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형일자리 '투트랙' 추진..우려도 나와
입력 2019.06.23 (21:36)
수정 2019.06.23 (22: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광주형 일자리에 이어,
정부가 다음 달까지
노사민정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추가 선정하는데요.
전라북도는
준비 기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두 가지의 군산형 일자리 모델 사업을
함께 신청하기로 해
우려가 큽니다.
조경모 기잡니다.
[리포트]
전기차 생산을 위해
한국지엠 군산공장을 인수한
MS그룹 컨소시엄.
하지만 명신과 엠에스오토택이
주도하지만
일부 기업이 중도에 포기하면서
전체 참여기업의 윤곽이
아직 명확하게 그려지지 않았습니다.
------화면전환-------
새만금 산업단지에
전기차 생산 공장을 짓고 있는
에디슨모터스 등 4개 중견기업.
기술력은 갖췄지만,
중소기업이다 보니
추가 투자 여력이 있는지 불확실합니다.
이상직/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인터뷰]
"중소벤처기업들이 직접 투자를 해서 오는 건 수평적 구조입니다. 상하관계가 아니고. 그러기 때문에 이 지역에 가장 맞는 일자리 모델이고요. "
전라북도는
정부의 노사민정 상생형일자리 모델 공모에
MS그룹 컨소시엄과
에디슨모터스 등 전기차 클러스터를
둘다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모두 사업 계획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달 남짓한 일정이 촉박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또 공모 선정을 목적으로
추진을 서두르다 보면
각 주체 간 합의라는
상생형 일자리 모델의 기본정신을
훼손할 수 있다는 겁니다.
최재춘 / 민노총 군산시지부장[녹취]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 돼버린 것이 현재 우리 사회입니다. 그러면 이것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 것인가가 바로 이런(상생형 일자리) 논의의 시발점이지 않나."
또, 전기차 산업의
시장 전망이나 고용 안정성 분석 등
지속가능한 생산 체계 구축을 위한
선행 연구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채준호 /전북대 경영학과 교수[녹취]
"우리 지역의 전기차는 어떤 목표로 해서, 어떤 것을 주 생산모델로 가져갈 것인가 이런 면밀한 연구가 없이 진행되고 있는 것도 고민스러운 부분이에요."
경기 침체에 빠진
군산 경기 회복을 위한
군산형 일자리 사업,
하지만 두 가지 모델을 동시 추진하면서
최종 성사 여부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광주형 일자리에 이어,
정부가 다음 달까지
노사민정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추가 선정하는데요.
전라북도는
준비 기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두 가지의 군산형 일자리 모델 사업을
함께 신청하기로 해
우려가 큽니다.
조경모 기잡니다.
[리포트]
전기차 생산을 위해
한국지엠 군산공장을 인수한
MS그룹 컨소시엄.
하지만 명신과 엠에스오토택이
주도하지만
일부 기업이 중도에 포기하면서
전체 참여기업의 윤곽이
아직 명확하게 그려지지 않았습니다.
------화면전환-------
새만금 산업단지에
전기차 생산 공장을 짓고 있는
에디슨모터스 등 4개 중견기업.
기술력은 갖췄지만,
중소기업이다 보니
추가 투자 여력이 있는지 불확실합니다.
이상직/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인터뷰]
"중소벤처기업들이 직접 투자를 해서 오는 건 수평적 구조입니다. 상하관계가 아니고. 그러기 때문에 이 지역에 가장 맞는 일자리 모델이고요. "
전라북도는
정부의 노사민정 상생형일자리 모델 공모에
MS그룹 컨소시엄과
에디슨모터스 등 전기차 클러스터를
둘다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모두 사업 계획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달 남짓한 일정이 촉박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또 공모 선정을 목적으로
추진을 서두르다 보면
각 주체 간 합의라는
상생형 일자리 모델의 기본정신을
훼손할 수 있다는 겁니다.
최재춘 / 민노총 군산시지부장[녹취]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 돼버린 것이 현재 우리 사회입니다. 그러면 이것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 것인가가 바로 이런(상생형 일자리) 논의의 시발점이지 않나."
또, 전기차 산업의
시장 전망이나 고용 안정성 분석 등
지속가능한 생산 체계 구축을 위한
선행 연구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채준호 /전북대 경영학과 교수[녹취]
"우리 지역의 전기차는 어떤 목표로 해서, 어떤 것을 주 생산모델로 가져갈 것인가 이런 면밀한 연구가 없이 진행되고 있는 것도 고민스러운 부분이에요."
경기 침체에 빠진
군산 경기 회복을 위한
군산형 일자리 사업,
하지만 두 가지 모델을 동시 추진하면서
최종 성사 여부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군산형일자리 '투트랙' 추진..우려도 나와
-
- 입력 2019-06-23 21:36:38
- 수정2019-06-23 22:44:23

[앵커멘트]
광주형 일자리에 이어,
정부가 다음 달까지
노사민정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추가 선정하는데요.
전라북도는
준비 기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두 가지의 군산형 일자리 모델 사업을
함께 신청하기로 해
우려가 큽니다.
조경모 기잡니다.
[리포트]
전기차 생산을 위해
한국지엠 군산공장을 인수한
MS그룹 컨소시엄.
하지만 명신과 엠에스오토택이
주도하지만
일부 기업이 중도에 포기하면서
전체 참여기업의 윤곽이
아직 명확하게 그려지지 않았습니다.
------화면전환-------
새만금 산업단지에
전기차 생산 공장을 짓고 있는
에디슨모터스 등 4개 중견기업.
기술력은 갖췄지만,
중소기업이다 보니
추가 투자 여력이 있는지 불확실합니다.
이상직/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인터뷰]
"중소벤처기업들이 직접 투자를 해서 오는 건 수평적 구조입니다. 상하관계가 아니고. 그러기 때문에 이 지역에 가장 맞는 일자리 모델이고요. "
전라북도는
정부의 노사민정 상생형일자리 모델 공모에
MS그룹 컨소시엄과
에디슨모터스 등 전기차 클러스터를
둘다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모두 사업 계획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달 남짓한 일정이 촉박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또 공모 선정을 목적으로
추진을 서두르다 보면
각 주체 간 합의라는
상생형 일자리 모델의 기본정신을
훼손할 수 있다는 겁니다.
최재춘 / 민노총 군산시지부장[녹취]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 돼버린 것이 현재 우리 사회입니다. 그러면 이것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 것인가가 바로 이런(상생형 일자리) 논의의 시발점이지 않나."
또, 전기차 산업의
시장 전망이나 고용 안정성 분석 등
지속가능한 생산 체계 구축을 위한
선행 연구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채준호 /전북대 경영학과 교수[녹취]
"우리 지역의 전기차는 어떤 목표로 해서, 어떤 것을 주 생산모델로 가져갈 것인가 이런 면밀한 연구가 없이 진행되고 있는 것도 고민스러운 부분이에요."
경기 침체에 빠진
군산 경기 회복을 위한
군산형 일자리 사업,
하지만 두 가지 모델을 동시 추진하면서
최종 성사 여부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
-
조경모 기자 jkm@kbs.co.kr
조경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