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대응 지침 손질 불가피
입력 2019.06.11 (22:01)
수정 2019.06.12 (04: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올해 4월
동해안 산 불에서 보듯
산불은 동시다발적이고
대형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 봄가을에 치중됐던 산불이
이젠 연중 발생하고 있어서
대응 지침에 대한 손질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높습니다.
보도에 심재남 기잡니다.
[리포트]
산불재난 특수진화대원들이
산림에서 제초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산림 사업을 하다가,
산불이 나면
현장으로 이동해 진화작업을 벌입니다.
하지만,
동시 다발적이거나
장기적인 산불에
대처하기가 어렵습니다.
춘천국유림관리소의 경우
한 명이 7천 만 제곱미터의 산림을
담당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일선 시군은
특수진화대원이 아예 없습니다.
임종필/춘천국유림관리소 산불재난 특수진화대 조장/[인터뷰]
"2개조 밖에 안되다 보니까, 인원도 부족하고 우리 대원들의 피로감이 상당히 많아서 이번 진화하는데 애로사항이 좀 많았습니다." 000835
국유림관리소와 시군이
일반진화대와 산불감시원을 활용하지만
실효성에 의문입니다.
산불이 계절을 가리지 않고
연중 발생하고 있지만
봄과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에만
운영하기 때문입니다.
지난 한해
여름과 겨울철의 산불발생비율은
각각 21%와 38%로,
전년도의 12%와 18%보다
증가했습니다.
산불조심기간
운영에 대한 무용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윤태정/강원도 동해안산불방지센터 실장/[인터뷰]
"감시원들도 지금은 현재 한 5개월 정도 지금 운영을 하고 있는데, 이것도 지금 연중 산불이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도 이제 기간을 좀 늘려야 된다." 26
100만 제곱미터 이상이나
24시간 이상 지속된 산불은
도지사가 지휘하도록 돼 있지만,
배치된 전담 인력이 부족해
산불의 대형화와 야간화 등에
대처가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심재남입니다.(끝)
올해 4월
동해안 산 불에서 보듯
산불은 동시다발적이고
대형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 봄가을에 치중됐던 산불이
이젠 연중 발생하고 있어서
대응 지침에 대한 손질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높습니다.
보도에 심재남 기잡니다.
[리포트]
산불재난 특수진화대원들이
산림에서 제초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산림 사업을 하다가,
산불이 나면
현장으로 이동해 진화작업을 벌입니다.
하지만,
동시 다발적이거나
장기적인 산불에
대처하기가 어렵습니다.
춘천국유림관리소의 경우
한 명이 7천 만 제곱미터의 산림을
담당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일선 시군은
특수진화대원이 아예 없습니다.
임종필/춘천국유림관리소 산불재난 특수진화대 조장/[인터뷰]
"2개조 밖에 안되다 보니까, 인원도 부족하고 우리 대원들의 피로감이 상당히 많아서 이번 진화하는데 애로사항이 좀 많았습니다." 000835
국유림관리소와 시군이
일반진화대와 산불감시원을 활용하지만
실효성에 의문입니다.
산불이 계절을 가리지 않고
연중 발생하고 있지만
봄과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에만
운영하기 때문입니다.
지난 한해
여름과 겨울철의 산불발생비율은
각각 21%와 38%로,
전년도의 12%와 18%보다
증가했습니다.
산불조심기간
운영에 대한 무용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윤태정/강원도 동해안산불방지센터 실장/[인터뷰]
"감시원들도 지금은 현재 한 5개월 정도 지금 운영을 하고 있는데, 이것도 지금 연중 산불이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도 이제 기간을 좀 늘려야 된다." 26
100만 제곱미터 이상이나
24시간 이상 지속된 산불은
도지사가 지휘하도록 돼 있지만,
배치된 전담 인력이 부족해
산불의 대형화와 야간화 등에
대처가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심재남입니다.(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 대응 지침 손질 불가피
-
- 입력 2019-06-11 22:01:20
- 수정2019-06-12 04:14:06

[앵커멘트]
올해 4월
동해안 산 불에서 보듯
산불은 동시다발적이고
대형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 봄가을에 치중됐던 산불이
이젠 연중 발생하고 있어서
대응 지침에 대한 손질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높습니다.
보도에 심재남 기잡니다.
[리포트]
산불재난 특수진화대원들이
산림에서 제초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산림 사업을 하다가,
산불이 나면
현장으로 이동해 진화작업을 벌입니다.
하지만,
동시 다발적이거나
장기적인 산불에
대처하기가 어렵습니다.
춘천국유림관리소의 경우
한 명이 7천 만 제곱미터의 산림을
담당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일선 시군은
특수진화대원이 아예 없습니다.
임종필/춘천국유림관리소 산불재난 특수진화대 조장/[인터뷰]
"2개조 밖에 안되다 보니까, 인원도 부족하고 우리 대원들의 피로감이 상당히 많아서 이번 진화하는데 애로사항이 좀 많았습니다." 000835
국유림관리소와 시군이
일반진화대와 산불감시원을 활용하지만
실효성에 의문입니다.
산불이 계절을 가리지 않고
연중 발생하고 있지만
봄과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에만
운영하기 때문입니다.
지난 한해
여름과 겨울철의 산불발생비율은
각각 21%와 38%로,
전년도의 12%와 18%보다
증가했습니다.
산불조심기간
운영에 대한 무용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윤태정/강원도 동해안산불방지센터 실장/[인터뷰]
"감시원들도 지금은 현재 한 5개월 정도 지금 운영을 하고 있는데, 이것도 지금 연중 산불이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도 이제 기간을 좀 늘려야 된다." 26
100만 제곱미터 이상이나
24시간 이상 지속된 산불은
도지사가 지휘하도록 돼 있지만,
배치된 전담 인력이 부족해
산불의 대형화와 야간화 등에
대처가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심재남입니다.(끝)
-
-
심재남 기자 jnshim@kbs.co.kr
심재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