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적정 기준금리’ 0.9%…내년까지 두 번 더 내릴듯”
입력 2019.08.19 (13:58)
수정 2019.08.19 (14: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은행은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적정 기준금리'가 현재 0.9% 수준이라면서 내년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두 차례 더 내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산은 미래전략연구소 이유나 연구원은 이날 'KDB 기준금리 모형을 통해 본 금리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2분기 국내 적정 기준금리는 0.90%로 추정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국내총생산(GDP) 갭'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한은의 목표물가 상승률 등을 토대로 적정 기준금리를 산출했습니다. 한은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1.75%에서 1.50%로 내렸지만, 아직 적정 기준금리보다 높아 더 내릴 여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보고서는 "국내 경기부진,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 대내외 여건 악화가 향후 기준금리 추가 인하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대내적으로는 건설·설비투자 부진, 공급·수요 측면의 물가 상승압력 약화 등으로 '마이너스 GDP 갭' 상태가 이어지며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대외적으로도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에 수출회복이 늦어지는 점을 기준금리 추가 인하의 근거로 들었습니다.
보고서는 "향후 기준금리는 내년까지 2회 정도 인하될 가능성이 높다"며 "현 시장금리(국고채 3년 1.00∼1.25%)에는 이런 추가 인하 전망이 반영됐다"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산은 미래전략연구소 이유나 연구원은 이날 'KDB 기준금리 모형을 통해 본 금리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2분기 국내 적정 기준금리는 0.90%로 추정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국내총생산(GDP) 갭'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한은의 목표물가 상승률 등을 토대로 적정 기준금리를 산출했습니다. 한은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1.75%에서 1.50%로 내렸지만, 아직 적정 기준금리보다 높아 더 내릴 여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보고서는 "국내 경기부진,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 대내외 여건 악화가 향후 기준금리 추가 인하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대내적으로는 건설·설비투자 부진, 공급·수요 측면의 물가 상승압력 약화 등으로 '마이너스 GDP 갭' 상태가 이어지며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대외적으로도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에 수출회복이 늦어지는 점을 기준금리 추가 인하의 근거로 들었습니다.
보고서는 "향후 기준금리는 내년까지 2회 정도 인하될 가능성이 높다"며 "현 시장금리(국고채 3년 1.00∼1.25%)에는 이런 추가 인하 전망이 반영됐다"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은 “‘적정 기준금리’ 0.9%…내년까지 두 번 더 내릴듯”
-
- 입력 2019-08-19 13:58:39
- 수정2019-08-19 14:16:32

산업은행은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적정 기준금리'가 현재 0.9% 수준이라면서 내년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두 차례 더 내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산은 미래전략연구소 이유나 연구원은 이날 'KDB 기준금리 모형을 통해 본 금리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2분기 국내 적정 기준금리는 0.90%로 추정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국내총생산(GDP) 갭'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한은의 목표물가 상승률 등을 토대로 적정 기준금리를 산출했습니다. 한은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1.75%에서 1.50%로 내렸지만, 아직 적정 기준금리보다 높아 더 내릴 여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보고서는 "국내 경기부진,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 대내외 여건 악화가 향후 기준금리 추가 인하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대내적으로는 건설·설비투자 부진, 공급·수요 측면의 물가 상승압력 약화 등으로 '마이너스 GDP 갭' 상태가 이어지며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대외적으로도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에 수출회복이 늦어지는 점을 기준금리 추가 인하의 근거로 들었습니다.
보고서는 "향후 기준금리는 내년까지 2회 정도 인하될 가능성이 높다"며 "현 시장금리(국고채 3년 1.00∼1.25%)에는 이런 추가 인하 전망이 반영됐다"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산은 미래전략연구소 이유나 연구원은 이날 'KDB 기준금리 모형을 통해 본 금리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2분기 국내 적정 기준금리는 0.90%로 추정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국내총생산(GDP) 갭'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한은의 목표물가 상승률 등을 토대로 적정 기준금리를 산출했습니다. 한은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1.75%에서 1.50%로 내렸지만, 아직 적정 기준금리보다 높아 더 내릴 여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보고서는 "국내 경기부진,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 대내외 여건 악화가 향후 기준금리 추가 인하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대내적으로는 건설·설비투자 부진, 공급·수요 측면의 물가 상승압력 약화 등으로 '마이너스 GDP 갭' 상태가 이어지며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대외적으로도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에 수출회복이 늦어지는 점을 기준금리 추가 인하의 근거로 들었습니다.
보고서는 "향후 기준금리는 내년까지 2회 정도 인하될 가능성이 높다"며 "현 시장금리(국고채 3년 1.00∼1.25%)에는 이런 추가 인하 전망이 반영됐다"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최서희 기자 yuri@kbs.co.kr
최서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