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포지구 투자자 "투자금 날릴 판...여수시 책임"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수 상포지구는
전임 시장 시절부터
특혜 의혹으로 몸살을 앓았죠.
이번에는
상포지구 땅을 산 투자자들이
목청을 높이고 나섰습니다.
이들은
여수시가 불완전한 땅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해 줘
투자금을 날릴 판이라며
주철현 전 시장과 여수시에
법적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첫 소식, 양창희 기잡니다.
[리포트]
축구장 스무 개 넓이의
허허벌판에 풀이 무성합니다.
지난 2016년부터
개발이 추진된 여수 상포지구.
개발업자가 건설회사에서 땅을 사들여
기획부동산에 팔았고,
개인 투자자들이 분양을 받았습니다.
천여 명이
5백 억 원이 넘는 돈을
투자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땅 소유권을 받지 못했습니다.
기획부동산 말을 믿고
잘게 나눈 땅을 샀지만
실제로는 토지 분할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지구단위계획도 수립되지 않았고
도로 등 기반시설도 설치되기 전이라서
애초에 개인이 땅을 나눠 가질 수
없는 상황이었던 겁니다.
<김희정/상포지구 비상대책위원회>
"행정 절차가 똑바로 이뤄졌는지,
정상적이었는지 알 수가 없었죠.
이게 회사에서 돈을 돌려달라고 해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닌 거예요."
특히 상포지구 대규모 필지 한 곳은
부동산 개발회사 내부의 분쟁으로
강제 경매 절차가 진행 중인데,
낙찰된다면
이 땅을 나눠 산 투자자 2백여 명은
소유권을 완전히 잃게 됩니다.
'상포지구 비상대책위'는
허가를 내준 여수시에
원죄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지난 2016년 여수시가
기반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고도
땅을 팔 수 있도록
상포지구 개발업자에게 특혜를 줬고,
이 때문에 불완전한 상태로
토지가 거래돼 결국 개인 투자자들이
피해를 봤다는 겁니다.
<서준교/상포지구 비상대책위원회>
"막대한 시세차익을 남기고 부동산 회사들에
매매할 수 있는 여건을 (여수시가)
마련해 준 셈이 됐습니다.
여수시를 상대로 손해배상 및
민사, 행정 소송을 제기하겠습니다."
이에 대해 여수시는
지구단위계획이 세워지지 않으면
토지 분할이 어렵다는 내용 등을
절차에 따라 충분히 알렸다며,
투자자들의 피해는
시 책임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상포지구 투자자 "투자금 날릴 판...여수시 책임"
-
- 입력 2019-08-13 21:50:33
- 수정2019-08-14 00:21:07
<김희정/상포지구 비상대책위원회> "행정 절차가 똑바로 이뤄졌는지, 정상적이었는지 알 수가 없었죠. 이게 회사에서 돈을 돌려달라고 해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닌 거예요."
특히 상포지구 대규모 필지 한 곳은 부동산 개발회사 내부의 분쟁으로 강제 경매 절차가 진행 중인데, 낙찰된다면 이 땅을 나눠 산 투자자 2백여 명은 소유권을 완전히 잃게 됩니다. '상포지구 비상대책위'는 허가를 내준 여수시에 원죄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지난 2016년 여수시가 기반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고도 땅을 팔 수 있도록 상포지구 개발업자에게 특혜를 줬고, 이 때문에 불완전한 상태로 토지가 거래돼 결국 개인 투자자들이 피해를 봤다는 겁니다.<서준교/상포지구 비상대책위원회> "막대한 시세차익을 남기고 부동산 회사들에 매매할 수 있는 여건을 (여수시가) 마련해 준 셈이 됐습니다. 여수시를 상대로 손해배상 및 민사, 행정 소송을 제기하겠습니다."
이에 대해 여수시는 지구단위계획이 세워지지 않으면 토지 분할이 어렵다는 내용 등을 절차에 따라 충분히 알렸다며, 투자자들의 피해는 시 책임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
양창희 기자 share@kbs.co.kr
양창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