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뒤 부산 대부분 지역 '폭염 위험' 심각

입력 2019.08.01 (23:01) 수정 2019.08.02 (1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오늘(1일) 부산은 폭염경보 속에 일부 내륙 지역은 무려 35도를 웃도는 등 연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우려스러운 것은 기후 변화로 해마다 이런 폭염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예상인데요...

 실제로 환경부가 앞으로 10년간 부산의 폭염 위험도를 예측한 결과, 기장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폭염 위험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돼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최위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산 동구의 한 재개발 예정지입니다. 주민들 대부분은 고령자들입니다. 기온이 30도를 훌쩍 넘는 한낮인데도, 에어컨 없이 선풍기나 부채로 더위를 견디고 있습니다.

 주민[녹취]
 "낮에 그냥 선풍기 틀어 놓고.. (에어컨을) 놓으려니까 언제 헐릴지 모르니까 못 하고."

 앞으로는 부산에서 이런 폭염의 위험이 큰 지역이 훨씬 더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환경부는 지역별 기후 변화를 바탕으로 폭염에 취약한 인구와 녹지 면적의 비율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지역별 폭염 위험도를 평가했습니다.

 그 결과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부산에서는 동구와 중구가 매우 높음, 남구와 동래구 등 6개 지역이 높음, 나머지 지역은 보통 수준의 위험도를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온실가스가 지금과 같은 수준으로 배출될 경우 2021년부터 10년 동안은 기장군을 제외한 부산의 모든 지역이 폭염 위험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권원태/ APEC 기후센터 원장[인터뷰]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하고 있어서 앞으로는 여름철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그에 따라서 폭염 일수도 증가하고, 고령화 추세 때문에 위험도도 계속해서 높아질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에 따라 부산시도 중·장기적 폭염 대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송철우/부산시 재난대응과 방재전문관[인터뷰]
"지형적 특성이나 이런 것들을 감안해서 폭염이나 열대야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그런 것들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들을 통해서 폭염 대책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지역별로 맞춤형 폭염 대책들을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산시는 또 녹지 면적을 늘리기 위해 2천여억 원의 예산을 들여 2022년까지 도심 곳곳에 숲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0년 뒤 부산 대부분 지역 '폭염 위험' 심각
    • 입력 2019-08-01 23:01:43
    • 수정2019-08-02 10:01:56
    뉴스9(부산)
[앵커멘트]  오늘(1일) 부산은 폭염경보 속에 일부 내륙 지역은 무려 35도를 웃도는 등 연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우려스러운 것은 기후 변화로 해마다 이런 폭염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예상인데요...  실제로 환경부가 앞으로 10년간 부산의 폭염 위험도를 예측한 결과, 기장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폭염 위험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돼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최위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산 동구의 한 재개발 예정지입니다. 주민들 대부분은 고령자들입니다. 기온이 30도를 훌쩍 넘는 한낮인데도, 에어컨 없이 선풍기나 부채로 더위를 견디고 있습니다.  주민[녹취]  "낮에 그냥 선풍기 틀어 놓고.. (에어컨을) 놓으려니까 언제 헐릴지 모르니까 못 하고."  앞으로는 부산에서 이런 폭염의 위험이 큰 지역이 훨씬 더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환경부는 지역별 기후 변화를 바탕으로 폭염에 취약한 인구와 녹지 면적의 비율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지역별 폭염 위험도를 평가했습니다.  그 결과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부산에서는 동구와 중구가 매우 높음, 남구와 동래구 등 6개 지역이 높음, 나머지 지역은 보통 수준의 위험도를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온실가스가 지금과 같은 수준으로 배출될 경우 2021년부터 10년 동안은 기장군을 제외한 부산의 모든 지역이 폭염 위험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권원태/ APEC 기후센터 원장[인터뷰]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하고 있어서 앞으로는 여름철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그에 따라서 폭염 일수도 증가하고, 고령화 추세 때문에 위험도도 계속해서 높아질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에 따라 부산시도 중·장기적 폭염 대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송철우/부산시 재난대응과 방재전문관[인터뷰] "지형적 특성이나 이런 것들을 감안해서 폭염이나 열대야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그런 것들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들을 통해서 폭염 대책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지역별로 맞춤형 폭염 대책들을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산시는 또 녹지 면적을 늘리기 위해 2천여억 원의 예산을 들여 2022년까지 도심 곳곳에 숲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