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韓은행 신용도 유지 전망…부동산 급락 리스크 낮아”
입력 2019.08.28 (09:56)
수정 2019.08.28 (10: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한국의 은행업이 경제적 불확실성에도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면서 신용도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S&P는 오늘(28일) '은행산업 국가리스크 평가 보고서'에서 "한국의 은행들은 향후 몇 년간 완만한 자산 확대 성향을 바탕으로 현 수준의 자본 적정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S&P는 "주택수요 둔화와 조선·해운산업의 어려운 영업환경으로 은행의 대손비용이 다소 증가하고 저금리 상황에서 순이자마진 압박도 이어질 것"이라며 "높은 수준의 가계 부채,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수출규제, 경기 둔화 등 경제여건의 비우호적인 전개는 신용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가계 부채의 잠재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규제정책은 한국 은행권의 안정성을 뒷받침하며 안정적인 고객 예금기반은 은행권 자금 조달을 뒷받침하는 요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S&P는 "정부가 신중한 규제정책으로 지난 10여년 간 부동산 가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왔음을 고려하면 한국 부동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 리스크는 낮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몇 년간 한국의 전국 평균 실질 주택 가격은 소폭 상승했고 상승 폭과 변동성 측면에서 홍콩, 호주, 싱가포르 등 역내 다른 국가에 비해 안정적인 수준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S&P는 "서울과 그 외 지역 간 부동산 가격 양극화가 경제 불균형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2015∼2018년 서울 평균 실질 주택 가격은 연간 약 3% 오른 반면 지방의 실질주택 가격은 연간 1.5% 하락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은 S&P 은행산업 국가리스크평가(BICRA)에서 호주, 칠레, 프랑스, 일본, 영국, 미국과 함께 리스크가 3번째로 낮은 '그룹3'에 속해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S&P는 오늘(28일) '은행산업 국가리스크 평가 보고서'에서 "한국의 은행들은 향후 몇 년간 완만한 자산 확대 성향을 바탕으로 현 수준의 자본 적정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S&P는 "주택수요 둔화와 조선·해운산업의 어려운 영업환경으로 은행의 대손비용이 다소 증가하고 저금리 상황에서 순이자마진 압박도 이어질 것"이라며 "높은 수준의 가계 부채,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수출규제, 경기 둔화 등 경제여건의 비우호적인 전개는 신용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가계 부채의 잠재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규제정책은 한국 은행권의 안정성을 뒷받침하며 안정적인 고객 예금기반은 은행권 자금 조달을 뒷받침하는 요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S&P는 "정부가 신중한 규제정책으로 지난 10여년 간 부동산 가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왔음을 고려하면 한국 부동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 리스크는 낮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몇 년간 한국의 전국 평균 실질 주택 가격은 소폭 상승했고 상승 폭과 변동성 측면에서 홍콩, 호주, 싱가포르 등 역내 다른 국가에 비해 안정적인 수준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S&P는 "서울과 그 외 지역 간 부동산 가격 양극화가 경제 불균형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2015∼2018년 서울 평균 실질 주택 가격은 연간 약 3% 오른 반면 지방의 실질주택 가격은 연간 1.5% 하락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은 S&P 은행산업 국가리스크평가(BICRA)에서 호주, 칠레, 프랑스, 일본, 영국, 미국과 함께 리스크가 3번째로 낮은 '그룹3'에 속해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S&P “韓은행 신용도 유지 전망…부동산 급락 리스크 낮아”
-
- 입력 2019-08-28 09:56:22
- 수정2019-08-28 10:15:02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한국의 은행업이 경제적 불확실성에도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면서 신용도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S&P는 오늘(28일) '은행산업 국가리스크 평가 보고서'에서 "한국의 은행들은 향후 몇 년간 완만한 자산 확대 성향을 바탕으로 현 수준의 자본 적정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S&P는 "주택수요 둔화와 조선·해운산업의 어려운 영업환경으로 은행의 대손비용이 다소 증가하고 저금리 상황에서 순이자마진 압박도 이어질 것"이라며 "높은 수준의 가계 부채,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수출규제, 경기 둔화 등 경제여건의 비우호적인 전개는 신용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가계 부채의 잠재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규제정책은 한국 은행권의 안정성을 뒷받침하며 안정적인 고객 예금기반은 은행권 자금 조달을 뒷받침하는 요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S&P는 "정부가 신중한 규제정책으로 지난 10여년 간 부동산 가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왔음을 고려하면 한국 부동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 리스크는 낮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몇 년간 한국의 전국 평균 실질 주택 가격은 소폭 상승했고 상승 폭과 변동성 측면에서 홍콩, 호주, 싱가포르 등 역내 다른 국가에 비해 안정적인 수준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S&P는 "서울과 그 외 지역 간 부동산 가격 양극화가 경제 불균형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2015∼2018년 서울 평균 실질 주택 가격은 연간 약 3% 오른 반면 지방의 실질주택 가격은 연간 1.5% 하락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은 S&P 은행산업 국가리스크평가(BICRA)에서 호주, 칠레, 프랑스, 일본, 영국, 미국과 함께 리스크가 3번째로 낮은 '그룹3'에 속해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S&P는 오늘(28일) '은행산업 국가리스크 평가 보고서'에서 "한국의 은행들은 향후 몇 년간 완만한 자산 확대 성향을 바탕으로 현 수준의 자본 적정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S&P는 "주택수요 둔화와 조선·해운산업의 어려운 영업환경으로 은행의 대손비용이 다소 증가하고 저금리 상황에서 순이자마진 압박도 이어질 것"이라며 "높은 수준의 가계 부채,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수출규제, 경기 둔화 등 경제여건의 비우호적인 전개는 신용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가계 부채의 잠재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규제정책은 한국 은행권의 안정성을 뒷받침하며 안정적인 고객 예금기반은 은행권 자금 조달을 뒷받침하는 요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S&P는 "정부가 신중한 규제정책으로 지난 10여년 간 부동산 가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왔음을 고려하면 한국 부동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 리스크는 낮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몇 년간 한국의 전국 평균 실질 주택 가격은 소폭 상승했고 상승 폭과 변동성 측면에서 홍콩, 호주, 싱가포르 등 역내 다른 국가에 비해 안정적인 수준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S&P는 "서울과 그 외 지역 간 부동산 가격 양극화가 경제 불균형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2015∼2018년 서울 평균 실질 주택 가격은 연간 약 3% 오른 반면 지방의 실질주택 가격은 연간 1.5% 하락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은 S&P 은행산업 국가리스크평가(BICRA)에서 호주, 칠레, 프랑스, 일본, 영국, 미국과 함께 리스크가 3번째로 낮은 '그룹3'에 속해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박일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