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분배 지표 ‘팔마비율’ 2분기 연속 개선…“중산층 소득 점유율 높아져”
입력 2019.08.25 (10:48)
수정 2019.08.25 (11: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분배지표인 '팔마비율'이 올해 1·2분기 연속으로 개선됐습니다.
오늘(25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소득 10분위 가계수지를 토대로 '팔마비율'을 계산한 결과 올해 2분기 팔마비율은 1.34배로, 지난해 동 분기(1.35배) 대비 0.01배 포인트 낮아졌습니다.
지난 1분기 팔마비율이 1.46배로, 1년 전보다 0.13배 포인트 낮아진 데 이어 2분기 연속 하락세입니다.
팔마비율이 전년 대비 연속 하락한 것은 2015년 1∼4분기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팔마비율은 소득 양극화가 저소득층과 초고소득층 간 격차에 문제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지니계수의 대안으로 나온 소득분배지표입니다.
가계 소득 상위 10%의 소득점유율을 하위 40%의 소득점유율로 나눈 것으로 비율이 낮아질수록 소득 격차가 좁혀졌다는, 높아질수록 소득 격차가 벌어졌다는 의미입니다.
통상 팔마비율이 낮아지면 중간소득층, 즉 중산층의 소득 점유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도 분위별 소득증가율이 지난해 '부익부 빈익빈 양극화형'에서 올해는 '중산층 성장형'으로 변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늘(25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소득 10분위 가계수지를 토대로 '팔마비율'을 계산한 결과 올해 2분기 팔마비율은 1.34배로, 지난해 동 분기(1.35배) 대비 0.01배 포인트 낮아졌습니다.
지난 1분기 팔마비율이 1.46배로, 1년 전보다 0.13배 포인트 낮아진 데 이어 2분기 연속 하락세입니다.
팔마비율이 전년 대비 연속 하락한 것은 2015년 1∼4분기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팔마비율은 소득 양극화가 저소득층과 초고소득층 간 격차에 문제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지니계수의 대안으로 나온 소득분배지표입니다.
가계 소득 상위 10%의 소득점유율을 하위 40%의 소득점유율로 나눈 것으로 비율이 낮아질수록 소득 격차가 좁혀졌다는, 높아질수록 소득 격차가 벌어졌다는 의미입니다.
통상 팔마비율이 낮아지면 중간소득층, 즉 중산층의 소득 점유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도 분위별 소득증가율이 지난해 '부익부 빈익빈 양극화형'에서 올해는 '중산층 성장형'으로 변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득분배 지표 ‘팔마비율’ 2분기 연속 개선…“중산층 소득 점유율 높아져”
-
- 입력 2019-08-25 10:48:38
- 수정2019-08-25 11:06:10

소득분배지표인 '팔마비율'이 올해 1·2분기 연속으로 개선됐습니다.
오늘(25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소득 10분위 가계수지를 토대로 '팔마비율'을 계산한 결과 올해 2분기 팔마비율은 1.34배로, 지난해 동 분기(1.35배) 대비 0.01배 포인트 낮아졌습니다.
지난 1분기 팔마비율이 1.46배로, 1년 전보다 0.13배 포인트 낮아진 데 이어 2분기 연속 하락세입니다.
팔마비율이 전년 대비 연속 하락한 것은 2015년 1∼4분기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팔마비율은 소득 양극화가 저소득층과 초고소득층 간 격차에 문제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지니계수의 대안으로 나온 소득분배지표입니다.
가계 소득 상위 10%의 소득점유율을 하위 40%의 소득점유율로 나눈 것으로 비율이 낮아질수록 소득 격차가 좁혀졌다는, 높아질수록 소득 격차가 벌어졌다는 의미입니다.
통상 팔마비율이 낮아지면 중간소득층, 즉 중산층의 소득 점유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도 분위별 소득증가율이 지난해 '부익부 빈익빈 양극화형'에서 올해는 '중산층 성장형'으로 변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늘(25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소득 10분위 가계수지를 토대로 '팔마비율'을 계산한 결과 올해 2분기 팔마비율은 1.34배로, 지난해 동 분기(1.35배) 대비 0.01배 포인트 낮아졌습니다.
지난 1분기 팔마비율이 1.46배로, 1년 전보다 0.13배 포인트 낮아진 데 이어 2분기 연속 하락세입니다.
팔마비율이 전년 대비 연속 하락한 것은 2015년 1∼4분기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팔마비율은 소득 양극화가 저소득층과 초고소득층 간 격차에 문제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지니계수의 대안으로 나온 소득분배지표입니다.
가계 소득 상위 10%의 소득점유율을 하위 40%의 소득점유율로 나눈 것으로 비율이 낮아질수록 소득 격차가 좁혀졌다는, 높아질수록 소득 격차가 벌어졌다는 의미입니다.
통상 팔마비율이 낮아지면 중간소득층, 즉 중산층의 소득 점유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도 분위별 소득증가율이 지난해 '부익부 빈익빈 양극화형'에서 올해는 '중산층 성장형'으로 변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
이승재 기자 sjl@kbs.co.kr
이승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