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비용도 못 번 기업 10곳 중 3곳…8년 만에 최고

입력 2019.06.20 (11:00) 수정 2019.06.20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주요 기업 10곳 중 3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대지 못했고, 7곳 중엔 한 곳은 3년 연속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쓰러지기 직전인 '한계기업'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미·중 무역분쟁이 최악으로 치달으면 이 비중은 40%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0일) 국회에 제출한 '2018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주요 기업 2만 천여곳 중에서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 비중은 32.1%에 달했습니다.

이는 한은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0년 이후 최고치였습니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채무상환능력 나타내는 지표인데, 이 배율이 1보다 낮다는 것은 영업이익이 이자비용 보다 적었다는 의미입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34.0%)을 중심으로, 업종별로는 조선(54.9%), 자동차(37.8%), 숙박음식(57.7%)에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2018년 기준으로 2년 연속 1미만 기업 비중은 20.4%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상승했고, 3년 연속 1미만을 기록한 '한계 기업' 비중도 14.1%로 0.4%포인트 올랐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작년 들어 수익성이 저하되고 차입비용이 오르면서 이자보상배율이 하락하는 모습"이라며 "특히 수익성 악화가 주요인이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지난해 5.9로 전년(6.3)보다 낮아졌는데, 전기전자 업종을 제외하면 3.9로 2015년(3.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습니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7.5(전기전자 업종 제외 시 4.6), 중소기업은 2.5를 기록했습니다.

한은은 경영여건이 악화할 경우, 특히 무역분쟁이 심해져 기업 매출에 전방위적 타격이 가해질 경우(매출액 3% 감소, 주력 수출업종 6% 감소)를 가정해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5.9인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은 5.1로 더 낮아졌습니다. 대기업은 7.5에서 6.6으로, 중소기업은 2.5에서 2.2로 각각 하락했습니다.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의 비중은 32.1%에서 37.5%로 4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됐고, 이들 기업에 대한 여신의 비중은 32.1%에서 38.6%로 상승했습니다.

한은은 무역 분쟁에 집값 급락이 겹칠 경우 금융회사들이 받을 충격도 분석했습니다. 올해와 내년 세계·국내총생산이 2.0%와 3.3%씩 줄고 집값이 15.6% 하락하는 것을 가정했습니다.

이같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은행들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4%에서 12.5%로 내려갔습니다. BIS 비율 규제 기준치는 10.5∼11.5%입니다.

상호금융 순자본비율(8.4%→7.7%)과 저축은행 자기자본비율(14.3%→11.2%), 신용카드사 조정자기자본비율(22.9%→18.0%) 모두 하락하긴 하지만 기준치는 웃돌았습니다.

한은은 "무역분쟁 심화와 주택가격 하락이 동시에 발생하는 예외적 상황에서도 국내 금융회사는 규제 수준을 상회하는 자본비율을 유지해 복원력이 양호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개별 금융회사 차원에서 규제 기준보다 낮아지는 곳이 생길 수 있다"며 보험회사와 증권회사 등 상대적으로 취약한 비은행에서 은행으로의 '전이 효과'를 우려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자비용도 못 번 기업 10곳 중 3곳…8년 만에 최고
    • 입력 2019-06-20 11:00:32
    • 수정2019-06-20 15:00:51
    경제
지난해 주요 기업 10곳 중 3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대지 못했고, 7곳 중엔 한 곳은 3년 연속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쓰러지기 직전인 '한계기업'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미·중 무역분쟁이 최악으로 치달으면 이 비중은 40%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0일) 국회에 제출한 '2018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주요 기업 2만 천여곳 중에서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 비중은 32.1%에 달했습니다.

이는 한은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0년 이후 최고치였습니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채무상환능력 나타내는 지표인데, 이 배율이 1보다 낮다는 것은 영업이익이 이자비용 보다 적었다는 의미입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34.0%)을 중심으로, 업종별로는 조선(54.9%), 자동차(37.8%), 숙박음식(57.7%)에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2018년 기준으로 2년 연속 1미만 기업 비중은 20.4%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상승했고, 3년 연속 1미만을 기록한 '한계 기업' 비중도 14.1%로 0.4%포인트 올랐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작년 들어 수익성이 저하되고 차입비용이 오르면서 이자보상배율이 하락하는 모습"이라며 "특히 수익성 악화가 주요인이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지난해 5.9로 전년(6.3)보다 낮아졌는데, 전기전자 업종을 제외하면 3.9로 2015년(3.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습니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7.5(전기전자 업종 제외 시 4.6), 중소기업은 2.5를 기록했습니다.

한은은 경영여건이 악화할 경우, 특히 무역분쟁이 심해져 기업 매출에 전방위적 타격이 가해질 경우(매출액 3% 감소, 주력 수출업종 6% 감소)를 가정해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5.9인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은 5.1로 더 낮아졌습니다. 대기업은 7.5에서 6.6으로, 중소기업은 2.5에서 2.2로 각각 하락했습니다.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의 비중은 32.1%에서 37.5%로 4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됐고, 이들 기업에 대한 여신의 비중은 32.1%에서 38.6%로 상승했습니다.

한은은 무역 분쟁에 집값 급락이 겹칠 경우 금융회사들이 받을 충격도 분석했습니다. 올해와 내년 세계·국내총생산이 2.0%와 3.3%씩 줄고 집값이 15.6% 하락하는 것을 가정했습니다.

이같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은행들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4%에서 12.5%로 내려갔습니다. BIS 비율 규제 기준치는 10.5∼11.5%입니다.

상호금융 순자본비율(8.4%→7.7%)과 저축은행 자기자본비율(14.3%→11.2%), 신용카드사 조정자기자본비율(22.9%→18.0%) 모두 하락하긴 하지만 기준치는 웃돌았습니다.

한은은 "무역분쟁 심화와 주택가격 하락이 동시에 발생하는 예외적 상황에서도 국내 금융회사는 규제 수준을 상회하는 자본비율을 유지해 복원력이 양호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개별 금융회사 차원에서 규제 기준보다 낮아지는 곳이 생길 수 있다"며 보험회사와 증권회사 등 상대적으로 취약한 비은행에서 은행으로의 '전이 효과'를 우려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