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경찰과 소방 누가 더 빨리와?” 17차례 허위신고자 검거
입력 2019.08.13 (11: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4월, 경찰 112 종합상황실로 다급한 신고 전화가 걸려옵니다.
[112 신고 전화/음성변조 : "(여보세요. 경찰입니다.) 여기 살인사건 났으니까요. 빨리 와주세요! (살인 사건이 났다고요?) 네. 여기 살인 사건 났으니까 빨리 와주세요!"]
그러나 경찰 확인 결과 허위 신고였습니다.
그런데 석 달 뒤 이 50대 남성이 또 신고 전화를 해왔습니다.
[112 신고 전화/음성변조 : "(네. 긴급신고 112입니다.) 여기 지금 엄청나게 싸우고 있어요. (몇 사람이나 싸우고 있죠?) 그건 모르겠습니다."]
이번에도 허위신고였습니다.
[안성태/제주동부경찰서 오라지구대 경감 : "(당시)집단 싸움이 났다고 해서 순찰차가 3대가 출동했었어요. 이런 허위 신고가 자주 일어나면 정작 중요한 긴급한 사건사고 발생했을 때 주민들이 필요할 때 경찰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더욱이 소방과 경찰 가운데 누가 현장에 빨리 오는지 확인하고 싶었다는 어이없는 말까지 했습니다.
최근 1년 동안 17차례나 허위신고를 한 이 남성은 결국 현행범으로 경찰에 체포됐습니다.
이같은 허위신고 처벌 건수는 제주에서만 해마다 70여 건에 달합니다.
허위신고가 심하면, 공무집행방해죄로 5년 이하 징역이나 천만 원 이하 벌금을 물게 되고, 민사상 손해배상까지 청구됩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112 신고 전화/음성변조 : "(여보세요. 경찰입니다.) 여기 살인사건 났으니까요. 빨리 와주세요! (살인 사건이 났다고요?) 네. 여기 살인 사건 났으니까 빨리 와주세요!"]
그러나 경찰 확인 결과 허위 신고였습니다.
그런데 석 달 뒤 이 50대 남성이 또 신고 전화를 해왔습니다.
[112 신고 전화/음성변조 : "(네. 긴급신고 112입니다.) 여기 지금 엄청나게 싸우고 있어요. (몇 사람이나 싸우고 있죠?) 그건 모르겠습니다."]
이번에도 허위신고였습니다.
[안성태/제주동부경찰서 오라지구대 경감 : "(당시)집단 싸움이 났다고 해서 순찰차가 3대가 출동했었어요. 이런 허위 신고가 자주 일어나면 정작 중요한 긴급한 사건사고 발생했을 때 주민들이 필요할 때 경찰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더욱이 소방과 경찰 가운데 누가 현장에 빨리 오는지 확인하고 싶었다는 어이없는 말까지 했습니다.
최근 1년 동안 17차례나 허위신고를 한 이 남성은 결국 현행범으로 경찰에 체포됐습니다.
이같은 허위신고 처벌 건수는 제주에서만 해마다 70여 건에 달합니다.
허위신고가 심하면, 공무집행방해죄로 5년 이하 징역이나 천만 원 이하 벌금을 물게 되고, 민사상 손해배상까지 청구됩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막뉴스] “경찰과 소방 누가 더 빨리와?” 17차례 허위신고자 검거
-
- 입력 2019-08-13 11:01:25
![](/data/news/2019/08/13/4261653_gXO.jpg)
지난 4월, 경찰 112 종합상황실로 다급한 신고 전화가 걸려옵니다.
[112 신고 전화/음성변조 : "(여보세요. 경찰입니다.) 여기 살인사건 났으니까요. 빨리 와주세요! (살인 사건이 났다고요?) 네. 여기 살인 사건 났으니까 빨리 와주세요!"]
그러나 경찰 확인 결과 허위 신고였습니다.
그런데 석 달 뒤 이 50대 남성이 또 신고 전화를 해왔습니다.
[112 신고 전화/음성변조 : "(네. 긴급신고 112입니다.) 여기 지금 엄청나게 싸우고 있어요. (몇 사람이나 싸우고 있죠?) 그건 모르겠습니다."]
이번에도 허위신고였습니다.
[안성태/제주동부경찰서 오라지구대 경감 : "(당시)집단 싸움이 났다고 해서 순찰차가 3대가 출동했었어요. 이런 허위 신고가 자주 일어나면 정작 중요한 긴급한 사건사고 발생했을 때 주민들이 필요할 때 경찰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더욱이 소방과 경찰 가운데 누가 현장에 빨리 오는지 확인하고 싶었다는 어이없는 말까지 했습니다.
최근 1년 동안 17차례나 허위신고를 한 이 남성은 결국 현행범으로 경찰에 체포됐습니다.
이같은 허위신고 처벌 건수는 제주에서만 해마다 70여 건에 달합니다.
허위신고가 심하면, 공무집행방해죄로 5년 이하 징역이나 천만 원 이하 벌금을 물게 되고, 민사상 손해배상까지 청구됩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112 신고 전화/음성변조 : "(여보세요. 경찰입니다.) 여기 살인사건 났으니까요. 빨리 와주세요! (살인 사건이 났다고요?) 네. 여기 살인 사건 났으니까 빨리 와주세요!"]
그러나 경찰 확인 결과 허위 신고였습니다.
그런데 석 달 뒤 이 50대 남성이 또 신고 전화를 해왔습니다.
[112 신고 전화/음성변조 : "(네. 긴급신고 112입니다.) 여기 지금 엄청나게 싸우고 있어요. (몇 사람이나 싸우고 있죠?) 그건 모르겠습니다."]
이번에도 허위신고였습니다.
[안성태/제주동부경찰서 오라지구대 경감 : "(당시)집단 싸움이 났다고 해서 순찰차가 3대가 출동했었어요. 이런 허위 신고가 자주 일어나면 정작 중요한 긴급한 사건사고 발생했을 때 주민들이 필요할 때 경찰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더욱이 소방과 경찰 가운데 누가 현장에 빨리 오는지 확인하고 싶었다는 어이없는 말까지 했습니다.
최근 1년 동안 17차례나 허위신고를 한 이 남성은 결국 현행범으로 경찰에 체포됐습니다.
이같은 허위신고 처벌 건수는 제주에서만 해마다 70여 건에 달합니다.
허위신고가 심하면, 공무집행방해죄로 5년 이하 징역이나 천만 원 이하 벌금을 물게 되고, 민사상 손해배상까지 청구됩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
-
강인희 기자 inhee@kbs.co.kr
강인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