒤에야 농업 피해의 가능성과 범위가 예측되고 대책도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송양호/부산시 물정책국장 [인터뷰]
"염분도가 지하수에 영향을‥ 맥도 정도에 미치는 지, 안 미치는지 전문가들의 충분한 검토를, 기술적 검토를 거쳐 추진하도록 하고"
부산시와 환경부 등 5개 관계기관은 6월 초 다시 낙동강 하굿둑 시범개방을 시도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농민들은 염분 피해에 대한 대책 없이는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서 실제 시행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낙동강 하굿둑 시범 개방 농민 반발로 무산
-
- 입력 2019-05-22 01:12:40
- 수정2019-05-22 09:44:53

[앵커멘트]
32년 만에 열리나 했던 낙동강 하굿둑이 역시 열리지 않았습니다.
한 시간가량의 시범 개방이지만 농민들의 반발로 연기됐습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농민이 모내기를 위해 논에 물을 대고 있습니다. 강서구 농민들은 짭짤이 토마토 농사가 끝난 다음 이렇게 벼농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농업용수는 대부분 낙동강 물을 끌어온 겁니다.
그런 만큼 한두 시간 시범 개방일지라도 낙동강 하굿둑을 개방해 바닷물이 올라오는 것에 대해 걱정이 많습니다.
강화식/[인터뷰]농업경영인연합 강서지부 회장
"한 시간 열든 두 시간을 열든 바닷물이 들어오는 건 사실이잖아요 바닷물에 사는 농작물이 있습니까? 우리가 생각하는 상상 이상으로 스며든다고"
이런 농민들의 반대 때문에 어젯밤 9시 반으로 예정됐던 낙동강 하굿둑 수문 시범개방이 무산됐습니다.
이번 시범 개방은 바닷물을 낙동강 쪽으로 3~5km가량 유입시켜 낙동강은 물론 지하수에 대한 염분 침투를 모터링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부산시는 시범 개방을 해본 뒤에야 농업 피해의 가능성과 범위가 예측되고 대책도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송양호/부산시 물정책국장 [인터뷰]
"염분도가 지하수에 영향을‥ 맥도 정도에 미치는 지, 안 미치는지 전문가들의 충분한 검토를, 기술적 검토를 거쳐 추진하도록 하고"
부산시와 환경부 등 5개 관계기관은 6월 초 다시 낙동강 하굿둑 시범개방을 시도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농민들은 염분 피해에 대한 대책 없이는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서 실제 시행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
-
강지아 기자 jia@kbs.co.kr
강지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