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형 일자리 출범...전기차 거점 육성

입력 2019.10.24 (22:37) 수정 2019.10.24 (22: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군산형 일자리 상생 협약식에
참석했습니다.
지엠 군산공장이 문을 닫은 뒤,
1년 6개월 동안 논의 끝에 나온
상생형 지역 일자리에
큰 기대감을 나타냈는데요.
군산과 새만금이
전기차 생산의 거점 지역으로
우뚝 서도록
정부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한주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산업계, 노동계와 머리를 맞댄
군산형 일자리는
대규모 전기차 생산 단지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광주, 밀양, 대구, 구미, 횡성에 이어
여섯 째로 나온
상생형 지역 일자리입니다.

옛 한국지엠 군산공장을 인수한
명신 컨소시엄과
5개 자동차 부품업체가 참여한
새만금 컨소시엄이
2천 22년까지 4천여억 원을 들여
전기차 생산단지를 짓고
한 해 17만 7천여 대를 생산합니다.

직접 고용 인원만
천 9백여 명.

문재인 대통령은
군산을 전기차 육성의 최적지로
꼽았습니다.

문재인/대통령[녹취]
"자동차융합기술원과 새만금 자율주행시험장과 함께 자율자동차 테스트베드가 건립되고 있으며, 군산대학교에서는 전기차 전문인력이 자라고 있습니다."

해외로 수출 시장을 넓히기 위한
기반 시설도 약속했습니다.

문재인/대통령[녹취]
"새만금 신항만과 국제공항이 완공되면 군산항과 함께 전기차 최대 시장인 중국과 유럽으로 전기차를 수출할 최고의 물류 인프라도 구축될 것입니다."

문 대통령은
노동자와 사측,
원청과 하청 모두
수평적 협력 관계를
강조했습니다.


전라북도는
군산의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전기차 부품업체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전기차 생산단지가 들어서는
군산과 새만금 일대를
친환경 자동차 규제 자유 특구로 지정하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한주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군산형 일자리 출범...전기차 거점 육성
    • 입력 2019-10-24 22:37:40
    • 수정2019-10-24 22:38:25
    뉴스9(전주)
[앵커멘트]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군산형 일자리 상생 협약식에 참석했습니다. 지엠 군산공장이 문을 닫은 뒤, 1년 6개월 동안 논의 끝에 나온 상생형 지역 일자리에 큰 기대감을 나타냈는데요. 군산과 새만금이 전기차 생산의 거점 지역으로 우뚝 서도록 정부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한주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산업계, 노동계와 머리를 맞댄 군산형 일자리는 대규모 전기차 생산 단지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광주, 밀양, 대구, 구미, 횡성에 이어 여섯 째로 나온 상생형 지역 일자리입니다. 옛 한국지엠 군산공장을 인수한 명신 컨소시엄과 5개 자동차 부품업체가 참여한 새만금 컨소시엄이 2천 22년까지 4천여억 원을 들여 전기차 생산단지를 짓고 한 해 17만 7천여 대를 생산합니다. 직접 고용 인원만 천 9백여 명. 문재인 대통령은 군산을 전기차 육성의 최적지로 꼽았습니다. 문재인/대통령[녹취] "자동차융합기술원과 새만금 자율주행시험장과 함께 자율자동차 테스트베드가 건립되고 있으며, 군산대학교에서는 전기차 전문인력이 자라고 있습니다." 해외로 수출 시장을 넓히기 위한 기반 시설도 약속했습니다. 문재인/대통령[녹취] "새만금 신항만과 국제공항이 완공되면 군산항과 함께 전기차 최대 시장인 중국과 유럽으로 전기차를 수출할 최고의 물류 인프라도 구축될 것입니다." 문 대통령은 노동자와 사측, 원청과 하청 모두 수평적 협력 관계를 강조했습니다. 전라북도는 군산의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전기차 부품업체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전기차 생산단지가 들어서는 군산과 새만금 일대를 친환경 자동차 규제 자유 특구로 지정하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한주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