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출 쏠림현상”…P2P금융상품 소비자경보 발령

입력 2019.11.06 (13:17) 수정 2019.11.06 (13: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간 거래(P2P) 금융 시장이 부동산 대출을 중심으로 빠르게 커지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은 관련 상품 투자시 주의를 당부하는 '소비자 경보'를 오늘(6일) 발령했습니다.

앞으로 부동산 경기 하락이 본격화할 경우 자산가치 하락, 미분양 사태 등으로 대규모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올해 6월 말 기준 P2P 업체(105개 사)들의 대출 잔액은 1조 7천801억 원으로 1년 전(1조 4천622억 원)보다 21.7%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금감원의 자료제출 요청에 응한 P2P 업체 37곳의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은 올해 6월 말 기준 8천797억 원으로 작년 동기(5천444억 원)보다 61.6% 늘었습니다.

부동산 관련 대출의 연체율(30일 이상)은 5.5%로 1년 전보다 3.2%포인트 높아졌습니다. 특히 부동산 담보 대출(71.3%)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70.5%)의 경우 120일 이상 장기 연체(올해 6월 말 기준) 비중이 각각 70%를 웃돌아 연체 발생 시 최종 회수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수 있다고 금감원은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부동산 경기가 나빠지면 그동안 고수익을 안겨준 투자에서 대규모 손실이 생길 수 있는 만큼 금감원은 P2P 대출 상품의 신중한 투자를 당부했습니다.

금감원은 먼저 부동산 대출상품에 투자할 때 공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상품설명서에 기재된 담보물건, 채권순위(선·후순위), 담보권 행사방식 등 투자조건을 상세히 검토해야 합니다. 업체가 '우선 수익권'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금융권 대출이나 시공사 공사대금 등보다 후순위 채권이며, 담보권으로서 효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유의해야 합니다.

또 P2P 대출 상품은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예금과는 다릅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P2P 대출은 차입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손실이 투자자에게 귀속되는 고위험 상품"이라며 "당초 약정된 투자 기간 내 투자금 회수를 보장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P2P 대출 상품을 소액·분산 투자해 만기 미상환 위험에 대비하는 자세도 필요합니다.

투자할 P2P 업체를 고를 때부터 세심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금융위원회 등록업체인지를 사이트(http://fine.fss.or.kr)에서 확인한 후 P2P 업체의 연체율 등 재무 정보와 인터넷 투자 관련 카페 등의 업체 평판 정보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금감원은 앞으로 P2P 업체의 부동산 대출에 대한 쏠림 현상을 완화하고, 투자자 보호가 강화될 수 있도록 시행령 등 하위법령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P2P 금융을 법제화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안은 지난달 3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정부 공포를 거쳐 내년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동산 대출 쏠림현상”…P2P금융상품 소비자경보 발령
    • 입력 2019-11-06 13:17:29
    • 수정2019-11-06 13:26:50
    경제
개인 간 거래(P2P) 금융 시장이 부동산 대출을 중심으로 빠르게 커지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은 관련 상품 투자시 주의를 당부하는 '소비자 경보'를 오늘(6일) 발령했습니다.

앞으로 부동산 경기 하락이 본격화할 경우 자산가치 하락, 미분양 사태 등으로 대규모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올해 6월 말 기준 P2P 업체(105개 사)들의 대출 잔액은 1조 7천801억 원으로 1년 전(1조 4천622억 원)보다 21.7%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금감원의 자료제출 요청에 응한 P2P 업체 37곳의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은 올해 6월 말 기준 8천797억 원으로 작년 동기(5천444억 원)보다 61.6% 늘었습니다.

부동산 관련 대출의 연체율(30일 이상)은 5.5%로 1년 전보다 3.2%포인트 높아졌습니다. 특히 부동산 담보 대출(71.3%)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70.5%)의 경우 120일 이상 장기 연체(올해 6월 말 기준) 비중이 각각 70%를 웃돌아 연체 발생 시 최종 회수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수 있다고 금감원은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부동산 경기가 나빠지면 그동안 고수익을 안겨준 투자에서 대규모 손실이 생길 수 있는 만큼 금감원은 P2P 대출 상품의 신중한 투자를 당부했습니다.

금감원은 먼저 부동산 대출상품에 투자할 때 공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상품설명서에 기재된 담보물건, 채권순위(선·후순위), 담보권 행사방식 등 투자조건을 상세히 검토해야 합니다. 업체가 '우선 수익권'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금융권 대출이나 시공사 공사대금 등보다 후순위 채권이며, 담보권으로서 효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유의해야 합니다.

또 P2P 대출 상품은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예금과는 다릅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P2P 대출은 차입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손실이 투자자에게 귀속되는 고위험 상품"이라며 "당초 약정된 투자 기간 내 투자금 회수를 보장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P2P 대출 상품을 소액·분산 투자해 만기 미상환 위험에 대비하는 자세도 필요합니다.

투자할 P2P 업체를 고를 때부터 세심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금융위원회 등록업체인지를 사이트(http://fine.fss.or.kr)에서 확인한 후 P2P 업체의 연체율 등 재무 정보와 인터넷 투자 관련 카페 등의 업체 평판 정보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금감원은 앞으로 P2P 업체의 부동산 대출에 대한 쏠림 현상을 완화하고, 투자자 보호가 강화될 수 있도록 시행령 등 하위법령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P2P 금융을 법제화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안은 지난달 3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정부 공포를 거쳐 내년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