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금융시장도 ‘경고음’

입력 2019.09.30 (07:41) 수정 2019.10.02 (08: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일상 해설 위원

실물 경제에 이어 금융시장도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가계 부채도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과 달리 집값이 떨어지는 비수도권의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빚을 갚지 못하는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내외 경제 여건 악화에 따른 경기 둔화로 금융 시장까지 흔들리고 있는 것입니다.

금융시장의 안정성 여부를 평가하는 금융안정지수가 3년 6개월 만에 '주의'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8월 우리나라의 금융안정지수는 8.3으로 국제유가와 중국 증시가 폭락했던 지난 2016년 2월 이후 최고치입니다. 한국은행은 대외 여건 악화와 국내 경기 둔화 등으로 금융과 외환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평가했습니다. 기업 실적 악화와 가계 대출의 연체율 상승 등으로 금융기관의 자산 건전성이 나빠졌습니다. 일반 가정이 빚을 낸 가계 부채는 1550조 원을 넘어 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특히 비수도권의 대출 비중이 높아진 가운데 비수도권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2017년 말 2.5%에서 올해 2분기에는 3.1%로 높아졌습니다. 취약계층의 연체 대출 비율은 27%가 넘어서는 등 건전성 지표가 크게 나빠지고 있습니다. 3년 연속 이자 내기도 어려운 한계기업이 3,200여 곳에 이르러 전체의 14%가 넘었습니다. 최근 독일 국채 관련 상품에 투자했다가 큰 손실을 본 DLF를 비롯한 파생상품도 10년 동안 4배나 늘어 117조 원이 넘었습니다. 이들 상품에 대규모 환매 사태가 발생한다면 금융시장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100% 원금손실 문제 등 고객들의 불안감과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만큼 철저한 관리 감독도 시급한 상황입니다.

국내외 주요 경제 예측기관에서는 잇따라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전망치를 낮추고 있습니다. 2017년 이후 24개월째 경기하강 국면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일본식 장기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경제 여건 변화에 따른 위기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 산업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유연성도 필요한 때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금융시장도 ‘경고음’
    • 입력 2019-09-30 07:51:19
    • 수정2019-10-02 08:05:50
    뉴스광장
감일상 해설 위원 실물 경제에 이어 금융시장도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가계 부채도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과 달리 집값이 떨어지는 비수도권의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빚을 갚지 못하는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내외 경제 여건 악화에 따른 경기 둔화로 금융 시장까지 흔들리고 있는 것입니다. 금융시장의 안정성 여부를 평가하는 금융안정지수가 3년 6개월 만에 '주의'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8월 우리나라의 금융안정지수는 8.3으로 국제유가와 중국 증시가 폭락했던 지난 2016년 2월 이후 최고치입니다. 한국은행은 대외 여건 악화와 국내 경기 둔화 등으로 금융과 외환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평가했습니다. 기업 실적 악화와 가계 대출의 연체율 상승 등으로 금융기관의 자산 건전성이 나빠졌습니다. 일반 가정이 빚을 낸 가계 부채는 1550조 원을 넘어 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특히 비수도권의 대출 비중이 높아진 가운데 비수도권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2017년 말 2.5%에서 올해 2분기에는 3.1%로 높아졌습니다. 취약계층의 연체 대출 비율은 27%가 넘어서는 등 건전성 지표가 크게 나빠지고 있습니다. 3년 연속 이자 내기도 어려운 한계기업이 3,200여 곳에 이르러 전체의 14%가 넘었습니다. 최근 독일 국채 관련 상품에 투자했다가 큰 손실을 본 DLF를 비롯한 파생상품도 10년 동안 4배나 늘어 117조 원이 넘었습니다. 이들 상품에 대규모 환매 사태가 발생한다면 금융시장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100% 원금손실 문제 등 고객들의 불안감과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만큼 철저한 관리 감독도 시급한 상황입니다. 국내외 주요 경제 예측기관에서는 잇따라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전망치를 낮추고 있습니다. 2017년 이후 24개월째 경기하강 국면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일본식 장기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경제 여건 변화에 따른 위기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 산업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유연성도 필요한 때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