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한 정태수 전 한보 회장 고액연체자 명단서 제외
입력 2019.09.17 (09:19)
수정 2019.09.17 (09: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고액 체납자 명단이 발표된 이후 15년간 명단 제일 앞줄에 있던 정태수 전 한보그룹 회장이 최근 리스트에서 사라졌습니다.
국세청은 남미 에콰도르에서 지병으로 사망한 사실이 공식 확인됨에 따라 정 전 회장의 이름을 명단에서 삭제했다고 밝혔습니다.
국세청은 국세기본법에 따라 체납 발생일로부터 1년이 지난 국세가 2억원 이상인 고액 상습 체납자의 이름과 주소, 체납액 등을 국세청 홈페이지와 관할 세무서 게시판에 공개하지만, 체납자가 사망한 경우 명단에서 이름을 뺍니다.
하지만 고액 체납자가 사망해 명단에서 이름이 빠졌다고 해서 체납 세금 추징이 중단되는 것은 아닙니다. 재산이 누군가에게 상속됐다면 상속자에게 추징이 이뤄지고 은닉됐다면 사후라도 찾아내 환수합니다.
앞서 검찰은 정 전 회장과 함께 에콰도르에서 도피생활을 해 온 4남 정한근 전 한보철강판매 대표를 체포해 조사하는 과정에서 정 전 회장이 작년 12월 1일(현지시간) 지병으로 인해 95세로 숨진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정 전 회장은 국세 2천225억원을 체납해 국세청이 고액 상습 체납자 명단 공개를 시작한 2004년부터 고액 체납자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2007년 5월 일본에서 신병 치료를 하겠다고 출국한 정 전 회장은 말레이시아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 이어 에콰도르로 떠돌며 도피행각을 벌였습니다.
특히 에콰도르 과야킬이라는 도시에서 키르기스스탄 국적의 고려인 행세를 하면서 유전개발 사업을 벌이려 한 것으로 알려져 국세청은 검찰과 함께 그가 현지에 은닉한 재산이 있는지 추적 중입니다.
정 전 회장이 명단에서 사라짐에 따라 체납자 명단 1위 자리에는 박국태(50) 씨엔에이취케미칼 출자자가 올랐습니다. 박 씨는 교통에너지환경세 등 국세 1천223억 9천600만 원을 체납해 2016년부터 명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2위는 1천73억 1천600만 원을 체납한 최순영 전 신동아그룹 회장, 3위는 714억 8천600만 원을 내지 않은 조동만 전 한솔 부회장입니다.
또, 정 전 회장의 3남 정보근 전 한보철강 대표는 644억 6천700만 원을 체납해 4위에 올랐고, 4남 한근씨도 국세 293억 8천800만 원을 내지 않아 고액 체납자 명단 32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세청은 남미 에콰도르에서 지병으로 사망한 사실이 공식 확인됨에 따라 정 전 회장의 이름을 명단에서 삭제했다고 밝혔습니다.
국세청은 국세기본법에 따라 체납 발생일로부터 1년이 지난 국세가 2억원 이상인 고액 상습 체납자의 이름과 주소, 체납액 등을 국세청 홈페이지와 관할 세무서 게시판에 공개하지만, 체납자가 사망한 경우 명단에서 이름을 뺍니다.
하지만 고액 체납자가 사망해 명단에서 이름이 빠졌다고 해서 체납 세금 추징이 중단되는 것은 아닙니다. 재산이 누군가에게 상속됐다면 상속자에게 추징이 이뤄지고 은닉됐다면 사후라도 찾아내 환수합니다.
앞서 검찰은 정 전 회장과 함께 에콰도르에서 도피생활을 해 온 4남 정한근 전 한보철강판매 대표를 체포해 조사하는 과정에서 정 전 회장이 작년 12월 1일(현지시간) 지병으로 인해 95세로 숨진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정 전 회장은 국세 2천225억원을 체납해 국세청이 고액 상습 체납자 명단 공개를 시작한 2004년부터 고액 체납자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2007년 5월 일본에서 신병 치료를 하겠다고 출국한 정 전 회장은 말레이시아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 이어 에콰도르로 떠돌며 도피행각을 벌였습니다.
특히 에콰도르 과야킬이라는 도시에서 키르기스스탄 국적의 고려인 행세를 하면서 유전개발 사업을 벌이려 한 것으로 알려져 국세청은 검찰과 함께 그가 현지에 은닉한 재산이 있는지 추적 중입니다.
정 전 회장이 명단에서 사라짐에 따라 체납자 명단 1위 자리에는 박국태(50) 씨엔에이취케미칼 출자자가 올랐습니다. 박 씨는 교통에너지환경세 등 국세 1천223억 9천600만 원을 체납해 2016년부터 명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2위는 1천73억 1천600만 원을 체납한 최순영 전 신동아그룹 회장, 3위는 714억 8천600만 원을 내지 않은 조동만 전 한솔 부회장입니다.
또, 정 전 회장의 3남 정보근 전 한보철강 대표는 644억 6천700만 원을 체납해 4위에 올랐고, 4남 한근씨도 국세 293억 8천800만 원을 내지 않아 고액 체납자 명단 32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망한 정태수 전 한보 회장 고액연체자 명단서 제외
-
- 입력 2019-09-17 09:19:08
- 수정2019-09-17 09:22:03

우리나라 고액 체납자 명단이 발표된 이후 15년간 명단 제일 앞줄에 있던 정태수 전 한보그룹 회장이 최근 리스트에서 사라졌습니다.
국세청은 남미 에콰도르에서 지병으로 사망한 사실이 공식 확인됨에 따라 정 전 회장의 이름을 명단에서 삭제했다고 밝혔습니다.
국세청은 국세기본법에 따라 체납 발생일로부터 1년이 지난 국세가 2억원 이상인 고액 상습 체납자의 이름과 주소, 체납액 등을 국세청 홈페이지와 관할 세무서 게시판에 공개하지만, 체납자가 사망한 경우 명단에서 이름을 뺍니다.
하지만 고액 체납자가 사망해 명단에서 이름이 빠졌다고 해서 체납 세금 추징이 중단되는 것은 아닙니다. 재산이 누군가에게 상속됐다면 상속자에게 추징이 이뤄지고 은닉됐다면 사후라도 찾아내 환수합니다.
앞서 검찰은 정 전 회장과 함께 에콰도르에서 도피생활을 해 온 4남 정한근 전 한보철강판매 대표를 체포해 조사하는 과정에서 정 전 회장이 작년 12월 1일(현지시간) 지병으로 인해 95세로 숨진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정 전 회장은 국세 2천225억원을 체납해 국세청이 고액 상습 체납자 명단 공개를 시작한 2004년부터 고액 체납자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2007년 5월 일본에서 신병 치료를 하겠다고 출국한 정 전 회장은 말레이시아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 이어 에콰도르로 떠돌며 도피행각을 벌였습니다.
특히 에콰도르 과야킬이라는 도시에서 키르기스스탄 국적의 고려인 행세를 하면서 유전개발 사업을 벌이려 한 것으로 알려져 국세청은 검찰과 함께 그가 현지에 은닉한 재산이 있는지 추적 중입니다.
정 전 회장이 명단에서 사라짐에 따라 체납자 명단 1위 자리에는 박국태(50) 씨엔에이취케미칼 출자자가 올랐습니다. 박 씨는 교통에너지환경세 등 국세 1천223억 9천600만 원을 체납해 2016년부터 명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2위는 1천73억 1천600만 원을 체납한 최순영 전 신동아그룹 회장, 3위는 714억 8천600만 원을 내지 않은 조동만 전 한솔 부회장입니다.
또, 정 전 회장의 3남 정보근 전 한보철강 대표는 644억 6천700만 원을 체납해 4위에 올랐고, 4남 한근씨도 국세 293억 8천800만 원을 내지 않아 고액 체납자 명단 32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세청은 남미 에콰도르에서 지병으로 사망한 사실이 공식 확인됨에 따라 정 전 회장의 이름을 명단에서 삭제했다고 밝혔습니다.
국세청은 국세기본법에 따라 체납 발생일로부터 1년이 지난 국세가 2억원 이상인 고액 상습 체납자의 이름과 주소, 체납액 등을 국세청 홈페이지와 관할 세무서 게시판에 공개하지만, 체납자가 사망한 경우 명단에서 이름을 뺍니다.
하지만 고액 체납자가 사망해 명단에서 이름이 빠졌다고 해서 체납 세금 추징이 중단되는 것은 아닙니다. 재산이 누군가에게 상속됐다면 상속자에게 추징이 이뤄지고 은닉됐다면 사후라도 찾아내 환수합니다.
앞서 검찰은 정 전 회장과 함께 에콰도르에서 도피생활을 해 온 4남 정한근 전 한보철강판매 대표를 체포해 조사하는 과정에서 정 전 회장이 작년 12월 1일(현지시간) 지병으로 인해 95세로 숨진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정 전 회장은 국세 2천225억원을 체납해 국세청이 고액 상습 체납자 명단 공개를 시작한 2004년부터 고액 체납자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2007년 5월 일본에서 신병 치료를 하겠다고 출국한 정 전 회장은 말레이시아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 이어 에콰도르로 떠돌며 도피행각을 벌였습니다.
특히 에콰도르 과야킬이라는 도시에서 키르기스스탄 국적의 고려인 행세를 하면서 유전개발 사업을 벌이려 한 것으로 알려져 국세청은 검찰과 함께 그가 현지에 은닉한 재산이 있는지 추적 중입니다.
정 전 회장이 명단에서 사라짐에 따라 체납자 명단 1위 자리에는 박국태(50) 씨엔에이취케미칼 출자자가 올랐습니다. 박 씨는 교통에너지환경세 등 국세 1천223억 9천600만 원을 체납해 2016년부터 명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2위는 1천73억 1천600만 원을 체납한 최순영 전 신동아그룹 회장, 3위는 714억 8천600만 원을 내지 않은 조동만 전 한솔 부회장입니다.
또, 정 전 회장의 3남 정보근 전 한보철강 대표는 644억 6천700만 원을 체납해 4위에 올랐고, 4남 한근씨도 국세 293억 8천800만 원을 내지 않아 고액 체납자 명단 32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서영민 기자 seo0177@gmail.com
서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