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청와대 “미국 실망은 당연, 한미 동맹 더 굳건해질 것”
입력 2019.08.24 (06:01) 수정 2019.08.24 (08:24) 뉴스광장 1부
[앵커]
청와대는 지소미아 연장을 희망했던 미국이 종료 결정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건 당연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한미동맹이 흔들리는 게 아니라 오히려 한 단계 진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청와대 안보실이 이틀째 브리핑에 나섰습니다.
방점은 한미 동맹에 맞춰졌습니다.
미국과 긴밀히 협의해왔다며 한미동맹이 흔들리지 않을 거란 겁니다.
[김현종/靑 안보실 2차장 : "오히려 한미동맹 관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켜 지금보다 더욱 굳건한 한미동맹 관계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미국 측 반응은 이해한다고 했습니다.
미국이 지소미아 연장을 희망해 왔는데, 그렇게 결과가 안 나와 실망하는 건 당연하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미국과의 협의 과정도 밝혔습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NSC가 지난 달부터 백악관 NSC와 유선 협의만 9번 했고, 볼턴 미 국가안보보좌관 방한 때도 이를 상의했다고 했습니다.
또 지난 달 백악관을 방문했을 때도 우리 입장을 설명했다고 했는데, 청와대와 백악관 차원의 논의가 있었음을 시사한 겁니다.
김 차장은 또 이번 결정이 자국 우선주의가 만연하는 상황에서 한미동맹 강화를 이끌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현종/靑 안보실 2차장 : "우리가 안보 역량을 강화해 나간다면 이는 미국이 희망하는 동맹국의 안보 기여 증대에도 부합할 것이고, 종국적으로는 한미동맹의 강화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 상황에서 해야할 일은 정찰위성 등 전략 자산 확충 같은 국방력 강화라고 했습니다.
김 차장의 발언은 미일동맹을 강화하며, 점차 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키우는 일본에 맞서, 국방력 강화를 지렛대로 한미동맹도 굳건히 하겠다는 정부 의중이 반영된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청와대는 지소미아 연장을 희망했던 미국이 종료 결정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건 당연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한미동맹이 흔들리는 게 아니라 오히려 한 단계 진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청와대 안보실이 이틀째 브리핑에 나섰습니다.
방점은 한미 동맹에 맞춰졌습니다.
미국과 긴밀히 협의해왔다며 한미동맹이 흔들리지 않을 거란 겁니다.
[김현종/靑 안보실 2차장 : "오히려 한미동맹 관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켜 지금보다 더욱 굳건한 한미동맹 관계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미국 측 반응은 이해한다고 했습니다.
미국이 지소미아 연장을 희망해 왔는데, 그렇게 결과가 안 나와 실망하는 건 당연하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미국과의 협의 과정도 밝혔습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NSC가 지난 달부터 백악관 NSC와 유선 협의만 9번 했고, 볼턴 미 국가안보보좌관 방한 때도 이를 상의했다고 했습니다.
또 지난 달 백악관을 방문했을 때도 우리 입장을 설명했다고 했는데, 청와대와 백악관 차원의 논의가 있었음을 시사한 겁니다.
김 차장은 또 이번 결정이 자국 우선주의가 만연하는 상황에서 한미동맹 강화를 이끌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현종/靑 안보실 2차장 : "우리가 안보 역량을 강화해 나간다면 이는 미국이 희망하는 동맹국의 안보 기여 증대에도 부합할 것이고, 종국적으로는 한미동맹의 강화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 상황에서 해야할 일은 정찰위성 등 전략 자산 확충 같은 국방력 강화라고 했습니다.
김 차장의 발언은 미일동맹을 강화하며, 점차 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키우는 일본에 맞서, 국방력 강화를 지렛대로 한미동맹도 굳건히 하겠다는 정부 의중이 반영된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 청와대 “미국 실망은 당연, 한미 동맹 더 굳건해질 것”
-
- 입력 2019-08-24 06:05:08
- 수정2019-08-24 08:24:58

[앵커]
청와대는 지소미아 연장을 희망했던 미국이 종료 결정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건 당연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한미동맹이 흔들리는 게 아니라 오히려 한 단계 진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청와대 안보실이 이틀째 브리핑에 나섰습니다.
방점은 한미 동맹에 맞춰졌습니다.
미국과 긴밀히 협의해왔다며 한미동맹이 흔들리지 않을 거란 겁니다.
[김현종/靑 안보실 2차장 : "오히려 한미동맹 관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켜 지금보다 더욱 굳건한 한미동맹 관계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미국 측 반응은 이해한다고 했습니다.
미국이 지소미아 연장을 희망해 왔는데, 그렇게 결과가 안 나와 실망하는 건 당연하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미국과의 협의 과정도 밝혔습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NSC가 지난 달부터 백악관 NSC와 유선 협의만 9번 했고, 볼턴 미 국가안보보좌관 방한 때도 이를 상의했다고 했습니다.
또 지난 달 백악관을 방문했을 때도 우리 입장을 설명했다고 했는데, 청와대와 백악관 차원의 논의가 있었음을 시사한 겁니다.
김 차장은 또 이번 결정이 자국 우선주의가 만연하는 상황에서 한미동맹 강화를 이끌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현종/靑 안보실 2차장 : "우리가 안보 역량을 강화해 나간다면 이는 미국이 희망하는 동맹국의 안보 기여 증대에도 부합할 것이고, 종국적으로는 한미동맹의 강화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 상황에서 해야할 일은 정찰위성 등 전략 자산 확충 같은 국방력 강화라고 했습니다.
김 차장의 발언은 미일동맹을 강화하며, 점차 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키우는 일본에 맞서, 국방력 강화를 지렛대로 한미동맹도 굳건히 하겠다는 정부 의중이 반영된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청와대는 지소미아 연장을 희망했던 미국이 종료 결정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건 당연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한미동맹이 흔들리는 게 아니라 오히려 한 단계 진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청와대 안보실이 이틀째 브리핑에 나섰습니다.
방점은 한미 동맹에 맞춰졌습니다.
미국과 긴밀히 협의해왔다며 한미동맹이 흔들리지 않을 거란 겁니다.
[김현종/靑 안보실 2차장 : "오히려 한미동맹 관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켜 지금보다 더욱 굳건한 한미동맹 관계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미국 측 반응은 이해한다고 했습니다.
미국이 지소미아 연장을 희망해 왔는데, 그렇게 결과가 안 나와 실망하는 건 당연하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미국과의 협의 과정도 밝혔습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NSC가 지난 달부터 백악관 NSC와 유선 협의만 9번 했고, 볼턴 미 국가안보보좌관 방한 때도 이를 상의했다고 했습니다.
또 지난 달 백악관을 방문했을 때도 우리 입장을 설명했다고 했는데, 청와대와 백악관 차원의 논의가 있었음을 시사한 겁니다.
김 차장은 또 이번 결정이 자국 우선주의가 만연하는 상황에서 한미동맹 강화를 이끌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현종/靑 안보실 2차장 : "우리가 안보 역량을 강화해 나간다면 이는 미국이 희망하는 동맹국의 안보 기여 증대에도 부합할 것이고, 종국적으로는 한미동맹의 강화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 상황에서 해야할 일은 정찰위성 등 전략 자산 확충 같은 국방력 강화라고 했습니다.
김 차장의 발언은 미일동맹을 강화하며, 점차 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키우는 일본에 맞서, 국방력 강화를 지렛대로 한미동맹도 굳건히 하겠다는 정부 의중이 반영된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홍성희 기자 bombom@kbs.co.kr
홍성희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