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모자 장례절차 협의 난항…정부·탈북민단체 이견
입력 2019.08.28 (11:10)
수정 2019.08.28 (11: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숨진 채 발견된 탈북민 한모(42)씨 모자의 장례 협의가 정부와 탈북민 단체 간의 이견으로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통일부와 산하 탈북민 지원기관인 남북하나재단, 탈북민단체는 지난주 경찰의 부검 결과 발표 이후 협의를 계속해왔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정부는 사망 원인에 대한 경찰 조사가 마무리됐기 때문에 절차에 따라 장례를 치르려 하지만, 탈북민 단체는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하며 맞서고 있습니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협의 과정 중에 다른 의견들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계속해서 고인에 대한 예우를 갖춰서 장례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탈북민 단체들과 원만하게 협의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남북하나재단은 홈페이지에 올린 입장문에서 "시간이 걸리는 제도 개선 및 재발 방지 대책과 망자의 영면을 위한 빈소를 준비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며 "빈소 설치 및 장례 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더 이상은 미룰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탈북민단체 측은 '사인규명 및 재발 방지를 위한 탈북민 비상대책위원회' 이름의 웹사이트를 개설하고 남북하나재단 등의 책임자 퇴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단체 측은 탈북 모자의 아사 여부를 판단하지 못한 부검 결과를 놓고 정부가 책임을 회피한 것이라고 비판하며, 재발방지를 위한 협의기구 구성과 특별법 입법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난달 31일 서울 봉천동의 한 임대아파트에서 숨진채 발견된 한씨 모자와 관련해,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을 진행한 결과 모자 모두 '사인 불명'이라는 감정 결과를 받았다고 지난 23일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통일부와 산하 탈북민 지원기관인 남북하나재단, 탈북민단체는 지난주 경찰의 부검 결과 발표 이후 협의를 계속해왔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정부는 사망 원인에 대한 경찰 조사가 마무리됐기 때문에 절차에 따라 장례를 치르려 하지만, 탈북민 단체는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하며 맞서고 있습니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협의 과정 중에 다른 의견들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계속해서 고인에 대한 예우를 갖춰서 장례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탈북민 단체들과 원만하게 협의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남북하나재단은 홈페이지에 올린 입장문에서 "시간이 걸리는 제도 개선 및 재발 방지 대책과 망자의 영면을 위한 빈소를 준비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며 "빈소 설치 및 장례 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더 이상은 미룰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탈북민단체 측은 '사인규명 및 재발 방지를 위한 탈북민 비상대책위원회' 이름의 웹사이트를 개설하고 남북하나재단 등의 책임자 퇴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단체 측은 탈북 모자의 아사 여부를 판단하지 못한 부검 결과를 놓고 정부가 책임을 회피한 것이라고 비판하며, 재발방지를 위한 협의기구 구성과 특별법 입법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난달 31일 서울 봉천동의 한 임대아파트에서 숨진채 발견된 한씨 모자와 관련해,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을 진행한 결과 모자 모두 '사인 불명'이라는 감정 결과를 받았다고 지난 23일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탈북 모자 장례절차 협의 난항…정부·탈북민단체 이견
-
- 입력 2019-08-28 11:10:14
- 수정2019-08-28 11:19:26

지난달 숨진 채 발견된 탈북민 한모(42)씨 모자의 장례 협의가 정부와 탈북민 단체 간의 이견으로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통일부와 산하 탈북민 지원기관인 남북하나재단, 탈북민단체는 지난주 경찰의 부검 결과 발표 이후 협의를 계속해왔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정부는 사망 원인에 대한 경찰 조사가 마무리됐기 때문에 절차에 따라 장례를 치르려 하지만, 탈북민 단체는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하며 맞서고 있습니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협의 과정 중에 다른 의견들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계속해서 고인에 대한 예우를 갖춰서 장례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탈북민 단체들과 원만하게 협의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남북하나재단은 홈페이지에 올린 입장문에서 "시간이 걸리는 제도 개선 및 재발 방지 대책과 망자의 영면을 위한 빈소를 준비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며 "빈소 설치 및 장례 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더 이상은 미룰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탈북민단체 측은 '사인규명 및 재발 방지를 위한 탈북민 비상대책위원회' 이름의 웹사이트를 개설하고 남북하나재단 등의 책임자 퇴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단체 측은 탈북 모자의 아사 여부를 판단하지 못한 부검 결과를 놓고 정부가 책임을 회피한 것이라고 비판하며, 재발방지를 위한 협의기구 구성과 특별법 입법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난달 31일 서울 봉천동의 한 임대아파트에서 숨진채 발견된 한씨 모자와 관련해,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을 진행한 결과 모자 모두 '사인 불명'이라는 감정 결과를 받았다고 지난 23일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통일부와 산하 탈북민 지원기관인 남북하나재단, 탈북민단체는 지난주 경찰의 부검 결과 발표 이후 협의를 계속해왔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정부는 사망 원인에 대한 경찰 조사가 마무리됐기 때문에 절차에 따라 장례를 치르려 하지만, 탈북민 단체는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하며 맞서고 있습니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협의 과정 중에 다른 의견들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계속해서 고인에 대한 예우를 갖춰서 장례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탈북민 단체들과 원만하게 협의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남북하나재단은 홈페이지에 올린 입장문에서 "시간이 걸리는 제도 개선 및 재발 방지 대책과 망자의 영면을 위한 빈소를 준비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며 "빈소 설치 및 장례 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더 이상은 미룰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탈북민단체 측은 '사인규명 및 재발 방지를 위한 탈북민 비상대책위원회' 이름의 웹사이트를 개설하고 남북하나재단 등의 책임자 퇴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단체 측은 탈북 모자의 아사 여부를 판단하지 못한 부검 결과를 놓고 정부가 책임을 회피한 것이라고 비판하며, 재발방지를 위한 협의기구 구성과 특별법 입법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난달 31일 서울 봉천동의 한 임대아파트에서 숨진채 발견된 한씨 모자와 관련해,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을 진행한 결과 모자 모두 '사인 불명'이라는 감정 결과를 받았다고 지난 23일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유지향 기자 nausika@kbs.co.kr
유지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