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협상 시작…휴전이냐 확전이냐?
입력 2019.06.29 (12:02)
수정 2019.06.29 (22: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이 무역문제 등을 두고 담판을 벌이고 있습니다.
휴전이냐 확전이냐를 가늠할 중요한 순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사카에서 이민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담판은 조금 전 11시 반에 시작됐습니다.
두 정상의 회동 결과에 따라 세계 경제의 앞날을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여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두 정상은 회담을 앞둔 어제 팽팽항 기싸움을 벌이는 등 당장의 협상 타결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그렇지만 두 정상이 휴전과 협상 재개에 합의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두 나라가 휴전에 잠정 합의했다는 외신 보도도 잇따라 나왔습니다.
므뉴신 미국 재무장관도 최근 무역 협상이 90%는 마무리됐고, 협상을 완료할 길이 있다며 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오늘 회담에서 두 나라가 입장차만 확인하고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날 경우 미국은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도 보복에 나서면 상황은 더 악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담판 결과는 초읽기에 들어갔지만 휴전이냐 확전이냐는 갈림길에서 미중 두 나라 정상의 선택이 어디를 향할 지는 여전히 안갯 속입니다.
오사카에서 KBS 뉴스 이민영입니다.
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이 무역문제 등을 두고 담판을 벌이고 있습니다.
휴전이냐 확전이냐를 가늠할 중요한 순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사카에서 이민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담판은 조금 전 11시 반에 시작됐습니다.
두 정상의 회동 결과에 따라 세계 경제의 앞날을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여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두 정상은 회담을 앞둔 어제 팽팽항 기싸움을 벌이는 등 당장의 협상 타결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그렇지만 두 정상이 휴전과 협상 재개에 합의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두 나라가 휴전에 잠정 합의했다는 외신 보도도 잇따라 나왔습니다.
므뉴신 미국 재무장관도 최근 무역 협상이 90%는 마무리됐고, 협상을 완료할 길이 있다며 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오늘 회담에서 두 나라가 입장차만 확인하고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날 경우 미국은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도 보복에 나서면 상황은 더 악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담판 결과는 초읽기에 들어갔지만 휴전이냐 확전이냐는 갈림길에서 미중 두 나라 정상의 선택이 어디를 향할 지는 여전히 안갯 속입니다.
오사카에서 KBS 뉴스 이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중 무역협상 시작…휴전이냐 확전이냐?
-
- 입력 2019-06-29 12:02:58
- 수정2019-06-29 22:56:31

[앵커]
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이 무역문제 등을 두고 담판을 벌이고 있습니다.
휴전이냐 확전이냐를 가늠할 중요한 순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사카에서 이민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담판은 조금 전 11시 반에 시작됐습니다.
두 정상의 회동 결과에 따라 세계 경제의 앞날을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여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두 정상은 회담을 앞둔 어제 팽팽항 기싸움을 벌이는 등 당장의 협상 타결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그렇지만 두 정상이 휴전과 협상 재개에 합의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두 나라가 휴전에 잠정 합의했다는 외신 보도도 잇따라 나왔습니다.
므뉴신 미국 재무장관도 최근 무역 협상이 90%는 마무리됐고, 협상을 완료할 길이 있다며 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오늘 회담에서 두 나라가 입장차만 확인하고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날 경우 미국은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도 보복에 나서면 상황은 더 악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담판 결과는 초읽기에 들어갔지만 휴전이냐 확전이냐는 갈림길에서 미중 두 나라 정상의 선택이 어디를 향할 지는 여전히 안갯 속입니다.
오사카에서 KBS 뉴스 이민영입니다.
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이 무역문제 등을 두고 담판을 벌이고 있습니다.
휴전이냐 확전이냐를 가늠할 중요한 순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사카에서 이민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담판은 조금 전 11시 반에 시작됐습니다.
두 정상의 회동 결과에 따라 세계 경제의 앞날을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여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두 정상은 회담을 앞둔 어제 팽팽항 기싸움을 벌이는 등 당장의 협상 타결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그렇지만 두 정상이 휴전과 협상 재개에 합의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두 나라가 휴전에 잠정 합의했다는 외신 보도도 잇따라 나왔습니다.
므뉴신 미국 재무장관도 최근 무역 협상이 90%는 마무리됐고, 협상을 완료할 길이 있다며 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오늘 회담에서 두 나라가 입장차만 확인하고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날 경우 미국은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도 보복에 나서면 상황은 더 악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담판 결과는 초읽기에 들어갔지만 휴전이냐 확전이냐는 갈림길에서 미중 두 나라 정상의 선택이 어디를 향할 지는 여전히 안갯 속입니다.
오사카에서 KBS 뉴스 이민영입니다.
-
-
이민영 기자 mylee@kbs.co.kr
이민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