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 ‘국산화’ 분업적 협력 생태계 조성…대·중소기업 간담회
입력 2019.08.13 (15:20)
수정 2019.08.13 (15: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늘(1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간담회를 열고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위한 대·중소기업 간 분업적 협력 생태계 조성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간담회에는 박영선 장관 등 중기부 관계자와 소재·부품·장비 분야 대·중소기업 14개사가 참석했습니다.
대기업에선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가 참여했습니다.
참석 기업들은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필요성에 공감하며 이를 위한 국가 주도의 국산화 로드맵 수립, 세제·금융지원 확대, 국산화 완성 기술에 대한 보호·판로개척 지원 등을 건의했다고 중기부는 전했습니다.
정부는 이달 중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를 설치하고, 산하에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를 둬 기업 간 협력에 기반을 둔 국산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박 장관은 "특정 국가에 의존하면 언제든 이런 사태가 재현될 수 있어 전략적 핵심 품목의 국산화가 필요하다"면서 "상생협의회를 설치해 대·중기 공동 연구개발(R&D), 실증 테스트베드 조성 등 상생 플랫폼을 조성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간담회에는 박영선 장관 등 중기부 관계자와 소재·부품·장비 분야 대·중소기업 14개사가 참석했습니다.
대기업에선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가 참여했습니다.
참석 기업들은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필요성에 공감하며 이를 위한 국가 주도의 국산화 로드맵 수립, 세제·금융지원 확대, 국산화 완성 기술에 대한 보호·판로개척 지원 등을 건의했다고 중기부는 전했습니다.
정부는 이달 중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를 설치하고, 산하에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를 둬 기업 간 협력에 기반을 둔 국산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박 장관은 "특정 국가에 의존하면 언제든 이런 사태가 재현될 수 있어 전략적 핵심 품목의 국산화가 필요하다"면서 "상생협의회를 설치해 대·중기 공동 연구개발(R&D), 실증 테스트베드 조성 등 상생 플랫폼을 조성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재·부품 ‘국산화’ 분업적 협력 생태계 조성…대·중소기업 간담회
-
- 입력 2019-08-13 15:20:33
- 수정2019-08-13 15:24:34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늘(1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간담회를 열고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위한 대·중소기업 간 분업적 협력 생태계 조성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간담회에는 박영선 장관 등 중기부 관계자와 소재·부품·장비 분야 대·중소기업 14개사가 참석했습니다.
대기업에선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가 참여했습니다.
참석 기업들은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필요성에 공감하며 이를 위한 국가 주도의 국산화 로드맵 수립, 세제·금융지원 확대, 국산화 완성 기술에 대한 보호·판로개척 지원 등을 건의했다고 중기부는 전했습니다.
정부는 이달 중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를 설치하고, 산하에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를 둬 기업 간 협력에 기반을 둔 국산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박 장관은 "특정 국가에 의존하면 언제든 이런 사태가 재현될 수 있어 전략적 핵심 품목의 국산화가 필요하다"면서 "상생협의회를 설치해 대·중기 공동 연구개발(R&D), 실증 테스트베드 조성 등 상생 플랫폼을 조성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간담회에는 박영선 장관 등 중기부 관계자와 소재·부품·장비 분야 대·중소기업 14개사가 참석했습니다.
대기업에선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가 참여했습니다.
참석 기업들은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필요성에 공감하며 이를 위한 국가 주도의 국산화 로드맵 수립, 세제·금융지원 확대, 국산화 완성 기술에 대한 보호·판로개척 지원 등을 건의했다고 중기부는 전했습니다.
정부는 이달 중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를 설치하고, 산하에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를 둬 기업 간 협력에 기반을 둔 국산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박 장관은 "특정 국가에 의존하면 언제든 이런 사태가 재현될 수 있어 전략적 핵심 품목의 국산화가 필요하다"면서 "상생협의회를 설치해 대·중기 공동 연구개발(R&D), 실증 테스트베드 조성 등 상생 플랫폼을 조성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승재 기자 sjl@kbs.co.kr
이승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