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물산업 혁신포럼 본격 활동 나서
입력 2019.08.17 (22:14) 뉴스9(대구)
<앵커멘트>
대구를
국가 물산업의 중심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문가 협의체가 구성됐습니다.
대구 국가 물산업클러스터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매월 다양한 주제의 논의를 진행해
정책에 반영시킨다는 계획입니다.
우동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달 본격 가동에 들어간
대구 국가 물산업 클러스터,
물기술실증화 시설 등
주요 시설들이 가동되고 있고,
핵심기관인 물기술인증원도
다음 달 문을 엽니다.
물산업클러스터 조기 활성화와
물산업 육성 촉진을 위해
국내 전문가들이 협의체를 구성했습니다.
대구 물산업 혁신 포럼이
지난 12일 창립 총회를 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 것,
포럼에는 전국의 학계와
산업계, 연구기관 전문가 등
27명이 참여했습니다.
포럼은
기술 개발과 시장 창출, 인재 양성,
생태계 조성 분과로 구성돼
매월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합니다.
[인터뷰]
최운백/대구시 혁신성장국장
"정책 아젠다를 만들고 대구시에 구체적인 제안을 하게 돼있고, 내년부터는 제안들을 중심으로 해서 포럼들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예정에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선 올 연말까지
물산업 육성의 구체적인 시행 방향을
대구시와 물산업클러스터에
제시할 계획입니다.
특히, 내수시장에 머무르고 있는
국내 물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마련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남광현/물산업혁신포럼 간사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 지자체와 물산업클러스터의 기업들, 또 그 속에 기업들과 기업간의 협력하는 여러가지 실천적인 아이디
어를 제시해서 해외 진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략들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대구시와 물산업클러스터는
포럼에서 제시한 시행 방향을
적극 수용하는 한편,
정부 정책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협의를 진행해나갈 방침입니다.
KBS뉴스 우동윤입니다.
대구를
국가 물산업의 중심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문가 협의체가 구성됐습니다.
대구 국가 물산업클러스터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매월 다양한 주제의 논의를 진행해
정책에 반영시킨다는 계획입니다.
우동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달 본격 가동에 들어간
대구 국가 물산업 클러스터,
물기술실증화 시설 등
주요 시설들이 가동되고 있고,
핵심기관인 물기술인증원도
다음 달 문을 엽니다.
물산업클러스터 조기 활성화와
물산업 육성 촉진을 위해
국내 전문가들이 협의체를 구성했습니다.
대구 물산업 혁신 포럼이
지난 12일 창립 총회를 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 것,
포럼에는 전국의 학계와
산업계, 연구기관 전문가 등
27명이 참여했습니다.
포럼은
기술 개발과 시장 창출, 인재 양성,
생태계 조성 분과로 구성돼
매월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합니다.
[인터뷰]
최운백/대구시 혁신성장국장
"정책 아젠다를 만들고 대구시에 구체적인 제안을 하게 돼있고, 내년부터는 제안들을 중심으로 해서 포럼들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예정에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선 올 연말까지
물산업 육성의 구체적인 시행 방향을
대구시와 물산업클러스터에
제시할 계획입니다.
특히, 내수시장에 머무르고 있는
국내 물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마련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남광현/물산업혁신포럼 간사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 지자체와 물산업클러스터의 기업들, 또 그 속에 기업들과 기업간의 협력하는 여러가지 실천적인 아이디
어를 제시해서 해외 진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략들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대구시와 물산업클러스터는
포럼에서 제시한 시행 방향을
적극 수용하는 한편,
정부 정책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협의를 진행해나갈 방침입니다.
KBS뉴스 우동윤입니다.
- 물산업 혁신포럼 본격 활동 나서
-
- 입력 2019-08-17 22:14:30

<앵커멘트>
대구를
국가 물산업의 중심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문가 협의체가 구성됐습니다.
대구 국가 물산업클러스터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매월 다양한 주제의 논의를 진행해
정책에 반영시킨다는 계획입니다.
우동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달 본격 가동에 들어간
대구 국가 물산업 클러스터,
물기술실증화 시설 등
주요 시설들이 가동되고 있고,
핵심기관인 물기술인증원도
다음 달 문을 엽니다.
물산업클러스터 조기 활성화와
물산업 육성 촉진을 위해
국내 전문가들이 협의체를 구성했습니다.
대구 물산업 혁신 포럼이
지난 12일 창립 총회를 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 것,
포럼에는 전국의 학계와
산업계, 연구기관 전문가 등
27명이 참여했습니다.
포럼은
기술 개발과 시장 창출, 인재 양성,
생태계 조성 분과로 구성돼
매월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합니다.
[인터뷰]
최운백/대구시 혁신성장국장
"정책 아젠다를 만들고 대구시에 구체적인 제안을 하게 돼있고, 내년부터는 제안들을 중심으로 해서 포럼들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예정에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선 올 연말까지
물산업 육성의 구체적인 시행 방향을
대구시와 물산업클러스터에
제시할 계획입니다.
특히, 내수시장에 머무르고 있는
국내 물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마련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남광현/물산업혁신포럼 간사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 지자체와 물산업클러스터의 기업들, 또 그 속에 기업들과 기업간의 협력하는 여러가지 실천적인 아이디
어를 제시해서 해외 진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략들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대구시와 물산업클러스터는
포럼에서 제시한 시행 방향을
적극 수용하는 한편,
정부 정책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협의를 진행해나갈 방침입니다.
KBS뉴스 우동윤입니다.
대구를
국가 물산업의 중심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문가 협의체가 구성됐습니다.
대구 국가 물산업클러스터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매월 다양한 주제의 논의를 진행해
정책에 반영시킨다는 계획입니다.
우동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달 본격 가동에 들어간
대구 국가 물산업 클러스터,
물기술실증화 시설 등
주요 시설들이 가동되고 있고,
핵심기관인 물기술인증원도
다음 달 문을 엽니다.
물산업클러스터 조기 활성화와
물산업 육성 촉진을 위해
국내 전문가들이 협의체를 구성했습니다.
대구 물산업 혁신 포럼이
지난 12일 창립 총회를 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 것,
포럼에는 전국의 학계와
산업계, 연구기관 전문가 등
27명이 참여했습니다.
포럼은
기술 개발과 시장 창출, 인재 양성,
생태계 조성 분과로 구성돼
매월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합니다.
[인터뷰]
최운백/대구시 혁신성장국장
"정책 아젠다를 만들고 대구시에 구체적인 제안을 하게 돼있고, 내년부터는 제안들을 중심으로 해서 포럼들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예정에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선 올 연말까지
물산업 육성의 구체적인 시행 방향을
대구시와 물산업클러스터에
제시할 계획입니다.
특히, 내수시장에 머무르고 있는
국내 물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마련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남광현/물산업혁신포럼 간사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 지자체와 물산업클러스터의 기업들, 또 그 속에 기업들과 기업간의 협력하는 여러가지 실천적인 아이디
어를 제시해서 해외 진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략들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대구시와 물산업클러스터는
포럼에서 제시한 시행 방향을
적극 수용하는 한편,
정부 정책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협의를 진행해나갈 방침입니다.
KBS뉴스 우동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대구)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우동윤 기자 seagarden@kbs.co.kr
우동윤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