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日 교도 “일본군이 위안부 관여 공문서 또 발견”
입력 2019.12.07 (21:15) 수정 2019.12.07 (21:21) 뉴스 9
일본군이 위안부 제도에 관여한 것을 뒷받침하는 공문서가 추가로 확인됐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보도 내용에 따르면 중국 주칭다오의 일본 총영사가 일본 외무성과 연락하기 위해 1938년 작성한 이 기밀문서에는 "해군은 병사 150명, 육군은 70명당 1명 정도의 '작부', 즉 '위안부'가 필요하다"는 문장이 확인됐습니다.
일본 정부는 1991년부터각 부처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관련 공문서를 조사해 왔으며, 위안부와 관련 수집된 문서는 지난해 기준 340건에 이릅니다.
보도 내용에 따르면 중국 주칭다오의 일본 총영사가 일본 외무성과 연락하기 위해 1938년 작성한 이 기밀문서에는 "해군은 병사 150명, 육군은 70명당 1명 정도의 '작부', 즉 '위안부'가 필요하다"는 문장이 확인됐습니다.
일본 정부는 1991년부터각 부처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관련 공문서를 조사해 왔으며, 위안부와 관련 수집된 문서는 지난해 기준 340건에 이릅니다.
- 日 교도 “일본군이 위안부 관여 공문서 또 발견”
-
- 입력 2019-12-07 21:16:12
- 수정2019-12-07 21:21:23

일본군이 위안부 제도에 관여한 것을 뒷받침하는 공문서가 추가로 확인됐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보도 내용에 따르면 중국 주칭다오의 일본 총영사가 일본 외무성과 연락하기 위해 1938년 작성한 이 기밀문서에는 "해군은 병사 150명, 육군은 70명당 1명 정도의 '작부', 즉 '위안부'가 필요하다"는 문장이 확인됐습니다.
일본 정부는 1991년부터각 부처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관련 공문서를 조사해 왔으며, 위안부와 관련 수집된 문서는 지난해 기준 340건에 이릅니다.
보도 내용에 따르면 중국 주칭다오의 일본 총영사가 일본 외무성과 연락하기 위해 1938년 작성한 이 기밀문서에는 "해군은 병사 150명, 육군은 70명당 1명 정도의 '작부', 즉 '위안부'가 필요하다"는 문장이 확인됐습니다.
일본 정부는 1991년부터각 부처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관련 공문서를 조사해 왔으며, 위안부와 관련 수집된 문서는 지난해 기준 340건에 이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