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재정악화 감수…“경기 살려야 세금 수입도 늘어”
입력 2019.08.29 (21:31) 수정 2019.08.29 (22:04) 뉴스 9
[앵커]
앞서 잠깐 언급했지만 나랏돈을 대폭 풀면 경기진작 효과는 있겠지만, 반대로 나라빚이 늘고 국가채무비율도 늘어 재정건전성 우려가 뒤따릅니다.
벌써 야당의 비판이 나오고 국회 심사과정이 순탄치않을 전망입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보다 44조 원 가까이 늘면서 2년 연속 9%대 증가율을 기록한 내년도 예산안.
정부는 2023년까지 5년 연평균 예산을 6.5% 늘리겠다는 계획도 함께 내놨습니다.
4년 뒤엔 예산이 6백조 원을 넘게 됩니다.
그런데 내년도 예산,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졌습니다.
내년 정부 수입은 올해와 비슷한 482조 원.
반도체 부진으로 법인세가 덜 걷힐 것으로 예상되고, 국세 일부를 지방으로 넘겨야 하기 때문입니다.
5백조 지출 규모에 못 미치다보니 모자라는 부분은 적자국채를 발행해 충당할 계획입니다.
내년 발행 계획 60조 원은 올해보다 25조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몹니다.
나라빚이 늘면서 내년 GDP대비 국가채무비율은 39.8%, 4년 뒤엔 45%를 넘어서게 됩니다.
재정건전성은 괜찮냐는 우려가 따라나옵니다.
재정적자와 채무증가폭이 너무 빠르지 않느냐는 겁니다.
정부는 OECD 평균 국가채무비율이 100%가 넘고 일본은 220%를 넘는 점을 감안하면 아직은 여력이 충분하다는 입장입니다.
또 경기 상황이 안 좋을 때 재정마저 손을 놓고 있으면 경제가 쪼그라드니, 나랏돈으로라도 경제를 키워야 나중에 세수도 늘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홍남기/경제부총리 : "올해와 내년도 경제가 어려운데, 이를 재정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줘서 다시 성장경로로 복귀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재정에도 도움이 되고..."]
야당은 당장 예산과 적자 국채 규모 등을 비판하고 나서면서, 국회 심사과정이 쉽지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앞서 잠깐 언급했지만 나랏돈을 대폭 풀면 경기진작 효과는 있겠지만, 반대로 나라빚이 늘고 국가채무비율도 늘어 재정건전성 우려가 뒤따릅니다.
벌써 야당의 비판이 나오고 국회 심사과정이 순탄치않을 전망입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보다 44조 원 가까이 늘면서 2년 연속 9%대 증가율을 기록한 내년도 예산안.
정부는 2023년까지 5년 연평균 예산을 6.5% 늘리겠다는 계획도 함께 내놨습니다.
4년 뒤엔 예산이 6백조 원을 넘게 됩니다.
그런데 내년도 예산,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졌습니다.
내년 정부 수입은 올해와 비슷한 482조 원.
반도체 부진으로 법인세가 덜 걷힐 것으로 예상되고, 국세 일부를 지방으로 넘겨야 하기 때문입니다.
5백조 지출 규모에 못 미치다보니 모자라는 부분은 적자국채를 발행해 충당할 계획입니다.
내년 발행 계획 60조 원은 올해보다 25조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몹니다.
나라빚이 늘면서 내년 GDP대비 국가채무비율은 39.8%, 4년 뒤엔 45%를 넘어서게 됩니다.
재정건전성은 괜찮냐는 우려가 따라나옵니다.
재정적자와 채무증가폭이 너무 빠르지 않느냐는 겁니다.
정부는 OECD 평균 국가채무비율이 100%가 넘고 일본은 220%를 넘는 점을 감안하면 아직은 여력이 충분하다는 입장입니다.
또 경기 상황이 안 좋을 때 재정마저 손을 놓고 있으면 경제가 쪼그라드니, 나랏돈으로라도 경제를 키워야 나중에 세수도 늘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홍남기/경제부총리 : "올해와 내년도 경제가 어려운데, 이를 재정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줘서 다시 성장경로로 복귀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재정에도 도움이 되고..."]
야당은 당장 예산과 적자 국채 규모 등을 비판하고 나서면서, 국회 심사과정이 쉽지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 재정악화 감수…“경기 살려야 세금 수입도 늘어”
-
- 입력 2019-08-29 21:33:00
- 수정2019-08-29 22:04:03

[앵커]
앞서 잠깐 언급했지만 나랏돈을 대폭 풀면 경기진작 효과는 있겠지만, 반대로 나라빚이 늘고 국가채무비율도 늘어 재정건전성 우려가 뒤따릅니다.
벌써 야당의 비판이 나오고 국회 심사과정이 순탄치않을 전망입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보다 44조 원 가까이 늘면서 2년 연속 9%대 증가율을 기록한 내년도 예산안.
정부는 2023년까지 5년 연평균 예산을 6.5% 늘리겠다는 계획도 함께 내놨습니다.
4년 뒤엔 예산이 6백조 원을 넘게 됩니다.
그런데 내년도 예산,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졌습니다.
내년 정부 수입은 올해와 비슷한 482조 원.
반도체 부진으로 법인세가 덜 걷힐 것으로 예상되고, 국세 일부를 지방으로 넘겨야 하기 때문입니다.
5백조 지출 규모에 못 미치다보니 모자라는 부분은 적자국채를 발행해 충당할 계획입니다.
내년 발행 계획 60조 원은 올해보다 25조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몹니다.
나라빚이 늘면서 내년 GDP대비 국가채무비율은 39.8%, 4년 뒤엔 45%를 넘어서게 됩니다.
재정건전성은 괜찮냐는 우려가 따라나옵니다.
재정적자와 채무증가폭이 너무 빠르지 않느냐는 겁니다.
정부는 OECD 평균 국가채무비율이 100%가 넘고 일본은 220%를 넘는 점을 감안하면 아직은 여력이 충분하다는 입장입니다.
또 경기 상황이 안 좋을 때 재정마저 손을 놓고 있으면 경제가 쪼그라드니, 나랏돈으로라도 경제를 키워야 나중에 세수도 늘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홍남기/경제부총리 : "올해와 내년도 경제가 어려운데, 이를 재정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줘서 다시 성장경로로 복귀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재정에도 도움이 되고..."]
야당은 당장 예산과 적자 국채 규모 등을 비판하고 나서면서, 국회 심사과정이 쉽지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앞서 잠깐 언급했지만 나랏돈을 대폭 풀면 경기진작 효과는 있겠지만, 반대로 나라빚이 늘고 국가채무비율도 늘어 재정건전성 우려가 뒤따릅니다.
벌써 야당의 비판이 나오고 국회 심사과정이 순탄치않을 전망입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보다 44조 원 가까이 늘면서 2년 연속 9%대 증가율을 기록한 내년도 예산안.
정부는 2023년까지 5년 연평균 예산을 6.5% 늘리겠다는 계획도 함께 내놨습니다.
4년 뒤엔 예산이 6백조 원을 넘게 됩니다.
그런데 내년도 예산,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졌습니다.
내년 정부 수입은 올해와 비슷한 482조 원.
반도체 부진으로 법인세가 덜 걷힐 것으로 예상되고, 국세 일부를 지방으로 넘겨야 하기 때문입니다.
5백조 지출 규모에 못 미치다보니 모자라는 부분은 적자국채를 발행해 충당할 계획입니다.
내년 발행 계획 60조 원은 올해보다 25조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몹니다.
나라빚이 늘면서 내년 GDP대비 국가채무비율은 39.8%, 4년 뒤엔 45%를 넘어서게 됩니다.
재정건전성은 괜찮냐는 우려가 따라나옵니다.
재정적자와 채무증가폭이 너무 빠르지 않느냐는 겁니다.
정부는 OECD 평균 국가채무비율이 100%가 넘고 일본은 220%를 넘는 점을 감안하면 아직은 여력이 충분하다는 입장입니다.
또 경기 상황이 안 좋을 때 재정마저 손을 놓고 있으면 경제가 쪼그라드니, 나랏돈으로라도 경제를 키워야 나중에 세수도 늘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홍남기/경제부총리 : "올해와 내년도 경제가 어려운데, 이를 재정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줘서 다시 성장경로로 복귀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재정에도 도움이 되고..."]
야당은 당장 예산과 적자 국채 규모 등을 비판하고 나서면서, 국회 심사과정이 쉽지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공아영 기자 gong@kbs.co.kr
공아영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