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방송’ 못 듣는 청각장애인…재난 대처에 ‘무방비’

입력 2019.10.07 (07:40) 수정 2019.10.07 (08: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열차나 비행기 등을 이용할 때 돌발 상황이 생기면 안내방송이 나오는데 이 방송을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은 무슨 영문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긴급한 재난 상황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청각장애인들은 대처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지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행기 좌석 화면에 기내 방송을 하고 있다는 자막이 뜹니다.

하지만 방송의 내용은 자막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공항에서도 비슷합니다.

청각장애인 오영준 씨는 아무런 영문도 모른 채 탑승 시간을 6시간 넘겨 기다린 적도 있습니다.

출발 지연 안내가 음성 방송 위주로만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오영준/청각장애인/음성 대역 : "출발 시간이나 착륙 시간에 대해서 자세히 문자나 이런 걸로 내용을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거의 모르고 눈치껏 하기 때문에 답답한데요."]

열차나 지하철 안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돌발 상황이 생겨도 안내 방송만 나올 뿐 자막으로 실시간 상황을 알리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다른 승객들이 한꺼번에 대피하는 긴급 상황에도 청각장애인들은 두려움 속에 우왕좌왕할 수밖에 없습니다.

[윤정기/청각장애인/음성 대역 : "가끔 무슨 사고가 생겨서 지하철이 연착되거나 다른 사람들이 내려서 가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럴 때 청각 장애인들은 안내를 듣지 못하니까 어떻게 대처할 방법이 없습니다."]

법엔 교통 시설 등에서 수어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지만, 인력 부족 탓에 안내 데스크 등에서만 제공됩니다.

돌발 상황에는 무용지물인 셈입니다.

36만 청각장애인을 위해 모든 안내 방송을 동시에 자막으로도 서비스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청력이 일부 남아 있는 장애인에게 특수 보조기기를 제공해 안내 방송을 들을 수 있게 하는 호주와 노르웨이 등의 대중교통 시설도 대안으로 꼽힙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안내 방송’ 못 듣는 청각장애인…재난 대처에 ‘무방비’
    • 입력 2019-10-07 07:46:15
    • 수정2019-10-07 08:56:05
    뉴스광장
[앵커] 열차나 비행기 등을 이용할 때 돌발 상황이 생기면 안내방송이 나오는데 이 방송을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은 무슨 영문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긴급한 재난 상황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청각장애인들은 대처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지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행기 좌석 화면에 기내 방송을 하고 있다는 자막이 뜹니다. 하지만 방송의 내용은 자막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공항에서도 비슷합니다. 청각장애인 오영준 씨는 아무런 영문도 모른 채 탑승 시간을 6시간 넘겨 기다린 적도 있습니다. 출발 지연 안내가 음성 방송 위주로만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오영준/청각장애인/음성 대역 : "출발 시간이나 착륙 시간에 대해서 자세히 문자나 이런 걸로 내용을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거의 모르고 눈치껏 하기 때문에 답답한데요."] 열차나 지하철 안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돌발 상황이 생겨도 안내 방송만 나올 뿐 자막으로 실시간 상황을 알리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다른 승객들이 한꺼번에 대피하는 긴급 상황에도 청각장애인들은 두려움 속에 우왕좌왕할 수밖에 없습니다. [윤정기/청각장애인/음성 대역 : "가끔 무슨 사고가 생겨서 지하철이 연착되거나 다른 사람들이 내려서 가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럴 때 청각 장애인들은 안내를 듣지 못하니까 어떻게 대처할 방법이 없습니다."] 법엔 교통 시설 등에서 수어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지만, 인력 부족 탓에 안내 데스크 등에서만 제공됩니다. 돌발 상황에는 무용지물인 셈입니다. 36만 청각장애인을 위해 모든 안내 방송을 동시에 자막으로도 서비스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청력이 일부 남아 있는 장애인에게 특수 보조기기를 제공해 안내 방송을 들을 수 있게 하는 호주와 노르웨이 등의 대중교통 시설도 대안으로 꼽힙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