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묘도 주민도 '불안'
입력 2019.12.26 (08:08)
수정 2019.12.26 (08: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앞서 리포트에서도 보셨듯이 광양제철소에서 사고가 날 때마다 여수 묘도 주민들은 불안에 떨어야 합니다.
제철소에서 불과 1킬로미터 거리기 때문인데요.
사고 위험 뿐만 아니라 소음과 분진 등 각종 환경오염에도 노출돼 있다며 여수 묘도 주민들이 정부에 실태조사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윤주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여수 묘도 일부 주민들이 서울 포스코센터 앞에서 이틀째 상경 집회에 나섰습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가동에 들어간 지난 30여 년간 각종 대기오염 물질 등에 노출됐는데도 주민 피해에 누구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이유에 섭니다.
"더 이상은 못 살겠다. 포스코는 반성하라. 반성하라. 반성하라"
환경단체 등은 주민들이 쇳가루 분진 등 큰 피해를 보고 있는데도 행정구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사실상 사각에 방치됐다고 지적합니다.
제철소와 가깝지만 광양시에 속하지 않아 아예 관심 대상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박수완/광양만권녹색연합 사무국장>
"행정구역으로 서로 떠넘기는 형태로 지난 30여년 동안 그 피해는 고스란히 묘도 주민들이 받고 있지 않을까..."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지자체 중심의 환경 문제 대응 방식에서 실제 피해를 보는 주민을 포함하는 논의 구조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김민정/성공회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
"기후위기라든지 미세먼지라든지 그런 차원으로 확대를 시켜서 협의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
여수 묘도 주민들이 본격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가운데 광양만권녹색연합도 내년에 민간단체 수준에서라도
주민 건강 실태 조사를 할 계획이어서 결과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윤주성입니다.
앞서 리포트에서도 보셨듯이 광양제철소에서 사고가 날 때마다 여수 묘도 주민들은 불안에 떨어야 합니다.
제철소에서 불과 1킬로미터 거리기 때문인데요.
사고 위험 뿐만 아니라 소음과 분진 등 각종 환경오염에도 노출돼 있다며 여수 묘도 주민들이 정부에 실태조사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윤주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여수 묘도 일부 주민들이 서울 포스코센터 앞에서 이틀째 상경 집회에 나섰습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가동에 들어간 지난 30여 년간 각종 대기오염 물질 등에 노출됐는데도 주민 피해에 누구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이유에 섭니다.
"더 이상은 못 살겠다. 포스코는 반성하라. 반성하라. 반성하라"
환경단체 등은 주민들이 쇳가루 분진 등 큰 피해를 보고 있는데도 행정구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사실상 사각에 방치됐다고 지적합니다.
제철소와 가깝지만 광양시에 속하지 않아 아예 관심 대상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박수완/광양만권녹색연합 사무국장>
"행정구역으로 서로 떠넘기는 형태로 지난 30여년 동안 그 피해는 고스란히 묘도 주민들이 받고 있지 않을까..."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지자체 중심의 환경 문제 대응 방식에서 실제 피해를 보는 주민을 포함하는 논의 구조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김민정/성공회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
"기후위기라든지 미세먼지라든지 그런 차원으로 확대를 시켜서 협의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
여수 묘도 주민들이 본격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가운데 광양만권녹색연합도 내년에 민간단체 수준에서라도
주민 건강 실태 조사를 할 계획이어서 결과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윤주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수 묘도 주민도 '불안'
-
- 입력 2019-12-26 08:08:22
- 수정2019-12-26 08:14:29
[앵커멘트]
앞서 리포트에서도 보셨듯이 광양제철소에서 사고가 날 때마다 여수 묘도 주민들은 불안에 떨어야 합니다.
제철소에서 불과 1킬로미터 거리기 때문인데요.
사고 위험 뿐만 아니라 소음과 분진 등 각종 환경오염에도 노출돼 있다며 여수 묘도 주민들이 정부에 실태조사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윤주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여수 묘도 일부 주민들이 서울 포스코센터 앞에서 이틀째 상경 집회에 나섰습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가동에 들어간 지난 30여 년간 각종 대기오염 물질 등에 노출됐는데도 주민 피해에 누구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이유에 섭니다.
"더 이상은 못 살겠다. 포스코는 반성하라. 반성하라. 반성하라"
환경단체 등은 주민들이 쇳가루 분진 등 큰 피해를 보고 있는데도 행정구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사실상 사각에 방치됐다고 지적합니다.
제철소와 가깝지만 광양시에 속하지 않아 아예 관심 대상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박수완/광양만권녹색연합 사무국장>
"행정구역으로 서로 떠넘기는 형태로 지난 30여년 동안 그 피해는 고스란히 묘도 주민들이 받고 있지 않을까..."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지자체 중심의 환경 문제 대응 방식에서 실제 피해를 보는 주민을 포함하는 논의 구조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김민정/성공회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
"기후위기라든지 미세먼지라든지 그런 차원으로 확대를 시켜서 협의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
여수 묘도 주민들이 본격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가운데 광양만권녹색연합도 내년에 민간단체 수준에서라도
주민 건강 실태 조사를 할 계획이어서 결과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윤주성입니다.
-
-
윤주성 기자 yjs@kbs.co.kr
윤주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