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초미세먼지 조기 사망, 2030년 서울만 연 2천여 명”
입력 2019.11.20 (17:12) 수정 2019.11.20 (17:28) 뉴스 5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초미세먼지의 영향으로 조기 사망하는 고령자 수가 2030년 서울에서만 연간 2천 명이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오늘 서울연구원의 '고령화와 초미세먼지 건강영향' 보고서를 보면 세계보건기구 권고 기준을 초과하는 초미세먼지로 일찍 숨지는 만 65세 이상의 수가 2030년 연간 2133명으로 2015년 1162명에서 83.6%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는 서울시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5년 수준을 유지한다는 가정으로 추정된 결과로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가 10㎍/㎥ 증가할 때 고령자가 사망할 위험이 13.9% 늘었습니다.
오늘 서울연구원의 '고령화와 초미세먼지 건강영향' 보고서를 보면 세계보건기구 권고 기준을 초과하는 초미세먼지로 일찍 숨지는 만 65세 이상의 수가 2030년 연간 2133명으로 2015년 1162명에서 83.6%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는 서울시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5년 수준을 유지한다는 가정으로 추정된 결과로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가 10㎍/㎥ 증가할 때 고령자가 사망할 위험이 13.9% 늘었습니다.
- “초미세먼지 조기 사망, 2030년 서울만 연 2천여 명”
-
- 입력 2019-11-20 17:14:24
- 수정2019-11-20 17:28:07

초미세먼지의 영향으로 조기 사망하는 고령자 수가 2030년 서울에서만 연간 2천 명이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오늘 서울연구원의 '고령화와 초미세먼지 건강영향' 보고서를 보면 세계보건기구 권고 기준을 초과하는 초미세먼지로 일찍 숨지는 만 65세 이상의 수가 2030년 연간 2133명으로 2015년 1162명에서 83.6%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는 서울시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5년 수준을 유지한다는 가정으로 추정된 결과로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가 10㎍/㎥ 증가할 때 고령자가 사망할 위험이 13.9% 늘었습니다.
오늘 서울연구원의 '고령화와 초미세먼지 건강영향' 보고서를 보면 세계보건기구 권고 기준을 초과하는 초미세먼지로 일찍 숨지는 만 65세 이상의 수가 2030년 연간 2133명으로 2015년 1162명에서 83.6%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는 서울시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5년 수준을 유지한다는 가정으로 추정된 결과로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가 10㎍/㎥ 증가할 때 고령자가 사망할 위험이 13.9% 늘었습니다.
뉴스 5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KB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