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이국종 “더는 못해…외상센터 떠나 평교수로 일하겠다”
입력 2020.01.21 (06:23) 수정 2020.01.21 (08:39) 뉴스광장 1부
[앵커]
외상센터 운영을 놓고 아주대병원 측과 갈등을 빚고 있는 이국종 교수가 외상센터장 자리에서 물러나 평교수로만 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태가 불거진 뒤 이 교수가 거취를 명확히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인데요.
이 교수는 병원 측이 외상센터를 부적절하게 운영하다 적발돼 국가 지원금이 환수된 적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현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국종 교수는 KBS와의 통화에서 다음 달 초 병원에 복귀하면 외상센터장을 그만두겠다고 밝혔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이제 센터를 맡아가지고 끌어가거나 하는 거는 저는 이제 못 하겠어요."]
앞으로는 전공인 외상외과의 평교수로만 일하겠다며, 외상센터에는 관여하지 않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교수는 유희석 의료원장의 욕설이 본질이 아니라며, 아주대병원은 처음부터 외상센터 운영 의지와 능력이 부족했다고 강조했습니다.
2014년에는 외상전용 수술실을 외상이 아닌 수술에 활용했다가 보건복지부 점검에 적발되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외상센터 전용 수술실이 있는데, 거기 들어가서 막 암 수술을 하고 그랬어요. 원래 외상센터 전용 수술실을 중증외상환자를 위해서 항상 대기하고 있다가 외상환자 수술만 거기서 해야 하잖아요."]
병원 측이 외상센터 소속 정형외과 전문의들을 도울 전공의를 파견해주지 않아 수술과 진료를 하지 못한 것도 지적받아서 보조금이 7억 원 넘게 깎였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저는 아주대병원에서 외상센터 같은 거 사업하면 처음부터 안 된다고 했어요. 굉장히 리소스(자원)가 작아요. 인력 풀도 좁고…"
이 교수는 병원 측이 외상센터 인력을 위한 국가 지원금을 기존 인력 인건비로 쓰는 걸 보면서 더는 못하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습니다.
복지부는 기존 인력 인건비로 쓰지 말고 재투자하라고 권고했지만, 병원 측은 권고 사항일 뿐이라며 따르지 않았습니다.
이 교수는 병상 부족 문제도 2016년부터 지속해 왔다며, 외상센터는 더 잘 할 수 있는 병원에서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간호사들이) 그만하자고 해요 다… 그만할 거예요. 이렇게 하는 거는 아닌 거 같아."]
이 교수의 사의 표명에도 아주대병원 측은 입장을 내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오현태입니다.
외상센터 운영을 놓고 아주대병원 측과 갈등을 빚고 있는 이국종 교수가 외상센터장 자리에서 물러나 평교수로만 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태가 불거진 뒤 이 교수가 거취를 명확히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인데요.
이 교수는 병원 측이 외상센터를 부적절하게 운영하다 적발돼 국가 지원금이 환수된 적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현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국종 교수는 KBS와의 통화에서 다음 달 초 병원에 복귀하면 외상센터장을 그만두겠다고 밝혔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이제 센터를 맡아가지고 끌어가거나 하는 거는 저는 이제 못 하겠어요."]
앞으로는 전공인 외상외과의 평교수로만 일하겠다며, 외상센터에는 관여하지 않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교수는 유희석 의료원장의 욕설이 본질이 아니라며, 아주대병원은 처음부터 외상센터 운영 의지와 능력이 부족했다고 강조했습니다.
2014년에는 외상전용 수술실을 외상이 아닌 수술에 활용했다가 보건복지부 점검에 적발되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외상센터 전용 수술실이 있는데, 거기 들어가서 막 암 수술을 하고 그랬어요. 원래 외상센터 전용 수술실을 중증외상환자를 위해서 항상 대기하고 있다가 외상환자 수술만 거기서 해야 하잖아요."]
병원 측이 외상센터 소속 정형외과 전문의들을 도울 전공의를 파견해주지 않아 수술과 진료를 하지 못한 것도 지적받아서 보조금이 7억 원 넘게 깎였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저는 아주대병원에서 외상센터 같은 거 사업하면 처음부터 안 된다고 했어요. 굉장히 리소스(자원)가 작아요. 인력 풀도 좁고…"
이 교수는 병원 측이 외상센터 인력을 위한 국가 지원금을 기존 인력 인건비로 쓰는 걸 보면서 더는 못하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습니다.
복지부는 기존 인력 인건비로 쓰지 말고 재투자하라고 권고했지만, 병원 측은 권고 사항일 뿐이라며 따르지 않았습니다.
이 교수는 병상 부족 문제도 2016년부터 지속해 왔다며, 외상센터는 더 잘 할 수 있는 병원에서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간호사들이) 그만하자고 해요 다… 그만할 거예요. 이렇게 하는 거는 아닌 거 같아."]
이 교수의 사의 표명에도 아주대병원 측은 입장을 내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오현태입니다.
- 이국종 “더는 못해…외상센터 떠나 평교수로 일하겠다”
-
- 입력 2020-01-21 06:28:40
- 수정2020-01-21 08:39:36

[앵커]
외상센터 운영을 놓고 아주대병원 측과 갈등을 빚고 있는 이국종 교수가 외상센터장 자리에서 물러나 평교수로만 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태가 불거진 뒤 이 교수가 거취를 명확히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인데요.
이 교수는 병원 측이 외상센터를 부적절하게 운영하다 적발돼 국가 지원금이 환수된 적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현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국종 교수는 KBS와의 통화에서 다음 달 초 병원에 복귀하면 외상센터장을 그만두겠다고 밝혔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이제 센터를 맡아가지고 끌어가거나 하는 거는 저는 이제 못 하겠어요."]
앞으로는 전공인 외상외과의 평교수로만 일하겠다며, 외상센터에는 관여하지 않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교수는 유희석 의료원장의 욕설이 본질이 아니라며, 아주대병원은 처음부터 외상센터 운영 의지와 능력이 부족했다고 강조했습니다.
2014년에는 외상전용 수술실을 외상이 아닌 수술에 활용했다가 보건복지부 점검에 적발되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외상센터 전용 수술실이 있는데, 거기 들어가서 막 암 수술을 하고 그랬어요. 원래 외상센터 전용 수술실을 중증외상환자를 위해서 항상 대기하고 있다가 외상환자 수술만 거기서 해야 하잖아요."]
병원 측이 외상센터 소속 정형외과 전문의들을 도울 전공의를 파견해주지 않아 수술과 진료를 하지 못한 것도 지적받아서 보조금이 7억 원 넘게 깎였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저는 아주대병원에서 외상센터 같은 거 사업하면 처음부터 안 된다고 했어요. 굉장히 리소스(자원)가 작아요. 인력 풀도 좁고…"
이 교수는 병원 측이 외상센터 인력을 위한 국가 지원금을 기존 인력 인건비로 쓰는 걸 보면서 더는 못하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습니다.
복지부는 기존 인력 인건비로 쓰지 말고 재투자하라고 권고했지만, 병원 측은 권고 사항일 뿐이라며 따르지 않았습니다.
이 교수는 병상 부족 문제도 2016년부터 지속해 왔다며, 외상센터는 더 잘 할 수 있는 병원에서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간호사들이) 그만하자고 해요 다… 그만할 거예요. 이렇게 하는 거는 아닌 거 같아."]
이 교수의 사의 표명에도 아주대병원 측은 입장을 내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오현태입니다.
외상센터 운영을 놓고 아주대병원 측과 갈등을 빚고 있는 이국종 교수가 외상센터장 자리에서 물러나 평교수로만 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태가 불거진 뒤 이 교수가 거취를 명확히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인데요.
이 교수는 병원 측이 외상센터를 부적절하게 운영하다 적발돼 국가 지원금이 환수된 적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현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국종 교수는 KBS와의 통화에서 다음 달 초 병원에 복귀하면 외상센터장을 그만두겠다고 밝혔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이제 센터를 맡아가지고 끌어가거나 하는 거는 저는 이제 못 하겠어요."]
앞으로는 전공인 외상외과의 평교수로만 일하겠다며, 외상센터에는 관여하지 않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교수는 유희석 의료원장의 욕설이 본질이 아니라며, 아주대병원은 처음부터 외상센터 운영 의지와 능력이 부족했다고 강조했습니다.
2014년에는 외상전용 수술실을 외상이 아닌 수술에 활용했다가 보건복지부 점검에 적발되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외상센터 전용 수술실이 있는데, 거기 들어가서 막 암 수술을 하고 그랬어요. 원래 외상센터 전용 수술실을 중증외상환자를 위해서 항상 대기하고 있다가 외상환자 수술만 거기서 해야 하잖아요."]
병원 측이 외상센터 소속 정형외과 전문의들을 도울 전공의를 파견해주지 않아 수술과 진료를 하지 못한 것도 지적받아서 보조금이 7억 원 넘게 깎였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저는 아주대병원에서 외상센터 같은 거 사업하면 처음부터 안 된다고 했어요. 굉장히 리소스(자원)가 작아요. 인력 풀도 좁고…"
이 교수는 병원 측이 외상센터 인력을 위한 국가 지원금을 기존 인력 인건비로 쓰는 걸 보면서 더는 못하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습니다.
복지부는 기존 인력 인건비로 쓰지 말고 재투자하라고 권고했지만, 병원 측은 권고 사항일 뿐이라며 따르지 않았습니다.
이 교수는 병상 부족 문제도 2016년부터 지속해 왔다며, 외상센터는 더 잘 할 수 있는 병원에서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국종/아주대 교수 : "(간호사들이) 그만하자고 해요 다… 그만할 거예요. 이렇게 하는 거는 아닌 거 같아."]
이 교수의 사의 표명에도 아주대병원 측은 입장을 내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오현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오현태 기자 highfive@kbs.co.kr
오현태 기자의 기사 모음
-