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가스 생산 규제 탓…음식물쓰레기 처리도 곤란”

입력 2019.10.07 (09:08) 수정 2019.10.07 (09: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감염 경로 가운데 하나로 '잔반 급여'가 지목된 가운데, 바이오가스 생산 규제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와 가축 분뇨처리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현권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농촌진흥청에서 받은 국감 자료를 보면, 바이오가스 부산물을 액체 비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산 원료 가운데 음식물류폐기물을 30%까지만 사용해야 합니다.

김 의원은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규제가 시설 비용 부담을 늘리고 에너지 효율과 경제성을 악화해 바이오가스 설치를 막고 있다"며 "이 때문에 가축분뇨 재활용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농촌진흥청은 "바이오가스 시설은 가축 분뇨의 원활한 처리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30%까지 허용한 것"이라며 "음식물류폐기물의 사용량을 확대하면 가축 분뇨 처리량이 감소해 정책 목적과 어긋난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하루 평균 1만 5,680t의 음식물 쓰레기가 나오는데, 이 가운데 46%가 사료로 재활용되고, 31%는 비료로 쓰입니다. 에너지 생산에 쓰이는 비율은 10%에 그칩니다.

김 의원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이전 돼지 사료로 쓰이는 음식물 쓰레기는 하루에 2천t 정도"라며 "돼지에게 잔반 급여가 금지된 만큼, 이 물량을 소화하려면 현 '30% 이내 사용' 규제 아래에서는 통합바이오가스생산시설이 20개는 생겨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퇴비로 재생산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2022년까지 37%로 늘린다고 하지만, 그 양은 하루 천t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환경부는 그 대안으로 국비 수천억 원을 들여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건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규제에 막혀 여의치 않은 실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김 의원은 이어 "가축분뇨 재활용을 늘리고자 바이오가스 생산 시 음식물 쓰레기 사용량을 30% 이하로 설정한 고시 취지는 이해하지만, 이 규정이 생산 시설 건립 자체를 가로막고 있다"며 "가축분뇨 처리에도 보탬이 되지 않고, 너무나 많은 사회·경제적 비용을 유발하는 만큼, 현실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바이오가스 생산 규제 탓…음식물쓰레기 처리도 곤란”
    • 입력 2019-10-07 09:08:37
    • 수정2019-10-07 09:09:00
    경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감염 경로 가운데 하나로 '잔반 급여'가 지목된 가운데, 바이오가스 생산 규제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와 가축 분뇨처리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현권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농촌진흥청에서 받은 국감 자료를 보면, 바이오가스 부산물을 액체 비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산 원료 가운데 음식물류폐기물을 30%까지만 사용해야 합니다.

김 의원은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규제가 시설 비용 부담을 늘리고 에너지 효율과 경제성을 악화해 바이오가스 설치를 막고 있다"며 "이 때문에 가축분뇨 재활용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농촌진흥청은 "바이오가스 시설은 가축 분뇨의 원활한 처리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30%까지 허용한 것"이라며 "음식물류폐기물의 사용량을 확대하면 가축 분뇨 처리량이 감소해 정책 목적과 어긋난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하루 평균 1만 5,680t의 음식물 쓰레기가 나오는데, 이 가운데 46%가 사료로 재활용되고, 31%는 비료로 쓰입니다. 에너지 생산에 쓰이는 비율은 10%에 그칩니다.

김 의원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이전 돼지 사료로 쓰이는 음식물 쓰레기는 하루에 2천t 정도"라며 "돼지에게 잔반 급여가 금지된 만큼, 이 물량을 소화하려면 현 '30% 이내 사용' 규제 아래에서는 통합바이오가스생산시설이 20개는 생겨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퇴비로 재생산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2022년까지 37%로 늘린다고 하지만, 그 양은 하루 천t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환경부는 그 대안으로 국비 수천억 원을 들여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건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규제에 막혀 여의치 않은 실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김 의원은 이어 "가축분뇨 재활용을 늘리고자 바이오가스 생산 시 음식물 쓰레기 사용량을 30% 이하로 설정한 고시 취지는 이해하지만, 이 규정이 생산 시설 건립 자체를 가로막고 있다"며 "가축분뇨 처리에도 보탬이 되지 않고, 너무나 많은 사회·경제적 비용을 유발하는 만큼, 현실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