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여성 비정규직 비중 4년째 증가…절반이 시간제
입력 2019.07.01 (18:15) 수정 2019.07.01 (18:18) 통합뉴스룸ET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여성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으로 비중이 4년째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가운데에서도 절반은 시간제 근로자였는데 이 비중도 7년째 늘고 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여성 임금근로자 가운데 약 41.5%가 비정규직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비중은 2014년 39.9%를 기록한 이후 4년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남성 임금근로자는 비정규직 비중이 26% 수준으로 여성보다 크게 낮고 추세도 2012년부터 감소하거나 보합세입니다.
비정규직 가운데에서도 여성은 특히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았습니다.
절반 이상인 약 54%가 시간제였는데 이 비중도 7년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남성 비정규직의 시간제 비중은 여성의 절반도 되지 않았습니다.
이러다 보니 이 격차는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여성의 월 평균 임금은 244만9천 원으로 남성의 70%에도 못 미쳤습니다.
다만 격차는 2015년 이후 조금씩 좁혀지고 있습니다.
여성 관리자 비율은 20.6%로 조사됐는데 공공기관보다 민간기업의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
행정부 소속 국가직 공무원 가운데 여성 비중은 절반을 조금 넘었고, 판사, 검사 등 법조인 가운데 비율은 약 29%였습니다.
사회 안전에 대해 불안하다고 답한 비율은 남성은 27%였지만 여성은 35.4%로 훨씬 높았고 1순위로 범죄발생을 꼽았습니다.
KBS 뉴스 손은혜입니다.
여성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으로 비중이 4년째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가운데에서도 절반은 시간제 근로자였는데 이 비중도 7년째 늘고 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여성 임금근로자 가운데 약 41.5%가 비정규직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비중은 2014년 39.9%를 기록한 이후 4년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남성 임금근로자는 비정규직 비중이 26% 수준으로 여성보다 크게 낮고 추세도 2012년부터 감소하거나 보합세입니다.
비정규직 가운데에서도 여성은 특히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았습니다.
절반 이상인 약 54%가 시간제였는데 이 비중도 7년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남성 비정규직의 시간제 비중은 여성의 절반도 되지 않았습니다.
이러다 보니 이 격차는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여성의 월 평균 임금은 244만9천 원으로 남성의 70%에도 못 미쳤습니다.
다만 격차는 2015년 이후 조금씩 좁혀지고 있습니다.
여성 관리자 비율은 20.6%로 조사됐는데 공공기관보다 민간기업의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
행정부 소속 국가직 공무원 가운데 여성 비중은 절반을 조금 넘었고, 판사, 검사 등 법조인 가운데 비율은 약 29%였습니다.
사회 안전에 대해 불안하다고 답한 비율은 남성은 27%였지만 여성은 35.4%로 훨씬 높았고 1순위로 범죄발생을 꼽았습니다.
KBS 뉴스 손은혜입니다.
- 여성 비정규직 비중 4년째 증가…절반이 시간제
-
- 입력 2019-07-01 18:17:09
- 수정2019-07-01 18:18:35

[앵커]
여성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으로 비중이 4년째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가운데에서도 절반은 시간제 근로자였는데 이 비중도 7년째 늘고 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여성 임금근로자 가운데 약 41.5%가 비정규직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비중은 2014년 39.9%를 기록한 이후 4년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남성 임금근로자는 비정규직 비중이 26% 수준으로 여성보다 크게 낮고 추세도 2012년부터 감소하거나 보합세입니다.
비정규직 가운데에서도 여성은 특히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았습니다.
절반 이상인 약 54%가 시간제였는데 이 비중도 7년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남성 비정규직의 시간제 비중은 여성의 절반도 되지 않았습니다.
이러다 보니 이 격차는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여성의 월 평균 임금은 244만9천 원으로 남성의 70%에도 못 미쳤습니다.
다만 격차는 2015년 이후 조금씩 좁혀지고 있습니다.
여성 관리자 비율은 20.6%로 조사됐는데 공공기관보다 민간기업의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
행정부 소속 국가직 공무원 가운데 여성 비중은 절반을 조금 넘었고, 판사, 검사 등 법조인 가운데 비율은 약 29%였습니다.
사회 안전에 대해 불안하다고 답한 비율은 남성은 27%였지만 여성은 35.4%로 훨씬 높았고 1순위로 범죄발생을 꼽았습니다.
KBS 뉴스 손은혜입니다.
여성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으로 비중이 4년째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가운데에서도 절반은 시간제 근로자였는데 이 비중도 7년째 늘고 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여성 임금근로자 가운데 약 41.5%가 비정규직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비중은 2014년 39.9%를 기록한 이후 4년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남성 임금근로자는 비정규직 비중이 26% 수준으로 여성보다 크게 낮고 추세도 2012년부터 감소하거나 보합세입니다.
비정규직 가운데에서도 여성은 특히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았습니다.
절반 이상인 약 54%가 시간제였는데 이 비중도 7년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반면 남성 비정규직의 시간제 비중은 여성의 절반도 되지 않았습니다.
이러다 보니 이 격차는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여성의 월 평균 임금은 244만9천 원으로 남성의 70%에도 못 미쳤습니다.
다만 격차는 2015년 이후 조금씩 좁혀지고 있습니다.
여성 관리자 비율은 20.6%로 조사됐는데 공공기관보다 민간기업의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
행정부 소속 국가직 공무원 가운데 여성 비중은 절반을 조금 넘었고, 판사, 검사 등 법조인 가운데 비율은 약 29%였습니다.
사회 안전에 대해 불안하다고 답한 비율은 남성은 27%였지만 여성은 35.4%로 훨씬 높았고 1순위로 범죄발생을 꼽았습니다.
KBS 뉴스 손은혜입니다.
통합뉴스룸ET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손은혜 기자 grace35@kbs.co.kr
손은혜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