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허혈성 심장질환, 남성 50대·여성 60대부터 급증
입력 2019.08.20 (15:43) 수정 2019.08.20 (15:45) 생활·건강
심장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환자가 남성은 50대, 여성은 60대부터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자는 연령대로 볼 때 60대 이상이 74.1%를 차지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2,762건)이 여성(868건)보다 3.2배 많았습니다.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 2017년 우리나라 사망 원인 2위이며,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30,852명) 중 허혈성 심질환은 46.2%를 차지합니다.
[사진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환자는 연령대로 볼 때 60대 이상이 74.1%를 차지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2,762건)이 여성(868건)보다 3.2배 많았습니다.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 2017년 우리나라 사망 원인 2위이며,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30,852명) 중 허혈성 심질환은 46.2%를 차지합니다.
[사진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 허혈성 심장질환, 남성 50대·여성 60대부터 급증
-
- 입력 2019-08-20 15:43:20
- 수정2019-08-20 15:45:22

심장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환자가 남성은 50대, 여성은 60대부터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자는 연령대로 볼 때 60대 이상이 74.1%를 차지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2,762건)이 여성(868건)보다 3.2배 많았습니다.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 2017년 우리나라 사망 원인 2위이며,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30,852명) 중 허혈성 심질환은 46.2%를 차지합니다.
[사진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환자는 연령대로 볼 때 60대 이상이 74.1%를 차지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2,762건)이 여성(868건)보다 3.2배 많았습니다.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 2017년 우리나라 사망 원인 2위이며,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30,852명) 중 허혈성 심질환은 46.2%를 차지합니다.
[사진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 기자 정보
-
-
이지은 기자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