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9월에 야생동물 사망사고 빈번, 주의
입력 2019.08.28 (16:30) 대구
성묘와 농작물 수확이 시작되는 9월에
야생동물로 인한 사망사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경북도의 자료를 보면
지난 2016년부터 3년간
9월에만 145건의 야생동물 사고가 발생해
모두 11명이 숨졌습니다.
위해 동물은
뱀이 56%로 가장 많았고,
벌 39%, 멧돼지 4%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한편 경북도는
야생동물 피해를 본 도민에게
최대 백만 원의 치료비와 5백만 원 상당의
사망 위로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끝)
야생동물로 인한 사망사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경북도의 자료를 보면
지난 2016년부터 3년간
9월에만 145건의 야생동물 사고가 발생해
모두 11명이 숨졌습니다.
위해 동물은
뱀이 56%로 가장 많았고,
벌 39%, 멧돼지 4%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한편 경북도는
야생동물 피해를 본 도민에게
최대 백만 원의 치료비와 5백만 원 상당의
사망 위로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끝)
- 9월에 야생동물 사망사고 빈번, 주의
-
- 입력 2019-08-29 09:32:33
성묘와 농작물 수확이 시작되는 9월에
야생동물로 인한 사망사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경북도의 자료를 보면
지난 2016년부터 3년간
9월에만 145건의 야생동물 사고가 발생해
모두 11명이 숨졌습니다.
위해 동물은
뱀이 56%로 가장 많았고,
벌 39%, 멧돼지 4%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한편 경북도는
야생동물 피해를 본 도민에게
최대 백만 원의 치료비와 5백만 원 상당의
사망 위로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끝)
야생동물로 인한 사망사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경북도의 자료를 보면
지난 2016년부터 3년간
9월에만 145건의 야생동물 사고가 발생해
모두 11명이 숨졌습니다.
위해 동물은
뱀이 56%로 가장 많았고,
벌 39%, 멧돼지 4%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한편 경북도는
야생동물 피해를 본 도민에게
최대 백만 원의 치료비와 5백만 원 상당의
사망 위로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끝)
- 기자 정보
-
-
김도훈 기자 kinchy@kbs.co.kr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