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유입 정착 안간힘
입력 2019.06.11 (21:52)
수정 2019.06.12 (03: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지방소멸 기획뉴스입니다.
지방소멸이 이미
시작된 단계에서
지자체들의 정책 방향은
청년층 유입에 맞춰져 있습니다.
특색 없는
재정 지원형 정책보다는
청년층의 눈높이에 맞춘
지속 가능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고령에서
수제 과일청 가게를 연 김유진 씨.
20대 중반인 유진 씨는
제주에서 태어나
전주의 공공기관에서 일했습니다.
평소 꿈꿨던 삶을 찾던 중
경북의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도를 통해
아무런 연고가 없는
고령에 정착하게 됐습니다.
김유진 / 고령군 정착 청년"제가 자율적으로 주도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인 것 같고요. 아직 젊잖아요. 젊으니까 뭔가 도전을 계속 할 수 있다는 게 좋아요."[인터뷰]
지난 한 해 동안에만
20대 청년 6만 4천여 명이
서울 수도권으로 몰려들 정도로
젊은 층의 수도권 집중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런 현실에서 경북도는
의성에 이웃사촌 마을을 조성하고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도를 확대하는 등
청년층 유입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대구시는
일반 청년 지원 정책은 물론
지역을 떠났던 청년들이
돌아올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청년 귀환 프로젝트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김요한 / 대구시 청년정책과장[인터뷰]
"출향청년들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또 청년들에게 지역의 일자리를 비롯한 정책과 도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다만 비슷비슷한 재정 지원 정책보다는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독창적 해법이 필요하고,
유입된 청년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청년층의 요구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
일관성도 중요합니다.
얼마나 많은 청년을
끌어들이느냐에 따라
각 지자체의 미래 모습도
달라지게 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지방소멸 기획뉴스입니다.
지방소멸이 이미
시작된 단계에서
지자체들의 정책 방향은
청년층 유입에 맞춰져 있습니다.
특색 없는
재정 지원형 정책보다는
청년층의 눈높이에 맞춘
지속 가능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고령에서
수제 과일청 가게를 연 김유진 씨.
20대 중반인 유진 씨는
제주에서 태어나
전주의 공공기관에서 일했습니다.
평소 꿈꿨던 삶을 찾던 중
경북의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도를 통해
아무런 연고가 없는
고령에 정착하게 됐습니다.
김유진 / 고령군 정착 청년"제가 자율적으로 주도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인 것 같고요. 아직 젊잖아요. 젊으니까 뭔가 도전을 계속 할 수 있다는 게 좋아요."[인터뷰]
지난 한 해 동안에만
20대 청년 6만 4천여 명이
서울 수도권으로 몰려들 정도로
젊은 층의 수도권 집중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런 현실에서 경북도는
의성에 이웃사촌 마을을 조성하고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도를 확대하는 등
청년층 유입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대구시는
일반 청년 지원 정책은 물론
지역을 떠났던 청년들이
돌아올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청년 귀환 프로젝트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김요한 / 대구시 청년정책과장[인터뷰]
"출향청년들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또 청년들에게 지역의 일자리를 비롯한 정책과 도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다만 비슷비슷한 재정 지원 정책보다는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독창적 해법이 필요하고,
유입된 청년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청년층의 요구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
일관성도 중요합니다.
얼마나 많은 청년을
끌어들이느냐에 따라
각 지자체의 미래 모습도
달라지게 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년' 유입 정착 안간힘
-
- 입력 2019-06-11 21:52:15
- 수정2019-06-12 03:44:44
[앵커멘트]
지방소멸 기획뉴스입니다.
지방소멸이 이미
시작된 단계에서
지자체들의 정책 방향은
청년층 유입에 맞춰져 있습니다.
특색 없는
재정 지원형 정책보다는
청년층의 눈높이에 맞춘
지속 가능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고령에서
수제 과일청 가게를 연 김유진 씨.
20대 중반인 유진 씨는
제주에서 태어나
전주의 공공기관에서 일했습니다.
평소 꿈꿨던 삶을 찾던 중
경북의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도를 통해
아무런 연고가 없는
고령에 정착하게 됐습니다.
김유진 / 고령군 정착 청년"제가 자율적으로 주도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인 것 같고요. 아직 젊잖아요. 젊으니까 뭔가 도전을 계속 할 수 있다는 게 좋아요."[인터뷰]
지난 한 해 동안에만
20대 청년 6만 4천여 명이
서울 수도권으로 몰려들 정도로
젊은 층의 수도권 집중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런 현실에서 경북도는
의성에 이웃사촌 마을을 조성하고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도를 확대하는 등
청년층 유입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대구시는
일반 청년 지원 정책은 물론
지역을 떠났던 청년들이
돌아올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청년 귀환 프로젝트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김요한 / 대구시 청년정책과장[인터뷰]
"출향청년들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또 청년들에게 지역의 일자리를 비롯한 정책과 도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다만 비슷비슷한 재정 지원 정책보다는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독창적 해법이 필요하고,
유입된 청년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청년층의 요구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
일관성도 중요합니다.
얼마나 많은 청년을
끌어들이느냐에 따라
각 지자체의 미래 모습도
달라지게 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
-
김도훈 기자 kinchy@kbs.co.kr
김도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