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최고의 보복” 예고…중동 정세 격화
입력 2020.01.04 (21:01)
수정 2020.01.04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란 군부 실세 솔레이마니가 미군 공습으로 사망한 이후 중동 지역은 그야말로 일촉즉발의 상황이 됐습니다.
미군의 추가 공습으로 시아파 민병대가 숨졌다는 현지 언론 보도가 있었고, 친이란 무장세력 등이 미군 관련 시설이나 석유 시설을 공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유엔 주재 이란 대사가 '가혹한 보복'을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박석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라크 시아파 민병대가 새로 공개한 CCTV 영상입니다.
솔레이마니가 탄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이 순식간에 화염에 휩싸입니다.
이라크와 이란 매체들은 또 오늘(4일) 새벽에도 바그다드 북부 알타지 지역에서 시아파 민병대 차량이 공습을 당해 6명이 숨졌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군은 추가 공습은 없었다고 부인했지만, 이란은 미국이 테러를 자행하고 있다며 비난의 수위를 높였습니다.
[자리프/이란 외무장관 : "이것은 명백한 테러 행위입니다. 모든 측면에서 비겁함을 증명한 행위입니다."]
이라크 시아파 성지에서는 수천 명이 모인 가운데 솔레이마니를 기리는 장례식이 열렸고,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는 직접 유가족을 조문했습니다.
이란 지휘부는 또 에스마일리 거니 준장을 쿠드스군 신임사령관으로 임명해 솔레이마니의 공백을 메우는 한편, 유엔 안보리에 자위권 행사를 통보하는 등 군사적 대응 수순도 밟고 있습니다.
[라반치/유엔 주재 이란 대사 : "우리는 어제 일어난 일에 눈을 감을 수는 없습니다. 분명히 보복이 있을 겁니다. 가혹한 보복이 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헤즈볼라 등 친이란 무장세력 등이 중동 지역의 미국 관련 시설을 공격하거나, 미국 동맹국의 석유 시설을 노릴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에서 지난해 7월과 같은 유조선 억류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이란 군부 실세 솔레이마니가 미군 공습으로 사망한 이후 중동 지역은 그야말로 일촉즉발의 상황이 됐습니다.
미군의 추가 공습으로 시아파 민병대가 숨졌다는 현지 언론 보도가 있었고, 친이란 무장세력 등이 미군 관련 시설이나 석유 시설을 공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유엔 주재 이란 대사가 '가혹한 보복'을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박석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라크 시아파 민병대가 새로 공개한 CCTV 영상입니다.
솔레이마니가 탄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이 순식간에 화염에 휩싸입니다.
이라크와 이란 매체들은 또 오늘(4일) 새벽에도 바그다드 북부 알타지 지역에서 시아파 민병대 차량이 공습을 당해 6명이 숨졌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군은 추가 공습은 없었다고 부인했지만, 이란은 미국이 테러를 자행하고 있다며 비난의 수위를 높였습니다.
[자리프/이란 외무장관 : "이것은 명백한 테러 행위입니다. 모든 측면에서 비겁함을 증명한 행위입니다."]
이라크 시아파 성지에서는 수천 명이 모인 가운데 솔레이마니를 기리는 장례식이 열렸고,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는 직접 유가족을 조문했습니다.
이란 지휘부는 또 에스마일리 거니 준장을 쿠드스군 신임사령관으로 임명해 솔레이마니의 공백을 메우는 한편, 유엔 안보리에 자위권 행사를 통보하는 등 군사적 대응 수순도 밟고 있습니다.
[라반치/유엔 주재 이란 대사 : "우리는 어제 일어난 일에 눈을 감을 수는 없습니다. 분명히 보복이 있을 겁니다. 가혹한 보복이 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헤즈볼라 등 친이란 무장세력 등이 중동 지역의 미국 관련 시설을 공격하거나, 미국 동맹국의 석유 시설을 노릴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에서 지난해 7월과 같은 유조선 억류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란, “최고의 보복” 예고…중동 정세 격화
-
- 입력 2020-01-04 21:01:51
- 수정2020-01-04 22:03:13
[앵커]
이란 군부 실세 솔레이마니가 미군 공습으로 사망한 이후 중동 지역은 그야말로 일촉즉발의 상황이 됐습니다.
미군의 추가 공습으로 시아파 민병대가 숨졌다는 현지 언론 보도가 있었고, 친이란 무장세력 등이 미군 관련 시설이나 석유 시설을 공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유엔 주재 이란 대사가 '가혹한 보복'을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박석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라크 시아파 민병대가 새로 공개한 CCTV 영상입니다.
솔레이마니가 탄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이 순식간에 화염에 휩싸입니다.
이라크와 이란 매체들은 또 오늘(4일) 새벽에도 바그다드 북부 알타지 지역에서 시아파 민병대 차량이 공습을 당해 6명이 숨졌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군은 추가 공습은 없었다고 부인했지만, 이란은 미국이 테러를 자행하고 있다며 비난의 수위를 높였습니다.
[자리프/이란 외무장관 : "이것은 명백한 테러 행위입니다. 모든 측면에서 비겁함을 증명한 행위입니다."]
이라크 시아파 성지에서는 수천 명이 모인 가운데 솔레이마니를 기리는 장례식이 열렸고,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는 직접 유가족을 조문했습니다.
이란 지휘부는 또 에스마일리 거니 준장을 쿠드스군 신임사령관으로 임명해 솔레이마니의 공백을 메우는 한편, 유엔 안보리에 자위권 행사를 통보하는 등 군사적 대응 수순도 밟고 있습니다.
[라반치/유엔 주재 이란 대사 : "우리는 어제 일어난 일에 눈을 감을 수는 없습니다. 분명히 보복이 있을 겁니다. 가혹한 보복이 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헤즈볼라 등 친이란 무장세력 등이 중동 지역의 미국 관련 시설을 공격하거나, 미국 동맹국의 석유 시설을 노릴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에서 지난해 7월과 같은 유조선 억류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이란 군부 실세 솔레이마니가 미군 공습으로 사망한 이후 중동 지역은 그야말로 일촉즉발의 상황이 됐습니다.
미군의 추가 공습으로 시아파 민병대가 숨졌다는 현지 언론 보도가 있었고, 친이란 무장세력 등이 미군 관련 시설이나 석유 시설을 공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유엔 주재 이란 대사가 '가혹한 보복'을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박석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라크 시아파 민병대가 새로 공개한 CCTV 영상입니다.
솔레이마니가 탄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이 순식간에 화염에 휩싸입니다.
이라크와 이란 매체들은 또 오늘(4일) 새벽에도 바그다드 북부 알타지 지역에서 시아파 민병대 차량이 공습을 당해 6명이 숨졌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군은 추가 공습은 없었다고 부인했지만, 이란은 미국이 테러를 자행하고 있다며 비난의 수위를 높였습니다.
[자리프/이란 외무장관 : "이것은 명백한 테러 행위입니다. 모든 측면에서 비겁함을 증명한 행위입니다."]
이라크 시아파 성지에서는 수천 명이 모인 가운데 솔레이마니를 기리는 장례식이 열렸고,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는 직접 유가족을 조문했습니다.
이란 지휘부는 또 에스마일리 거니 준장을 쿠드스군 신임사령관으로 임명해 솔레이마니의 공백을 메우는 한편, 유엔 안보리에 자위권 행사를 통보하는 등 군사적 대응 수순도 밟고 있습니다.
[라반치/유엔 주재 이란 대사 : "우리는 어제 일어난 일에 눈을 감을 수는 없습니다. 분명히 보복이 있을 겁니다. 가혹한 보복이 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헤즈볼라 등 친이란 무장세력 등이 중동 지역의 미국 관련 시설을 공격하거나, 미국 동맹국의 석유 시설을 노릴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에서 지난해 7월과 같은 유조선 억류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미국-이란 갈등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