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발생 억제 동결관서 냉각제 누출

입력 2020.01.10 (11:28) 수정 2020.01.10 (11: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11년 폭발 사고를 일으킨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전의 오염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설치한 동결관에서 냉각제가 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늘(10일) NHK의 보도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 운영업체인 도쿄전력은 원전 건물 주변에 설치한 동결관에서 냉각제가 샌 것으로 보이며 그 양이 약 1천600리터로 추정된다고 발표했습니다.

동결관은 지하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동토차수벽'을 만드는 장치입니다. 동토차수벽은 냉각제가 들어 있는 관을 원전 주변 땅에 설치해 일대의 흙과 수분을 같이 얼릴 때 생기는 일종의 빙벽입니다.

원전 건물 지하수가 흘러 들어가면 내부에 있는 방사성 물질과 섞여 오염수가 되기 때문에 지하수 유입을 막아 오염수 발생량을 줄인다는 것이 도쿄전력의 구상입니다.

동토차수벽의 효과와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구상 단계에서부터 논란이 있었으며 설치 과정에서 완전하게 얼지 않는 부위가 생겨 시멘트를 주입하는 등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도쿄전력은 2015년도에는 하루에 약 490톤의 오염수가 발생했으나 동토차수벽이 완성된 후인 2018년도에는 오염수 발생량이 하루 170톤까지 감소했다고 앞서 당국에 보고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발생 억제 동결관서 냉각제 누출
    • 입력 2020-01-10 11:28:50
    • 수정2020-01-10 11:45:10
    국제
지난 2011년 폭발 사고를 일으킨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전의 오염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설치한 동결관에서 냉각제가 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늘(10일) NHK의 보도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 운영업체인 도쿄전력은 원전 건물 주변에 설치한 동결관에서 냉각제가 샌 것으로 보이며 그 양이 약 1천600리터로 추정된다고 발표했습니다.

동결관은 지하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동토차수벽'을 만드는 장치입니다. 동토차수벽은 냉각제가 들어 있는 관을 원전 주변 땅에 설치해 일대의 흙과 수분을 같이 얼릴 때 생기는 일종의 빙벽입니다.

원전 건물 지하수가 흘러 들어가면 내부에 있는 방사성 물질과 섞여 오염수가 되기 때문에 지하수 유입을 막아 오염수 발생량을 줄인다는 것이 도쿄전력의 구상입니다.

동토차수벽의 효과와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구상 단계에서부터 논란이 있었으며 설치 과정에서 완전하게 얼지 않는 부위가 생겨 시멘트를 주입하는 등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도쿄전력은 2015년도에는 하루에 약 490톤의 오염수가 발생했으나 동토차수벽이 완성된 후인 2018년도에는 오염수 발생량이 하루 170톤까지 감소했다고 앞서 당국에 보고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