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공저 품앗이…‘침묵의 카르텔’ 속 그들만의 특권?

입력 2019.08.27 (06:31) 수정 2019.08.27 (06: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조국 후보자의 딸이 문제의 단국대 논문을 앞세워 대학 입시에서 실제 부정한 혜택을 봤는지와는 별개로,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자체에 비판이 거셉니다.

교수가 자신의 자녀나 지인의 자녀를 논문 저자로 이름을 올려주는 식으로 이른바 스펙을 쌓아주는 관행의 단면이 또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그 실태를 박예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학교수들이 자신의 논문에 아들딸을 공저자로 올려준 사례가 최근 몇 년 새 속속 드러났습니다.

[자녀 공저자 등재 교수/음성변조 : "(딸이) 실험을 직접 하지는 않았어요, 직접 쓴 것은 아니지만….제 딸한테 조언도 많이 구하고…."]

교수가 아닌 부모들도 아들딸을 공저자로 만들기 위해 인맥과 연줄을 동원했습니다.

[입시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부모끼리 친분 관계가 없으면 쉽지 않을 거예요. 실험실에 속한 팀원들 자체가 대학원생도 있을 다 있을 텐데 고등학생을 제1 저자로 옮길 때, 쉽지 않죠."]

이런 스펙 쌓기가 일부 특권층에게는 공공연한 비밀이자 관행이었습니다.

그 스펙은 대입 수시전형에 주로 활용됐습니다.

[이종훈/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 "사교육 종사자, 전문가를 불러다가 얘가 서울대 의예과를 가고 싶은데 어떤 게 필요하냐 그러면 가져와요. 착착 정리해서 가져오죠. 그러면 거기에 맞춰서 (대학에) 들어가는 거죠."]

정부의 조사에서 미성년자가 공저자로 포함된 논문이 10여 년간 550건 가깝게 확인됐지만, 실제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조 후보자 딸의 단국대 논문도 정부 조사에서는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이런 논문 공저자 등재 관행에는 서로 눈감아주고 침묵한 교수 사회의 폐쇄성이 배경이 됐습니다.

[미성년자 공저자 등재 논문 대표 저자/음성변조 : "아니 나는 몰라요. (대표저자로 이름을 올리셨던데...)"]

부정이 뒤늦게 드러나도 같은 분야의 다른 교수가 검증을 해야 하니 좁은 학계에서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엄창섭/고려대학교 연구진실성위원장 : "(조사 위원이) 누군지를 알아내서 전화해서 부탁을 한다든지 또는 압력을 넣는다든지 할 수 있고 조사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았을 경우에는 경찰이나 검찰에 고소 고발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2014년부터는 학생부에 논문 실적 기재를 금지했지만, 자기소개서 등에 은밀히 반영하는 식의 활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교수 사회의 침묵의 카르텔 속에 지금도 그들만의 자녀 스펙 만들기는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논문 공저 품앗이…‘침묵의 카르텔’ 속 그들만의 특권?
    • 입력 2019-08-27 06:33:48
    • 수정2019-08-27 06:46:23
    뉴스광장 1부
[앵커]

조국 후보자의 딸이 문제의 단국대 논문을 앞세워 대학 입시에서 실제 부정한 혜택을 봤는지와는 별개로,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자체에 비판이 거셉니다.

교수가 자신의 자녀나 지인의 자녀를 논문 저자로 이름을 올려주는 식으로 이른바 스펙을 쌓아주는 관행의 단면이 또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그 실태를 박예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학교수들이 자신의 논문에 아들딸을 공저자로 올려준 사례가 최근 몇 년 새 속속 드러났습니다.

[자녀 공저자 등재 교수/음성변조 : "(딸이) 실험을 직접 하지는 않았어요, 직접 쓴 것은 아니지만….제 딸한테 조언도 많이 구하고…."]

교수가 아닌 부모들도 아들딸을 공저자로 만들기 위해 인맥과 연줄을 동원했습니다.

[입시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부모끼리 친분 관계가 없으면 쉽지 않을 거예요. 실험실에 속한 팀원들 자체가 대학원생도 있을 다 있을 텐데 고등학생을 제1 저자로 옮길 때, 쉽지 않죠."]

이런 스펙 쌓기가 일부 특권층에게는 공공연한 비밀이자 관행이었습니다.

그 스펙은 대입 수시전형에 주로 활용됐습니다.

[이종훈/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 "사교육 종사자, 전문가를 불러다가 얘가 서울대 의예과를 가고 싶은데 어떤 게 필요하냐 그러면 가져와요. 착착 정리해서 가져오죠. 그러면 거기에 맞춰서 (대학에) 들어가는 거죠."]

정부의 조사에서 미성년자가 공저자로 포함된 논문이 10여 년간 550건 가깝게 확인됐지만, 실제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번 조 후보자 딸의 단국대 논문도 정부 조사에서는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이런 논문 공저자 등재 관행에는 서로 눈감아주고 침묵한 교수 사회의 폐쇄성이 배경이 됐습니다.

[미성년자 공저자 등재 논문 대표 저자/음성변조 : "아니 나는 몰라요. (대표저자로 이름을 올리셨던데...)"]

부정이 뒤늦게 드러나도 같은 분야의 다른 교수가 검증을 해야 하니 좁은 학계에서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엄창섭/고려대학교 연구진실성위원장 : "(조사 위원이) 누군지를 알아내서 전화해서 부탁을 한다든지 또는 압력을 넣는다든지 할 수 있고 조사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았을 경우에는 경찰이나 검찰에 고소 고발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2014년부터는 학생부에 논문 실적 기재를 금지했지만, 자기소개서 등에 은밀히 반영하는 식의 활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교수 사회의 침묵의 카르텔 속에 지금도 그들만의 자녀 스펙 만들기는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