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DMZ 평화협력사업’ 곧 시동…“유관부처 긴밀 협의”
입력 2020.01.08 (13:40)
수정 2020.01.08 (14: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남북 간 협력 공간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겠다는 뜻을 밝힌 가운데, 정부도 이를 뒷받침하는 작업을 본격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오늘(8일) 정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언급한 일부 남북 협력사업들은 이미 지난해부터 준비작업이 진행돼왔다"며, "유관 부처와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남북협력을 위한 현실적 방안을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또 'DMZ 유네스코 세계유산 남북 공동등재' 사업의 경우, 문 대통령이 지난해 9월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 사업을 언급했던 것을 계기로 문화재청 등 정부 관계기관과 경기도·강원도 등이 계속 협의를 진행해 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대벼인은 접경 지역의 화재나 홍수, 전염병 등에 공동 대처하기 위한 '접경위원회' 설치사업에 대해서도 "위원회가 설치된다면 접경지역에서의 군사적 신뢰 구축, 교류, 생태, 환경보호 등에 기여할 수 있다"며 "정부는 DMZ의 평화적 이용과 관련해 관련 부처와 협의를 진행해 나가고 있고, 접경지역 인근의 지자체와도 계속 협의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우리나라가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인 만큼 남북 관계에서 운신의 폭을 넓혀 나가면서 우리가 독자적으로 해나갈 수 있는 일은 최대한 진전시켜 나간다는 입장"이라며, "(남측이) 독자적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는 부분은 계속 추진하고, 북측과 공동으로 해야 할 부분들과 관련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관련 사업계획들이 수립되는 대로 남북 연락 채널 등을 통해 북측의 호응을 촉구할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오늘(8일) 정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언급한 일부 남북 협력사업들은 이미 지난해부터 준비작업이 진행돼왔다"며, "유관 부처와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남북협력을 위한 현실적 방안을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또 'DMZ 유네스코 세계유산 남북 공동등재' 사업의 경우, 문 대통령이 지난해 9월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 사업을 언급했던 것을 계기로 문화재청 등 정부 관계기관과 경기도·강원도 등이 계속 협의를 진행해 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대벼인은 접경 지역의 화재나 홍수, 전염병 등에 공동 대처하기 위한 '접경위원회' 설치사업에 대해서도 "위원회가 설치된다면 접경지역에서의 군사적 신뢰 구축, 교류, 생태, 환경보호 등에 기여할 수 있다"며 "정부는 DMZ의 평화적 이용과 관련해 관련 부처와 협의를 진행해 나가고 있고, 접경지역 인근의 지자체와도 계속 협의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우리나라가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인 만큼 남북 관계에서 운신의 폭을 넓혀 나가면서 우리가 독자적으로 해나갈 수 있는 일은 최대한 진전시켜 나간다는 입장"이라며, "(남측이) 독자적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는 부분은 계속 추진하고, 북측과 공동으로 해야 할 부분들과 관련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관련 사업계획들이 수립되는 대로 남북 연락 채널 등을 통해 북측의 호응을 촉구할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DMZ 평화협력사업’ 곧 시동…“유관부처 긴밀 협의”
-
- 입력 2020-01-08 13:40:27
- 수정2020-01-08 14:15:05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남북 간 협력 공간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겠다는 뜻을 밝힌 가운데, 정부도 이를 뒷받침하는 작업을 본격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오늘(8일) 정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언급한 일부 남북 협력사업들은 이미 지난해부터 준비작업이 진행돼왔다"며, "유관 부처와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남북협력을 위한 현실적 방안을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또 'DMZ 유네스코 세계유산 남북 공동등재' 사업의 경우, 문 대통령이 지난해 9월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 사업을 언급했던 것을 계기로 문화재청 등 정부 관계기관과 경기도·강원도 등이 계속 협의를 진행해 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대벼인은 접경 지역의 화재나 홍수, 전염병 등에 공동 대처하기 위한 '접경위원회' 설치사업에 대해서도 "위원회가 설치된다면 접경지역에서의 군사적 신뢰 구축, 교류, 생태, 환경보호 등에 기여할 수 있다"며 "정부는 DMZ의 평화적 이용과 관련해 관련 부처와 협의를 진행해 나가고 있고, 접경지역 인근의 지자체와도 계속 협의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우리나라가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인 만큼 남북 관계에서 운신의 폭을 넓혀 나가면서 우리가 독자적으로 해나갈 수 있는 일은 최대한 진전시켜 나간다는 입장"이라며, "(남측이) 독자적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는 부분은 계속 추진하고, 북측과 공동으로 해야 할 부분들과 관련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관련 사업계획들이 수립되는 대로 남북 연락 채널 등을 통해 북측의 호응을 촉구할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오늘(8일) 정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언급한 일부 남북 협력사업들은 이미 지난해부터 준비작업이 진행돼왔다"며, "유관 부처와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남북협력을 위한 현실적 방안을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또 'DMZ 유네스코 세계유산 남북 공동등재' 사업의 경우, 문 대통령이 지난해 9월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 사업을 언급했던 것을 계기로 문화재청 등 정부 관계기관과 경기도·강원도 등이 계속 협의를 진행해 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대벼인은 접경 지역의 화재나 홍수, 전염병 등에 공동 대처하기 위한 '접경위원회' 설치사업에 대해서도 "위원회가 설치된다면 접경지역에서의 군사적 신뢰 구축, 교류, 생태, 환경보호 등에 기여할 수 있다"며 "정부는 DMZ의 평화적 이용과 관련해 관련 부처와 협의를 진행해 나가고 있고, 접경지역 인근의 지자체와도 계속 협의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우리나라가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인 만큼 남북 관계에서 운신의 폭을 넓혀 나가면서 우리가 독자적으로 해나갈 수 있는 일은 최대한 진전시켜 나간다는 입장"이라며, "(남측이) 독자적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는 부분은 계속 추진하고, 북측과 공동으로 해야 할 부분들과 관련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관련 사업계획들이 수립되는 대로 남북 연락 채널 등을 통해 북측의 호응을 촉구할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