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도 계좌 운용·원아 수 조작…사립유치원 6곳 회계 비리 적발
입력 2019.10.07 (09:28)
수정 2019.10.07 (09: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사립유치원 6곳을 특정해 감사한 결과, 6곳 모두에서 회계 비리가 적발됐습니다.
감사 대상 유치원들은 서울시교육청 산하 사립유치원 비리신고센터에 접수된 민원을 토대로 정해졌으며 감사 결과 보고서는 지난달 30일 홈페이지에 공개됐습니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양천구 A유치원은 2016년부터 3년 넘게 유치원 명의 4개와 설립자 명의 2개의 계좌를 운용하며 유치원비를 나눠 관리해왔습니다.
교육부와 시교육청은 유치원의 회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유치원 명의 계좌 하나만을 개설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어긴 겁니다.
또 유치원 설립자가 2017년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원비로 자신의 개인연금 보험료를 내는 등 사적 용도로 유치원비를 사용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강서구 B유치원은 정부 보조금을 더 많이 받기 위해 2017년 방과 후 과정 신청 원아 수를 실제인 35명보다 5명 많은 40명으로 늘려 기재하기도 했습니다.
방과 후 과정은 유아 20명당 담임교사 1명에게 교원 보조금이 제공된다는 점을 악용해 당시 담임교사 2명 모두에게 보조금이 지급되도록 출석부를 위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감사 대상 유치원들은 서울시교육청 산하 사립유치원 비리신고센터에 접수된 민원을 토대로 정해졌으며 감사 결과 보고서는 지난달 30일 홈페이지에 공개됐습니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양천구 A유치원은 2016년부터 3년 넘게 유치원 명의 4개와 설립자 명의 2개의 계좌를 운용하며 유치원비를 나눠 관리해왔습니다.
교육부와 시교육청은 유치원의 회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유치원 명의 계좌 하나만을 개설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어긴 겁니다.
또 유치원 설립자가 2017년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원비로 자신의 개인연금 보험료를 내는 등 사적 용도로 유치원비를 사용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강서구 B유치원은 정부 보조금을 더 많이 받기 위해 2017년 방과 후 과정 신청 원아 수를 실제인 35명보다 5명 많은 40명으로 늘려 기재하기도 했습니다.
방과 후 과정은 유아 20명당 담임교사 1명에게 교원 보조금이 제공된다는 점을 악용해 당시 담임교사 2명 모두에게 보조금이 지급되도록 출석부를 위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별도 계좌 운용·원아 수 조작…사립유치원 6곳 회계 비리 적발
-
- 입력 2019-10-07 09:28:24
- 수정2019-10-07 09:32:17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사립유치원 6곳을 특정해 감사한 결과, 6곳 모두에서 회계 비리가 적발됐습니다.
감사 대상 유치원들은 서울시교육청 산하 사립유치원 비리신고센터에 접수된 민원을 토대로 정해졌으며 감사 결과 보고서는 지난달 30일 홈페이지에 공개됐습니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양천구 A유치원은 2016년부터 3년 넘게 유치원 명의 4개와 설립자 명의 2개의 계좌를 운용하며 유치원비를 나눠 관리해왔습니다.
교육부와 시교육청은 유치원의 회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유치원 명의 계좌 하나만을 개설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어긴 겁니다.
또 유치원 설립자가 2017년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원비로 자신의 개인연금 보험료를 내는 등 사적 용도로 유치원비를 사용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강서구 B유치원은 정부 보조금을 더 많이 받기 위해 2017년 방과 후 과정 신청 원아 수를 실제인 35명보다 5명 많은 40명으로 늘려 기재하기도 했습니다.
방과 후 과정은 유아 20명당 담임교사 1명에게 교원 보조금이 제공된다는 점을 악용해 당시 담임교사 2명 모두에게 보조금이 지급되도록 출석부를 위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감사 대상 유치원들은 서울시교육청 산하 사립유치원 비리신고센터에 접수된 민원을 토대로 정해졌으며 감사 결과 보고서는 지난달 30일 홈페이지에 공개됐습니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양천구 A유치원은 2016년부터 3년 넘게 유치원 명의 4개와 설립자 명의 2개의 계좌를 운용하며 유치원비를 나눠 관리해왔습니다.
교육부와 시교육청은 유치원의 회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유치원 명의 계좌 하나만을 개설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어긴 겁니다.
또 유치원 설립자가 2017년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원비로 자신의 개인연금 보험료를 내는 등 사적 용도로 유치원비를 사용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강서구 B유치원은 정부 보조금을 더 많이 받기 위해 2017년 방과 후 과정 신청 원아 수를 실제인 35명보다 5명 많은 40명으로 늘려 기재하기도 했습니다.
방과 후 과정은 유아 20명당 담임교사 1명에게 교원 보조금이 제공된다는 점을 악용해 당시 담임교사 2명 모두에게 보조금이 지급되도록 출석부를 위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
천효정 기자 cheon@kbs.co.kr
천효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