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용객 300만 명 달성… 노선 다변화 절실
입력 2019.12.24 (21:44) 수정 2019.12.24 (22:48) 뉴스9(충주)
[앵커멘트]
올해, 청주국제공항 이용객이
3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개항 이후 22년 만에 처음인데요.
다양한 노선 확보 등
앞으로의 과제도 많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997년 개항한 청주국제공항.
당시 한 해 이용객은
37만 명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22년이 지난 지금,
[이펙트1] <기념식 이펙트>
청주국제공항이 연간 이용객
300만 명 시대를 열었습니다.
개항 당시 3천 3백 편이었던
국내외 항공편도
만 8천여 편으로 급증했습니다.
공항 민영화와 중국의 금한령,
일본의 무역규제까지
국내외 악재를 극복하고 일군
성과였습니다.
손창완/한국공항공사 사장[인터뷰]
"그동안 청주공항이 겪어왔던 민영화의 문제, 일본 수출 규제에 따른 일본 리스크가 겹치는 과정에서 300만 명 돌파의 개념은 다른 어떤 의미보다 크다 하겠습니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공항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인근 KTX 오송역을 활용한
버스와 철도 등
교통연계 시스템 확충이 시급합니다.
인바운드 공항으로서
외국인 방문객 수요를 늘리기 위해
동남아와 중국 등에 집중된
국제 항공 노선을
세계 각국으로 다변화해야 합니다.
어명소/ 국토교통부 항공정책관[인터뷰]
"먼저 대만, 베트남, 중국 위주로 운항 중인 노선을 다변화해서 국제선 노선을 더 늘릴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 저희 국토부에서도 적극 돕도록 하겠습니다."
청주공항은
내년 초, 모기지 항공사인
에어로케이의 출범을 앞둔 가운데
중부권 거점 공항으로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올해, 청주국제공항 이용객이
3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개항 이후 22년 만에 처음인데요.
다양한 노선 확보 등
앞으로의 과제도 많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997년 개항한 청주국제공항.
당시 한 해 이용객은
37만 명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22년이 지난 지금,
[이펙트1] <기념식 이펙트>
청주국제공항이 연간 이용객
300만 명 시대를 열었습니다.
개항 당시 3천 3백 편이었던
국내외 항공편도
만 8천여 편으로 급증했습니다.
공항 민영화와 중국의 금한령,
일본의 무역규제까지
국내외 악재를 극복하고 일군
성과였습니다.
손창완/한국공항공사 사장[인터뷰]
"그동안 청주공항이 겪어왔던 민영화의 문제, 일본 수출 규제에 따른 일본 리스크가 겹치는 과정에서 300만 명 돌파의 개념은 다른 어떤 의미보다 크다 하겠습니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공항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인근 KTX 오송역을 활용한
버스와 철도 등
교통연계 시스템 확충이 시급합니다.
인바운드 공항으로서
외국인 방문객 수요를 늘리기 위해
동남아와 중국 등에 집중된
국제 항공 노선을
세계 각국으로 다변화해야 합니다.
어명소/ 국토교통부 항공정책관[인터뷰]
"먼저 대만, 베트남, 중국 위주로 운항 중인 노선을 다변화해서 국제선 노선을 더 늘릴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 저희 국토부에서도 적극 돕도록 하겠습니다."
청주공항은
내년 초, 모기지 항공사인
에어로케이의 출범을 앞둔 가운데
중부권 거점 공항으로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 이용객 300만 명 달성… 노선 다변화 절실
-
- 입력 2019-12-24 21:44:56
- 수정2019-12-24 22:48:57

[앵커멘트]
올해, 청주국제공항 이용객이
3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개항 이후 22년 만에 처음인데요.
다양한 노선 확보 등
앞으로의 과제도 많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997년 개항한 청주국제공항.
당시 한 해 이용객은
37만 명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22년이 지난 지금,
[이펙트1] <기념식 이펙트>
청주국제공항이 연간 이용객
300만 명 시대를 열었습니다.
개항 당시 3천 3백 편이었던
국내외 항공편도
만 8천여 편으로 급증했습니다.
공항 민영화와 중국의 금한령,
일본의 무역규제까지
국내외 악재를 극복하고 일군
성과였습니다.
손창완/한국공항공사 사장[인터뷰]
"그동안 청주공항이 겪어왔던 민영화의 문제, 일본 수출 규제에 따른 일본 리스크가 겹치는 과정에서 300만 명 돌파의 개념은 다른 어떤 의미보다 크다 하겠습니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공항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인근 KTX 오송역을 활용한
버스와 철도 등
교통연계 시스템 확충이 시급합니다.
인바운드 공항으로서
외국인 방문객 수요를 늘리기 위해
동남아와 중국 등에 집중된
국제 항공 노선을
세계 각국으로 다변화해야 합니다.
어명소/ 국토교통부 항공정책관[인터뷰]
"먼저 대만, 베트남, 중국 위주로 운항 중인 노선을 다변화해서 국제선 노선을 더 늘릴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 저희 국토부에서도 적극 돕도록 하겠습니다."
청주공항은
내년 초, 모기지 항공사인
에어로케이의 출범을 앞둔 가운데
중부권 거점 공항으로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올해, 청주국제공항 이용객이
3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개항 이후 22년 만에 처음인데요.
다양한 노선 확보 등
앞으로의 과제도 많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997년 개항한 청주국제공항.
당시 한 해 이용객은
37만 명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22년이 지난 지금,
[이펙트1] <기념식 이펙트>
청주국제공항이 연간 이용객
300만 명 시대를 열었습니다.
개항 당시 3천 3백 편이었던
국내외 항공편도
만 8천여 편으로 급증했습니다.
공항 민영화와 중국의 금한령,
일본의 무역규제까지
국내외 악재를 극복하고 일군
성과였습니다.
손창완/한국공항공사 사장[인터뷰]
"그동안 청주공항이 겪어왔던 민영화의 문제, 일본 수출 규제에 따른 일본 리스크가 겹치는 과정에서 300만 명 돌파의 개념은 다른 어떤 의미보다 크다 하겠습니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공항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인근 KTX 오송역을 활용한
버스와 철도 등
교통연계 시스템 확충이 시급합니다.
인바운드 공항으로서
외국인 방문객 수요를 늘리기 위해
동남아와 중국 등에 집중된
국제 항공 노선을
세계 각국으로 다변화해야 합니다.
어명소/ 국토교통부 항공정책관[인터뷰]
"먼저 대만, 베트남, 중국 위주로 운항 중인 노선을 다변화해서 국제선 노선을 더 늘릴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 저희 국토부에서도 적극 돕도록 하겠습니다."
청주공항은
내년 초, 모기지 항공사인
에어로케이의 출범을 앞둔 가운데
중부권 거점 공항으로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 기자 정보
-
-
함영구 기자 newspower@kbs.co.kr
함영구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