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확대 부적절… 지방 학생 불이익"
입력 2019.11.06 (21:48)
수정 2019.11.07 (0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정부의 대학 입학
'정시' 확대 방침에 대해,
김병우 교육감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교육 혁신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고,
지방 학생들은
불이익을 받게 된다고도 우려했습니다.
권기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김병우 교육감은
조국 사태로 불거진 대입 공정성 논란을
정시 확대로 해결하려는 것은
대단히 충격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정시 확대는 고교 학점제 등
현 정부의 교육혁신 방향과 전혀 맞지 않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김병우/ 충청북도교육감[인터뷰]
"(정시 비율을) 지금까지 30%로 줄여오던 것을 50%로 만약에 늘린다고 그러면 2025년도에 당장 전면 도입해야 할 '고교 학점제'조차도 흔드는 겁니다."
또한, 주요 대학에 대한
교육부 조사 결과 서울 지역에서
학생종합부보다 수능 진학이 더 많았다며
정시를 확대하면 지방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김병우/ 충청북도교육감[인터뷰]
"충북 도내에 남아 있는 아이들은 대학의 문이 좁아지고, 특목고, 자사고 등 고교 등급제에서 우대받는 아이들의 (대학 입시의) 문은 더 넓어지는 그런 결과가 되겠죠."
그러면서
선거 때마다 일부 지역의 학부모들이
제기한 수능의 불공정론이
조국 논란에 편승해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한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제기했습니다.
김 교육감은
그동안 교육부 중심의 대입 전형방식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며,
앞으로는 대학과 교육감 협의회 등
교육 주체와 공론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권기현입니다.
정부의 대학 입학
'정시' 확대 방침에 대해,
김병우 교육감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교육 혁신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고,
지방 학생들은
불이익을 받게 된다고도 우려했습니다.
권기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김병우 교육감은
조국 사태로 불거진 대입 공정성 논란을
정시 확대로 해결하려는 것은
대단히 충격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정시 확대는 고교 학점제 등
현 정부의 교육혁신 방향과 전혀 맞지 않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김병우/ 충청북도교육감[인터뷰]
"(정시 비율을) 지금까지 30%로 줄여오던 것을 50%로 만약에 늘린다고 그러면 2025년도에 당장 전면 도입해야 할 '고교 학점제'조차도 흔드는 겁니다."
또한, 주요 대학에 대한
교육부 조사 결과 서울 지역에서
학생종합부보다 수능 진학이 더 많았다며
정시를 확대하면 지방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김병우/ 충청북도교육감[인터뷰]
"충북 도내에 남아 있는 아이들은 대학의 문이 좁아지고, 특목고, 자사고 등 고교 등급제에서 우대받는 아이들의 (대학 입시의) 문은 더 넓어지는 그런 결과가 되겠죠."
그러면서
선거 때마다 일부 지역의 학부모들이
제기한 수능의 불공정론이
조국 논란에 편승해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한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제기했습니다.
김 교육감은
그동안 교육부 중심의 대입 전형방식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며,
앞으로는 대학과 교육감 협의회 등
교육 주체와 공론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권기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시 확대 부적절… 지방 학생 불이익"
-
- 입력 2019-11-06 21:48:19
- 수정2019-11-07 01:00:41

[앵커멘트]
정부의 대학 입학
'정시' 확대 방침에 대해,
김병우 교육감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교육 혁신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고,
지방 학생들은
불이익을 받게 된다고도 우려했습니다.
권기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김병우 교육감은
조국 사태로 불거진 대입 공정성 논란을
정시 확대로 해결하려는 것은
대단히 충격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정시 확대는 고교 학점제 등
현 정부의 교육혁신 방향과 전혀 맞지 않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김병우/ 충청북도교육감[인터뷰]
"(정시 비율을) 지금까지 30%로 줄여오던 것을 50%로 만약에 늘린다고 그러면 2025년도에 당장 전면 도입해야 할 '고교 학점제'조차도 흔드는 겁니다."
또한, 주요 대학에 대한
교육부 조사 결과 서울 지역에서
학생종합부보다 수능 진학이 더 많았다며
정시를 확대하면 지방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김병우/ 충청북도교육감[인터뷰]
"충북 도내에 남아 있는 아이들은 대학의 문이 좁아지고, 특목고, 자사고 등 고교 등급제에서 우대받는 아이들의 (대학 입시의) 문은 더 넓어지는 그런 결과가 되겠죠."
그러면서
선거 때마다 일부 지역의 학부모들이
제기한 수능의 불공정론이
조국 논란에 편승해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한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제기했습니다.
김 교육감은
그동안 교육부 중심의 대입 전형방식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며,
앞으로는 대학과 교육감 협의회 등
교육 주체와 공론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권기현입니다.
-
-
권기현 기자 js-kwon@kbs.co.kr
권기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