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한 부채…부동산 구입에 빚도 ‘부익부 빈익빈’

입력 2019.12.17 (1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구당 부채가 소득이 느는 것보다 더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이 높을수록 부채 증가율도 더 높아 고소득층의 부채가 전체 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늘었고, 연령별로는 30세 미만의 부채 증가율이 두드러지게 높았습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오늘(17일) 발표한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보면 지난해 가구당 평균 소득은 5천828만 원으로 1년 전보다 2.1% 증가했습니다.

이와 비교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7천910만 원으로 1년 전보다 3.2% 늘어 소득보다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빚을 포함한 가구당 평균 자산은 4억3천191만 원으로 1년 전보다 2.7% 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통계청은 "올해 초 주택 가격이 (지난해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져 많은 사람들이 대출을 받아 부동산 구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부채를 소득별로 보면 고소득층인 5분위 가구는 1억7천712만 원으로 1년 전보다 3.3%, 4분위는 9천838만 원으로 8%가 증가했습니다.

반면 저소득층인 1분위 가구는 1천610만 원으로 0.2%, 2분위는 3천735만 원으로 1년 전보다 2.9%가 줄어 소득이 많을수록 부채 증가율도 높았습니다.

그 결과 소득 5분위가 전체 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년 전보다 0.1%p 올라 44.8%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고, 4분위도 24.9%를 차지해 1년 전보다 비중이 1.1%p 늘었습니다.

반면 1분위는 비중이 0.1%p 줄어든 4.2%에 불과했고, 2분위 역시 0.6%p 감소한 9.4%로 집계됐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부채 보유액은 40대가 1억689만 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1년 전보다 5.7%가 늘어난 것입니다.

30세 미만은 부채가 3천197만 원으로 가장 적었지만, 1년 전보다 606만 원, 23.4% 늘어 증가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통계청은 30세 미만인 젊은 층도 월세에서 전세나 자가 구입을 위해 대출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며 부채 금액 자체가 적다 보니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가구의 소득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은 3천781만 원으로 1년 전보다 141만 원이 늘었지만 사업소득은 1천177만 원으로 66만 원이 감소해 자영업 부진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종사상 지위별로 살펴봐도 상용근로자는 소득이 7천719만 원으로 1년 전보다 3.8%, 임시·일용근로자는 3천565만 원으로 1.8%가 증가한 반면 자영업자는 6천375만 원으로 0.2%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소득분배지표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가 0.345로 1년 전보다 0.009포인트 줄었고, 소득5분위 배율은 6.96배에서 6.54배로 격차가 줄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한 부채…부동산 구입에 빚도 ‘부익부 빈익빈’
    • 입력 2019-12-17 12:00:59
    경제
가구당 부채가 소득이 느는 것보다 더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이 높을수록 부채 증가율도 더 높아 고소득층의 부채가 전체 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늘었고, 연령별로는 30세 미만의 부채 증가율이 두드러지게 높았습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오늘(17일) 발표한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보면 지난해 가구당 평균 소득은 5천828만 원으로 1년 전보다 2.1% 증가했습니다.

이와 비교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7천910만 원으로 1년 전보다 3.2% 늘어 소득보다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빚을 포함한 가구당 평균 자산은 4억3천191만 원으로 1년 전보다 2.7% 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통계청은 "올해 초 주택 가격이 (지난해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져 많은 사람들이 대출을 받아 부동산 구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부채를 소득별로 보면 고소득층인 5분위 가구는 1억7천712만 원으로 1년 전보다 3.3%, 4분위는 9천838만 원으로 8%가 증가했습니다.

반면 저소득층인 1분위 가구는 1천610만 원으로 0.2%, 2분위는 3천735만 원으로 1년 전보다 2.9%가 줄어 소득이 많을수록 부채 증가율도 높았습니다.

그 결과 소득 5분위가 전체 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년 전보다 0.1%p 올라 44.8%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고, 4분위도 24.9%를 차지해 1년 전보다 비중이 1.1%p 늘었습니다.

반면 1분위는 비중이 0.1%p 줄어든 4.2%에 불과했고, 2분위 역시 0.6%p 감소한 9.4%로 집계됐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부채 보유액은 40대가 1억689만 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1년 전보다 5.7%가 늘어난 것입니다.

30세 미만은 부채가 3천197만 원으로 가장 적었지만, 1년 전보다 606만 원, 23.4% 늘어 증가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통계청은 30세 미만인 젊은 층도 월세에서 전세나 자가 구입을 위해 대출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며 부채 금액 자체가 적다 보니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가구의 소득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은 3천781만 원으로 1년 전보다 141만 원이 늘었지만 사업소득은 1천177만 원으로 66만 원이 감소해 자영업 부진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종사상 지위별로 살펴봐도 상용근로자는 소득이 7천719만 원으로 1년 전보다 3.8%, 임시·일용근로자는 3천565만 원으로 1.8%가 증가한 반면 자영업자는 6천375만 원으로 0.2%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소득분배지표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가 0.345로 1년 전보다 0.009포인트 줄었고, 소득5분위 배율은 6.96배에서 6.54배로 격차가 줄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