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날까 날아갈까”…열악한 비닐하우스 ‘안전 무방비’

입력 2019.07.26 (21:37) 수정 2019.07.29 (09: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비주택 거주민들의 실태를 살펴보는 연속보도, 오늘(26일) 마지막 순서로 비닐하우스의 열악한 주거여건을 알아봅니다.

화재와 침수 등 안전 문제에다, 개발로 인한 퇴거 위협에 시달리는 주민들의 사정을 김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연관 기사] [주거빈곤의늪]
“화려한 빌딩에 밀려난 쪽방촌 사람들…쫓겨난 10명 어디에?
“살기도 빠듯”…열악한 고시원에 모여든 주거 난민들


[리포트]

소위 부촌으로 꼽히는 서울 서초구의 한 마을.

그 뒤로 검은색 차광막을 두른 비닐하우스촌이 나타납니다.

사람 하나 겨우 지나다니는 미로 같은 골목을 따라가니, 길이 10미터 비닐하우스 1동에 5가구씩, 70여 가구가 살고 있습니다.

이 할머니도 80년대 말, 이곳에 들어왔습니다.

[임OO/72살/비닐하우스촌 주민 : "집도 절도 없어지고 오죽해서 여기를 왔겠는가만. 참 막막했어요, 그때는."]

제일 문제는 안전입니다.

얼기설기 엉킨 전깃줄과 방치된 가스통, 불쏘시개가 될 만한 것들이 잔뜩 널려있습니다.

[이OO/74살/비닐하우스촌 주민 : "무슨 전류 소리만 나도 (불 날까) 가슴이 울렁울렁해."]

최근 3년 새 비닐하우스 화재로 20명이 숨지거나 다쳤고, 수백 명의 이재민이 생겨났습니다.

여름철엔 장마와 태풍도 걱정거리입니다.

주변보다 지대가 낮아 비만 왔다 하면 비상입니다.

[비닐하우스촌 주민 : "비 여기로 들이치지 말라고, (실리콘이야 실리콘) 그걸 이렇게 해놓은 거예요."]

노인들이 땅 주인에게 내는 돈은 1년에 30~40만 원 정도.

개발제한구역 해제로 쫓겨나면 갈 곳이 없습니다.

[이원호/한국도시연구소 책임연구원 : "영구임대주택 같은 경우에는 신규로 공급이 거의 없는 상태고, 월세를 감당해야 한다는 것은 당장 경제적인 형편으로 어렵지만 심리적으로도..."]

비닐하우스는 이주노동자들에겐 일터이자 숙소입니다.

움막 같은 가건물에는 빛이 거의 들어오지 않고 안은 쓰레기장이나 다름없습니다.

[김이찬/'지구인의 정류장' 활동가 : "일부 이주노동자들은 삽을 들고 비닐하우스와 비닐하우스 사이 고랑에 가서 대변을 보고 삽으로 덮고..."]

전국적으로 비닐하우스 등 주택이 아닌 곳에 모두 39만 가구가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2016년까지 10년간 주거 지원을 한 가구는 6200여 가구에 불과했습니다.

KBS 뉴스 김수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날까 날아갈까”…열악한 비닐하우스 ‘안전 무방비’
    • 입력 2019-07-26 21:41:52
    • 수정2019-07-29 09:52:45
    뉴스 9
[앵커]

비주택 거주민들의 실태를 살펴보는 연속보도, 오늘(26일) 마지막 순서로 비닐하우스의 열악한 주거여건을 알아봅니다.

화재와 침수 등 안전 문제에다, 개발로 인한 퇴거 위협에 시달리는 주민들의 사정을 김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연관 기사] [주거빈곤의늪]
“화려한 빌딩에 밀려난 쪽방촌 사람들…쫓겨난 10명 어디에?
“살기도 빠듯”…열악한 고시원에 모여든 주거 난민들


[리포트]

소위 부촌으로 꼽히는 서울 서초구의 한 마을.

그 뒤로 검은색 차광막을 두른 비닐하우스촌이 나타납니다.

사람 하나 겨우 지나다니는 미로 같은 골목을 따라가니, 길이 10미터 비닐하우스 1동에 5가구씩, 70여 가구가 살고 있습니다.

이 할머니도 80년대 말, 이곳에 들어왔습니다.

[임OO/72살/비닐하우스촌 주민 : "집도 절도 없어지고 오죽해서 여기를 왔겠는가만. 참 막막했어요, 그때는."]

제일 문제는 안전입니다.

얼기설기 엉킨 전깃줄과 방치된 가스통, 불쏘시개가 될 만한 것들이 잔뜩 널려있습니다.

[이OO/74살/비닐하우스촌 주민 : "무슨 전류 소리만 나도 (불 날까) 가슴이 울렁울렁해."]

최근 3년 새 비닐하우스 화재로 20명이 숨지거나 다쳤고, 수백 명의 이재민이 생겨났습니다.

여름철엔 장마와 태풍도 걱정거리입니다.

주변보다 지대가 낮아 비만 왔다 하면 비상입니다.

[비닐하우스촌 주민 : "비 여기로 들이치지 말라고, (실리콘이야 실리콘) 그걸 이렇게 해놓은 거예요."]

노인들이 땅 주인에게 내는 돈은 1년에 30~40만 원 정도.

개발제한구역 해제로 쫓겨나면 갈 곳이 없습니다.

[이원호/한국도시연구소 책임연구원 : "영구임대주택 같은 경우에는 신규로 공급이 거의 없는 상태고, 월세를 감당해야 한다는 것은 당장 경제적인 형편으로 어렵지만 심리적으로도..."]

비닐하우스는 이주노동자들에겐 일터이자 숙소입니다.

움막 같은 가건물에는 빛이 거의 들어오지 않고 안은 쓰레기장이나 다름없습니다.

[김이찬/'지구인의 정류장' 활동가 : "일부 이주노동자들은 삽을 들고 비닐하우스와 비닐하우스 사이 고랑에 가서 대변을 보고 삽으로 덮고..."]

전국적으로 비닐하우스 등 주택이 아닌 곳에 모두 39만 가구가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2016년까지 10년간 주거 지원을 한 가구는 6200여 가구에 불과했습니다.

KBS 뉴스 김수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